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하야니? 하얗니? [우리말 바루기] 하야니? 하얗니? [중앙일보] ㅎ 받침을 가진 동사나 형용사는 활용 형태가 헷갈린다. 국립국어원이 만든 표준국어사전에서 ‘하얗다’를 찾아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자. 표제어 옆을 보면 ‘하얘, 하야니, 하얗소’라고 활용 형태가 나와 있다. 그런데 이것만 가지..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2.06.10
酒暴이냐, 주폭이냐? 酒暴이냐, 주폭이냐? 한글專用주의자들에게 묻는다. 漢字의 도움 없이 이런 말을 만들 수 있나? 趙甲濟 酒暴(주폭)이란 말이 언론에 유행이다. 경찰의 新造語(신조어)로서 술을 마시고 폭행과 행패를 일삼는 것을 뜻한다. 한글專用(전용)주의자들에게 묻는다. 漢字(한자)의 도움 없이 이런..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2.06.07
'하면 돼지' 틀려요… '하면 되지' 맞습니다 '하면 돼지' 틀려요… '하면 되지' 맞습니다 전병근 기자 이메일bkjeon@chosun.com [국립국어원 우리말 상담창구, 여러분도 궁금하면 찾으세요] '공부하다'는 붙여 쓰지만 '숙제 하다' 이건 왜 띄어쓰죠? 여자는 현재형으로 예쁘다… 남자는 잘생겼다, 왜 과거형? "다른 사람 말을 전할 때 '~했대'..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2.05.31
15세기 훈민정음과 현재의 한글 발음 차이는 15세기 훈민정음과 현재의 한글 발음 차이는… [사진=중앙포토]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 당시 조선시대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발음했을까.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라고 읽는 현재 발음과는 사뭇 다르다. 최근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이런 비교를 담은 영상이 올라와 화..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2.01.20
甲子上疏 1 & 2 *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와 갑자상소 * 集賢殿 副提學 崔萬理와 甲子上疏 : 南廣祐(인하대 명예교수:국어학자)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것은 세종 25년(1443년 癸亥)년 음력 12월이다. 그런데 이 훈민정음이 현재 한글 이란 이름으로 바뀌어 쓰이고 있다. 오늘날에 있어 한글은 ..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1.10.18
훈민정음의 오해와 진실 외 訓民正音 諺解本 http://blog.daum.net/jeouldae/2705526 위 블로그에 가져 옴 * 훈민정음의 오해와 진실 * 훈민정음 (훈민정음 원본, 훈민정음 해례본) 입니다. 훈민정음이 일제때 조작된 것이라 주장하는 일부 학자도 있으나, 위는 디지털 한글박물관에서 퍼온 자료이고, 가운데는 국보 제70호의 자료이며, 아래는 세조때 간행된 ..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1.10.18
한국인 글쓰기의 한 惡習 한국인 글쓰기의 한 惡習 <김정일은 상해 시찰을 하면서 '천지개벽'이란 말을 했을 정도로 북한 체제 개혁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趙甲濟 편집장으로서 남이 쓴 글을 고치고 줄이고 하는 일을 오래 해왔다. 한국인들의 문장력은 國力에 비례하여 발전해왔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지식인층..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1.09.12
재미있는 말의 어원 (ㅇ) 아낙네 '아낙'은 '안'과 '악'이 결합된 것이다. '안'은 '안해'의 '안'이나 '안 사람'의 '안'처럼 '內'의 뜻을 가지며 동시에 여성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래서 '아낙'은 '안악'으로도 표기되었다. '-악'은 '-억'과 함께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인데, 주로 작은 것을 뜻할 때 쓰인다. '터럭'(털 + -억), '주먹'(줌 + -억..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1.04.17
수지니 날지니 해동청 보라매 수지니 날지니 해동청 보라매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문전 바라보니 수지니 날지니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석양은 늘어져 갈마기 울고 능수버들가지 휘늘어진디 꾀꼬리는 짝을 지어 이산으로 가면 꾀꼴~ 꾀꼴~ (이하 생략) ♪ 남원산성 - 장민 ♪ 남원산성 - 김용임 내가 2008년부터 2년간 근..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1.04.07
한국어 음운론 (퍼옴) 언어를 시작할 때는 음운론부터 시작을 해. 처음 제 2언어로 외국어로 배울때는 가장먼저 문자와 표기법을 배우고 그 다음에 여러가지 발음들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배우거든. 영어를 처음 배울때도 제일먼저 가르치는게 ABC를 배우고 그 글자들의 발음이 어떻게 되는지 배우듯이 한국어도 가나다부.. 관심 & 배움/우리말 벗 201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