우리 고유의 傳統酒(전통주) - 民俗酒((민속주) * 酒술 주 ㉠술 ㉡잔치 ">傳統酒(전통주) - 民俗酒(민속주)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민속주와 향토주 ◐서울 - 삼해주, 문배주, 감홍로 ◐경기 - 동동주 (부의주), 죽력고 ◐충북 중원 - 청명주, 송죽, 오곡주 ◐충남 한산 - 소곡주, 하향주, 면천 - 두견주, 벽향주 금산 - 인삼백주, 계룡 - 백일주, 아산 - 연엽..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막걸리 누보 참새는 가지를 다투다가 떨어지고 나는 벌레도 정원에 가득히 노닐고 있네 막걸리야 너를 누가 만들었더냐 한 잔으로 천 가지 근심을 잊어버리네. 임금의 시름을 달래준 한 잔, 그것은 막걸리였다. 생모인 폐비 윤씨의 한을 풀어주려 갑자사화를 일으킨 그 해, 연산군은 막걸리 예찬을 남겼다. 폐위되..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술의 법과 도를 닦는 글(주도 주법 풍류) 술의 법과 도를 닦는 글 대저 성인(聖人)이 술 마시는 법(法)을 만들때 천지자연(天池自然)의 법칙(法則)에 준거(準據)하여 만든 까닭에 군자(君子)가 이 법도(法度)에 따라 술을 마심으로써 덕(德)을 크게 성취(成就)할 수 있다. 혹자(或者)는 말하기를 술은 인간(人間)에 이(利)롭지 않다. 정신(精神)을 ..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일본의 술 문화와 사케 술 문화 술잔을 돌리지 않는다. 일행끼리도 각자 다른 종류의 술을 놓고 마신다. ★일본의 주도 상대방이 다 비울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술잔에 술이 줄어들면 첨잔을 한다. 첨잔은 한국에서는 금기이지만 일본에서는 오히려 미덕으로 여기고 있다. 손님의 잔이 1/3 이하로 줄어 있는데도 주인이 권하..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막걸리 와 전통주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청주, 소주, 탁주이다. 소주는 밑술을 증류시켜 이슬로 받아낸 것이고 청주는 밑술 독에 용수를 넣어 맑은 술이 고이면 퍼내는 것이다. *전통술의 종류와 재조과정 우리나라의 전통주를 크게 분류하면 발효시켜 만든 탁주와 청주, 그리고 이것을 증류하여 만든 소주로 구분할 수 ..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맥주(BEER) 세계인의 음료 맥주(BEER)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술은 단연 맥주다. 맥주는 값이 싸고 사시사철 계절을 불문하고 제조할 수 있으며, 알코올 농도가 낮다는 점에서 가장 대중적인 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나라에서 만든 맥주든지 맛과 품질이 유사하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범용성 있게 마실 ..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와인과 삼페인 와인(WINE)의 세계 태양의 딸 와인 와인의 역사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제우스의 아들인 바커스가 포도 재배와 포도주 제조법을 지중해 연안으로 보급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포도의 원산지가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의 소아시아 지역이라는 식물학자들의 주장도 이러한 신화나 전설과 일치하는 것 같다. ..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한국의 주선(酒仙) 10걸 한국의 주선(酒仙) 10걸 고금을 통틀어 각계 인사들이 추천한 주선은 모두 140명, 두주불사의 주량과 풍류가 특출한 당대의 호걸들을 망라한 것이다. 그 가운데 우리나라 최고의 주선으로 1위-황진이가 선정됐다. 낙주종생의 기라성 같은 대장부들을 젖히고 가장 많은 17명의 인사들로부터 추천을 받았..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서양의 술잔 속 패러독스(paradox) 서양의 술잔 속 패러독스(paradox) 술과 관련된 격언(格言)이나 위트는 동양 뿐 아니라 서양에도 있다. 동양의 술 관련 속담(俗談)이 장중(莊重)하며 깊은 뜻이 있다면, 서양쪽의 그것은 날카로우면서도 해학적인 것이 특징이다. 서양의 술 관련 속담 중 재미있는 것을 추려 보았다. ・셰익스피어-술은 사..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
위스키(whisky)의 역사 위스키(whisky)의 역사 술 중에서 가장 으뜸은 위스키라 할 수 있고, 빨리 취하는 동시에 또 쉽게 깬다. 위스키는 강렬한 남성적인 술로써 한 두잔 정도는 안주 없이도 마실 수 있다. 무더운 지방에서는 무더위를 이겨내는 청량제(淸祺劑) 구실을 하고, 추운 지방에서는 열량을 보태어 추위를 덜하게 하는.. 관심 & 배움/술 & 와인愛 2010.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