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史 金正喜 秋史 金正喜 "추사체는 누구나 알고 있지만 추사체가 뭐냐 하면 대답을 잘해낼 수 있는 사람이 없다.어쩌면 추사체는 우리들이 쓰고있는 글씨들이라고 해도 될지 모른다. 그의 대표적인 글씨 '잔서완석루(殘書頑石樓)'를 보자. '다 떨어진 책과 무뚝뚝한 돌이 있는 서재'라는 뜻으로 제주도 유배후 강..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30
아흔아홉 번의 손길로 태어나는 작품, ‘붓’ 아흔아홉 번의 손길로 태어나는 작품, ‘붓’ ▲ 붓의 부분 명칭. ⓒ 2006년 9월 15일 (금) 11:10 사이언스타임즈 아흔아홉 번의 손길로 태어나는 작품, ‘붓’ 문방(文房)은 원래 중국에서 문학을 연구하던 관직 이름이었는데, 점차 선비들의 글방 또는 서재라는 뜻으로 정착됐다. 이곳에 갖춰두고 쓰는 종..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사군자 그림이란 무엇인가? 사군자 그림이란 무엇인가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소재로 하여 수묵 위주로 그려진 묵매, 묵란, 묵국, 묵죽 등을 합쳐서 四君子라 부른다. 이러한 명칭이 붙게 된 것은 수많은 식물들 중에서도 매화는 설한풍 속에서 맑은 향기와 함께 봄을 제일 먼저 알리며 피고, 난초는 깊은 산골짜기에서 홀로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서예작품은 어떻게 감상하여야 하는가? 서예작품은 어떻게 감상하여야 하는가? 서예는 동양 특유의 미적 예술이다. 따라서 서예를 감상한다는 것은 사람의 사상, 정감, 취미, 심미안 등을 개발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서예의 수준을 이끌어 올리는 데에도 상당한 도움을 주는 것이다. 반백응(潘白鷹)은 이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탁본이란 1. 탁본이란 무엇인가 탁본(拓本)은 탑본(榻本),탑본(搭本),사출(寫出)이라고도 하는데 금석(金石)에 새겨진 글씨나 그림문양(紋樣)등을 종이에 대고 찍어 박아내는 것을 말한다.원래 탁본은 중국에서 시작되어 기술과 방법도 여러 나라로 전래되었으며, 따라서 탁본의 방법도 나 라에 따라 다소 틀린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漢字의 書體 漢字의 書體 甲骨文 (갑골문) 金文 (금문) 篆書 (전서) 隸書 (예서) 楷書 (해서) 行書 (행서) 草書 (초서) 출처 : 서예세상 | 글쓴이 : 三道軒정태수 원글보기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호(號) 짓는 방법과 실제 호(號) 짓는 방법과 실제 호(號)에 대해서 여러 사람이 문의를 하기에 호를 짓는 방법과 실제에 대해서 설명드립니다. 호(號)란 무엇일까요? 호(號)는 자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2종 이상의 이름을 갖고자 한 풍속(復名俗)과 본이름 부르는 것을 피하는 풍속(實名敬避俗)에 의해 허물없이 부..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서예용어 모음 ★ 서예용어 모음 ★ ◆ㄱ 가로쓰기 - 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씀. 가리개=곡병(曲屛) - 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 간가(間架) - 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 간찰(簡札) - 간지에 쓴 편지글.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낙관이란 무엇일까 낙관(落款)이란 무엇이며 낙관과 인장(印章),인영(印影)은 무엇이 다른 것인가? 雨頌 尹炳朝 (한국전각학연구회 감사) 서론 1. 낙관(落款)의 용어풀이 2. 개자원화보에 나타난 낙관의 정의 3. 낙관의 현대적 해석 4. 낙관의 발생과 변천 5. 낙관의 중요성 6. 낙관의 종류 7. 낙관의 중요 구성요소 8. 화제(畵..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