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배우기 4 假定文(가정문) : 條件(조건)이나 假定(가정)을 의미하는 앞 구절과 結果(결과)를 의미하는 뒷 구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문은 일반적인 구조가 서술어 성분 앞에 가정부사 '如(여), 若(약)' 등을 사용하고 뒤에 접속사 '則(즉)'을 사용합니다. { 如+서술어+ -, 則+서술어+ - } [가정부사 사용] 대표글자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20
육십갑자 연도적용 일람표 ◈ 서기 연도와 연결.[아래쪽 간지의 서기 연도는 상단에 준해서 적용. 60년 단위로 ±함] 1. 甲子(갑자) 11. 甲戌(갑술) 21. 甲申(갑신) 31. 甲午(갑오) 41. 甲辰(갑진) 51. 甲寅(갑인) 1504 / 1564 1624 / 1684 1744 / 1804 1864 / 1924 1984년 2044 / 2104 1514 / 1574 1634 / 1694 1754 / 1814 1874 / 1934 1994년 2054 / 2114 1524 / 1584 1644 / 1704 1764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20
同字異義語(多義語) ** 同字異義語(多義語) 假 거짓 가 假面(가면) 빌릴 가 假借(가차) 干 방패 간 干戈(간과) 간여할 간 干涉(간섭) 間 사이 간 間接(간접) 염탐꾼 간 間諜(간첩) 甲 갑옷 갑 甲胄(갑주) 천간 갑 六甲(육갑) 格 격식 격 格式(격식) 다툴 격 格鬪(격투) 計 꾀 계 計略(계략) 셈 계 計算(계산) 過 지날 과 過客(과객)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同 字 異 音 語 * 反 義 語 ◐同字異音漢字(동자이음한자)◑ 降 내릴 강 昇降(승강) 항복할 항 降服(항복) 更 다시 갱 更生(갱생) 고칠 경 變更(변경) 車 수레 거 車馬費(거마비) 수레 차 車庫(차고) 見 볼 견 見聞(견문) 나타날 현 見夢(현몽) 龜 거북 귀 龜鑑(귀감) 나라이름 구 龜洞(구동) 터질 균 龜裂(균열) 說 말씀 설 說明(설명)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漢詩의 이해 **한시(漢詩)란, 일정한 격식에 따라 한문으로 지은 시로, 자연(自然)을 노래하거나 인생을 되새겨 보는 시적 정서가 함축된 표현 양식이다. 1.漢詩의 分類 한시는 크게 당나라 이전에 성행했던 古詩(또는 古體詩)와 당나라 이후에 성행한 近體詩로 나눈다. 1)古體詩(고체시) 당(唐)나라 이전에 지어졌..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단문 - 속 담· 격 언 ◇結者解之(결자해지): 맺은 사람이 그것을 푼다. (처음에 시작한 사람이 그 일을 끝맺는다) ◇舊官名官(구관명관):구관이 명관이다. (그 전에 일을 하던 이가 숙달되어 더 잘한다는 말)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값이 같거나 같은 노력을 들인다면 품질이 좋은 것으로 택함) ◇亡子..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중요 虛辭의 용법 ** 1.'於(=于,乎) 1)처소(장소) : ∼에,∼에서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나 명사구 앞에 놓임 *'於'뒤에 오는 말은 보어 성분이 됨 金時習 讀書於三角山 : 김시습이 삼각산에서 글을 읽다. 日出於東山 : 해가 동산에서 뜬다. 2)시간 : ∼에,∼에서 *시기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앞에 놓임 三歲之習 至于八十 : 세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문장의 구조-[文型] 1.기본구조 1) 주술문형 : 주어+서술어 ①주어+서술어(동사) : ∼이 ∼하다 春 + 來 : 봄이 왔다. 鳥 + 啼 : 새가 운다. *주술문형의 해석순서는 차례대로이다. ②주어+서술어(형용사) : ∼이 어떠하다. 水 + 淸 : 물이 맑다. 雪 + 白 : 눈이 희다. ③주어+서술어(명사) : ∼이(는)∼이다. 杜甫+詩聖 : 두보는 시성..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문장의 형식 1.肯定文(긍정문) : 종결사 '也.矣.焉' '∼은 ∼이다, ∼이∼하다' 1)종결사가 붙는 경우 也 - 孝 百行之本也(효 백행지본야) : 효는 모든 행동의 근본이다. 矣 -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알면 가히 스승이 될 수 있다. 焉 - 天下 歸仁焉(천하 귀이언) : 천하는 인..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