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dom, liberty를 '自由'로 번역한 中村正直 freedom, liberty를 '自由'로 번역한 中村正直 左派가 어떻게 반응하든, 한국과 일본을 근대화시킨 주역들은 외국어광(狂)이었으며, 외국어의 漢字 번역을 통해 국가발전을 앞당겼다. 金泌材 중촌정직(中村正直) 현재 한국인들이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상당수의 주요 漢字 단어는 일본인들이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3.07.15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1 ] ~ [ 4 ] 기**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1 ] 전쟁으로 시작 된 인연 최근 여러 문제점이 밝혀져 실망을 시키기도 했지만, 자주국방을 위한 노력으로 많은 국산무기들이 개발되었고 그중 일부는 오래전부터 제식화되어 국토 방위의 중요한 일익을 담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기는 개발을 하는데 있..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5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5 ] ~ [ 8 ] 기**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5 ] 바뀌어 버린 전쟁터 소규모로 출현한 중공군을 처음 격퇴하였을 당시만 해도 유엔군 최고사령부는 그다지 걱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중국 당국이 유엔군이 38선을 넘어 북진할 경우 참전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었지만 한마디로 공갈포로 여겼습니다...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5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9 ] ~ [ 끝 ] 기**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9 ] 트라우마가 되어버린 지옥의 사자들 역사적인 인연 때문인지 공교롭게도 한국전쟁 내내 터키군의 맞상대는 중공군이었습니다. 그런데 붙었다하면 중공군은 계속하여 혹독한 대가를 치렀고, 결국 터키군은 중공군에게 트라우마가 되어버렸습니다. 때문에..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5
잃어버린 북방 영토: 간도(間島) 이야기 잃어버린 북방 영토: 간도(間島) 이야기國境은 끊임없이 변하며 領土는 스스로 지킬 수 있는 한 그 나라의 領土인 것이다! 金泌材 자료출처: 2005년 대한지적공사 '통일한국의 영토문제에 관한 연구' 자료 中國 공산당이 韓民族의 북방역사(北方歷史)를 自國史에 편입하려는 이유는 대한민..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3.07.15
굴욕의 고개 [ 1 ]~[ 7 ] august 의 軍史世界 조선 닷컴 blog.chosun.com/xqon 에서 가져 온 자료 굴욕의 고개 [ 1 ] KOREA ? 미국이란 나라야 워낙 많은 전쟁에 참전하였으므로 웨스트포인트 같은 군사교육기관에서 전사를 가르칠 때 자국이 참전 하였던 전투사만 가지고도 Case Study 로 공부 할만한 내용이 많습니다. 하지만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운명을 거부한 부대 [ 1 ] ~ [ 5 ] 운명을 거부한 부대 [ 1 ] 가장 쉬운 승리 방법 두말할 필요 없지만 전투를 수행하는 모든 지휘관들은 승리를 원합니다. 승리라는 것은 단순히 생각하자면 적을 물리치는 것인데, 이런 단순한 목적을 이루기위해서는 여러 가지 복잡한 방법이 동원됩니다. 이를 작전이라고 하는데, 작전은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운명을 거부한 부대 [ 6 ] ~ [ 11 ] 운명을 거부한 부대 [ 6 ] 두 번째 포위 1950년 6월부터 그 이듬해 6월까지 한국전쟁은 그야말로 정신이 없던 전쟁이었습니다. 낙동강에서의 피 말리던 두 달간의 공방전을 제외한다면 자고나면 전선이 바뀔 정도로 반복되는 진격과 후퇴가 일상이었습니다. 미 2사단도 해체의 위기를 딛고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1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1 ] 명문 부대의 조건 현재 대한민국 육군에는 수많은 전술 단위 부대가 있는데, 그 중 야전 전력의 핵심인 사단만 하더라도 수 십 여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예외 없이 모든 장병들은 자신이 속한 부대에 대한 자긍심이 높습니다. 그런데 평시에 부대 관리가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2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2 ] 전쟁 전의 전쟁 단대호 1에서 알 수 있듯이 제1사단은 국군의 모든 사단 중에서 제일 먼저 창설된 사단입니다. 사단의 모체는 1947년 12월 1일 태릉의 제1연대(현 수도사단 예하), 청주의 제7연대(현 6사단 예하) 및 춘천의 제8연대(현 7사단 예하)를 기간으로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