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순 목사의 신앙상담] 성찬식 후 남은 떡과 포도주 가져가도 되나요?-박종순 목사의 신앙상담 * 박종순 목사의 신앙상담 성찬식 후 남은 떡과 포도주 가져가도 되나요? 성찬물은 간식이나 식사 아닌 성물… 목회자가 경건한 절차 거쳐 처리해야 입력 : 2017-04-17 00:02 [박종순 목사의 신앙상담] 성찬식 후 남은 떡과 포도주 가져가도 되나요? 기사의 사진 Q : 지역교회 장로입니다. 성찬..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7.04.17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日서 생후 5개월 남자아이 사망 지난달 30일, 일본 도쿄에서 생후 5개월을 갓 넘긴 남자 아기가 꿀 때문에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사인은 영아 보툴리누스증. 보툴리누스증이란 보툴리누스균이 만드는 독소 때문에 걸리는 신경마비성 식중독이..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7.04.14
전자여권 코리아 기술, 해외시장 겨눈다 전자여권 코리아 기술, 해외시장 겨눈다 [중앙일보] 입력 2017.04.05 01:00 세탁기에 전자여권이 든 청바지를 넣고, 60℃의 뜨거운 물로 45분간 세탁한다. 날카로운 펜으로 전자 여권에 내장된 전자 칩과 안테나를 100번을 두들기기도 한다. 외교부로부터 여권 제작을 위탁받은 한국조폐공사는 ..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7.04.05
따져보는 NZ 기술이민의 영어조항 - 제 1탄 : 정동희 http://www.nzkoreapost.com/bbs/board.php?bo_table=news_column&wr_id=6718 따져보는 기술이민의 영어조항 - 제 1탄  정동희 (14.♡.48.137)  정동희의 생생 이민정보  2016.05.12 15:31 뉴질랜드가 되었든 어느 나라가 되었든 지간에 타국에 가서 정착하고자 한다면 그 나라의 공식언어(Official language..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6.05.26
“북 핵실험 날, 백두산 마을은 발칵 뒤집혔다”[이규연의 미래탐사④] [이규연의 미래탐사④] “북 핵실험 날, 백두산 마을은 발칵 뒤집혔다” [J플러스] 입력 2016.02.20 09:24 수정 2016.02.20 13:15 이규연 기자 사진 백두산 천지의 겨울 모습. [사진 중앙포토] .민족의 영지, 백두산. 사화산과 휴화산, 그리고 활화산 중 백두산은 어디에 속할까요? 얼마 전까지는 휴화..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6.02.20
알기 쉬운 조문 예절 방법 알기 쉬운 조문 예절 방법 나이가 들수록 장례식장에 가야 할 일이 많이 생긴다. 죽은 사람에 대해 애도를 표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자리인 만큼 올바른 조문 절차와 장례 예절이 필요하다.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종교가 있는 경우 자신과 상갓집의..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5.10.23
‘쩍벌남(manspreading)’,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올랐다 ‘쩍벌남(manspreading)’,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올랐다 입력 2015-08-28 10:32:00 수정 2015-08-28 10:37:27 (사진=네이버) '쩍벌남(대중교통에서 다리를 쫙 벌리고 앉아 있는 남성을 묘사하는 단어)'을 뜻하는 영어단어인 '맨스프레딩(manspreading)'이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공식 등재됐다. 27일(현지시간) ..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5.08.28
요사이 읽을 수 없는 名文 요사이 읽을 수 없는 名文 '詩와 陶瓷'- 金相沃 散文集에서 趙甲濟 경주박물관에 있는 新羅 聖德大王神鐘은 별명이 奉德寺鐘이고 속칭은 에밀레종이다. 이 종에 새겨진 640여자의 頌詞(송사)가 있다. 그 가운데 '圓空神體'(원공신체)라는 말이 있다. 이 범종이 그냥 종이 아니라 그 형상이 ..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5.05.18
글 잘 쓰는 사람들이 말하는 좋은 글쓰기 비결 글 잘 쓰는 사람들이 말하는 좋은 글쓰기 비결 김순자 53인의 名士가 말하는 좋은 글쓰기 비결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쓰려면 독서가 王道.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해야(多讀·多作·多商量) 金順子(월간조선) ●지식축적을 많이 하라(金埈成) ●진실·솔직한 말을 짧고 간단하게 하..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5.05.18
삶은 달걀, 껍질 쉽게 까지면 오래된 것… 신선한 건 잘 안 까져요 * [달팽이 박사 생물학 이야기] 삶은 달걀, 껍질 쉽게 까지면 오래된 것… 신선한 건 잘 안 까져요 권오길·강원대 명예교수 입력 : 2015.04.25 03:00 | 수정 : 2015.04.25 03:20 조선일보DB 닭의 알(달걀)은 살아 있는 단세포(單細胞)다. 모든 세포가 세포막·세포질·핵으로 구성돼 있다. 달걀의 세포..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