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 모음 779 가지 ^ 한자성어 모음 779 가지 가가대소(呵呵大笑) 소리를 크게 내어 웃음. 가가호호(家家戶戶) 각 집과 각 호(戶). 곧, 집집마다. 가담항설(街談巷說) 길거리에 떠도는 소문. 세상의 풍문(風聞). 가담항어(街談巷語). 가렴주구(苛斂誅求) 세금 같은 것을 가혹하게 거두어 들이고 물건을 강제로 청구하여 국민..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9.08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 명칭 (名稱) 연령 (年齡) 의 미 (意 味) 출전 (出典) 해제 (孩提) 2-3세 웃을 줄 알고 손으로 끌고[提] 다닐 수 있는 어린아이 兒提(아제),孩子(해자),孩兒(해아),孩童(해동),孩稚(해치) 충년 (沖年) 10세전후 10세 전후 어린아이 지학 (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논어 (論語..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9.08
한문의 문장수사법 한문의 문장수사법 대구법 以責人之心, 責己, (이책인지심, 책기, 以恕己之心, 恕人 이서기지심, 서인)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자기를 꾸짖고,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한다.) 良藥, 苦於口, 而利於病, (양약, 고어구, 이이어병, 忠言, 逆於耳, 而利於行 충언, 역어이, 이이어행) (좋은 약은 입..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9.03
나이를 한자로 표기하기 명칭 연령 의미 해제 (孩提) 2-3세 어린아이 지학 (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 孔子는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 수양의 발전 과정에 대해《論語》의 <위정편(爲政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열 다섯 살 때 학문에 뜻을 두었고(志學) 서른 살 때 입신했다(而立). 마흔 살 때는 미혹하지..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8.26
천자문(千子文) 千字文(천자문) Home Back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많은 천자문을 참고하여 잘못된 점이나 미비한 곳을 개인적으로 약간의 수정을 하였습니다.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天 地 玄 黃 天地玄黃(천지현황) : 하늘은 위에 있으니 그 빛이 검고 그윽하며, 땅은 아래 있으니 그 빛이 누르다. 하늘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8.24
한자 사전 ^ http://hanja.naver.com/ http://www.zonmal.com/ ☞ 위 주소를 클릭하세요 ... ☜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8.24
한자 배우기 4 假定文(가정문) : 條件(조건)이나 假定(가정)을 의미하는 앞 구절과 結果(결과)를 의미하는 뒷 구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문은 일반적인 구조가 서술어 성분 앞에 가정부사 '如(여), 若(약)' 등을 사용하고 뒤에 접속사 '則(즉)'을 사용합니다. { 如+서술어+ -, 則+서술어+ - } [가정부사 사용] 대표글자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8.13
한자 배우기 3 後置詞(후치사) : 후치사는 명사의 뒤에 놓이는 경우인 '之(지)'를 의미하는데, 학계에서는 '之'에 대한 문법적 분석에 많은 異說(이설)을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之'의 助詞(조사) 성격 의미는 한문에서 있을 수 없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초학자가 '之'를 분류해서 이해하기 쉬운 수준에..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8.13
한자 배우기 2 副詞(부사) 정도 대표글자 - 最(최:가장), 甚(심:매우), 大(대:크게), 至(지:지극히), 益(익:더욱), 必(필:반드시), 尙(상:아직도), 常(상:항상) 예) * 我國必勝(아국필승) : 우리 나라는 반드시 이긴다. * 水至淸則無魚(수지청즉무어) : 물이 지극히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 시간 - 시제의 개념이 없는 한문에서는..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8.13
한자 배우기 1 육서의 분류 앞서 보았듯이 육서는 글자를 만드는 조자(造字)의 원리로 상형(象形), 지사 (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이 있고, 활용하는 운용(運用)의 원리로 전주 (轉注), 가차(假借)가 있습니다. 象形(상형) 象形은 "모양{形}을 본뜨다{象;코끼리 발자국에서 파생되어 '본뜨다'는 의미 생성}"는 뜻 그..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