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3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3 ] 현실적인 방어계획 여단에서 사단으로 승격되고 난지 불과 4일 후에 개성 북쪽 38선일대의 송악산, 292고지, 유엔고지, 비둘기고지 등에서 벌어진 일련의 충돌은 한국전쟁의 일부로 포함하여도 이의가 없을 만큼 격렬하였습니다. 그 절정이 1949년 5월 4일,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4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4 ] 전쟁에 대비하다 1950년 6월 현재 1사단의 총 병력은 10,000명 내외였고 보유한 장비는 편제상으로 105밀리미터 곡사포 15문, 57밀리미터 대전차포 18문, 81밀리미터 박격포 36문, 60밀리미터 박격포 54문, 2.36인치 로켓포와 각종 기관총 43정을 보유하고 있었습니..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5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5 ] 육탄으로 막아낸 전선 1950년 6월 25일 04시, 북괴군의 대대적인 사전 포격이 개시되었습니다. 수차례의 국지전을 통해 북괴군과 총을 섞었던 1사단 장병들도 이번 공격은 이전과 차원이 다름을 즉각 깨달았을 만큼 엄청난 규모였습니다. 서서히 포연이 걷히..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6 ]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6 ] 우리는 결코 패하지 않는다 장병들의 선전이 이어지자 백선엽은 현 전선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생겼고 더불어 미군이 참전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6월 28일 08시를 기해 반격을 개시하려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자신감과는 별개로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7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7 ] 역사를 바꾼 피의 전장 1950년 7월말이 되었을 때 미 8군사령관 워커는 최후의 보루인 부산을 반드시 지켜내려면 북괴군의 우회 돌파가 허용되지 않도록 방어선을 단단히 구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는 북괴군의 진격을 멈추기 위해 전략적으로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8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8 ] 반격의 선봉장이 되다 1사단의 분투 결과 8월 21일을 기점으로 다부동의 상황은 눈에 띄게 호전되어 갔습니다. 초조해진 북괴군은 최후의 발악이라도 하듯 마지막 남은 전차와 자주포를 앞세워 그날 밤 대규모 야간 역습을 감행했지만 배속된 미 27연대 전..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9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9 ] 감격, 좌절 그리고 후퇴 바로 이때 북괴군은 대동강 인도교와 철교를 완벽하게 폭파시켜 도하 지체가 불가피해 보였고 미군은 부교를 가설하려 분주하였습니다. 그런데 이곳은 어릴 적에 물놀이를 하였던 사단장 백선엽에게는 눈감고도 훤한 곳이었습니..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10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10 ]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다 이제 지난 두 달 간의 굴욕적인 후퇴를 멈추고 아군은 다시 38선으로 올라갈 수 있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서서히 그러나 신중하게 전선을 밀어붙였고 마침내 한강에까지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이때 반격의 선봉을 자임한 1사단..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11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11 ] 넘을 수 없는 거대한 철벽 1950년 10월 이후 전장을 주도한 미군과 중공군은 전쟁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난 1951년 6월이 되었을 때, 어느덧 승리에 대한 집념을 버렸습니다. 상대를 격멸하여 전쟁에서 이기겠다는 시도는 포기하였고 단지 현 상태에서 그대로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끝 ] ** 후퇴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 [ 끝 ] 남도현 august 님의 블로그 더보기 천하제일 전진부대 베티고지에 대한 중공군의 집념은 그야말로 대단하였습니다. 다음날 아침 7시 30분까지 무려 15시간 동안 총 19회에 걸쳐 공격을 쉬지 않고 개시하였습니다. 중공군은 한 시간에 한 번 꼴로 베티고지..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