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事成語 - 사 ※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故事成語 - 사 0 ⊙ 사면초가(四面楚歌) ⊙ 사반공배(事半公倍) ⊙ 사분오열(四分五裂) ⊙ 사석위호(射石爲虎) ⊙ 사이비(似而非) ⊙ 사자후(獅子吼) ⊙ 사지(四知) ⊙ 사족(蛇足) ⊙ 사취(私聚) ⊙ 상가지구(喪家之狗) ⊙ 상분(嘗糞) ⊙ 상사병(相思病) ⊙ 살신성인(殺..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故事成語 - 바 ※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故事成語 - 바 0 ⊙ 반간(反間) ⊙ 반근착절(盤根錯節) ⊙ 반골(反骨) ⊙ 반포지효(反哺之孝) ⊙ 발본색원(拔本索源) ⊙ 발분망식(發憤忘食) ⊙ 발호(跋扈) ⊙ 방약무인(傍若無人) ⊙ 배반낭자(杯盤狼藉) ⊙ 배수지진(背水之陣) ⊙ 배중사영(杯中蛇影) ⊙ 백구과극(白駒..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故事成語 - 마 ※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故事成語 - 마 0 ⊙ 마부작침(磨斧作針) ⊙ 마생각(馬生角) ⊙ 마이동풍(馬耳東風) ⊙ 막역지우(莫逆之友) ⊙ 만가(輓歌) ⊙ 만사휴의(萬事休矣) ⊙ 만석꾼(萬石君) ⊙ 만전지책(萬全之策) ⊙ 망국지음(亡國之音) ⊙ 망매해갈(望梅解渴) ⊙ 망양지탄(望洋之歎) ⊙ 망양..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故事成語 - 다 ※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故事成語 - 다 0 ⊙ 다기망양(多岐亡羊) ⊙ 다다익선(多多益善) ⊙ 단기지교(斷機之敎) ⊙ 단장(斷腸) ⊙ 당랑거철(螳螂拒轍) ⊙ 당랑박선(螳螂搏蟬) ⊙ 담하용이(談何容易) ⊙ 당동벌이(黨同伐異) ⊙ 대간사충(大姦似忠) ⊙ 대공무사(大公無私) ⊙ 대기만성(大器晩成)..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故事成語 - 나 ※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故事成語 - 나 0 ⊙ 낙백(落魄) ⊙ 낙양지귀(洛陽紙貴) ⊙ 낙정하석(落井下石) ⊙ 난의포식(暖衣飽食) ⊙ 난형난제(難兄難弟) ⊙ 남가일몽(南柯日夢) ⊙ 남귤북지(南橘北枳) ⊙ 남상(濫觴) ⊙ 남원북철(南轅北轍) ⊙ 남전생옥(藍田生玉) ⊙ 남취(濫吹) ⊙ 남풍불경(南風..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故事成語 - 가 ※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故事成語 - 가 0 ⊙ 가인박명(佳人薄命)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각자위정(各自爲政) ⊙ 각주구검(刻舟求劍) ⊙ 간담상조(肝膽相照) ⊙ 간담초월(肝膽楚越) ⊙ 간장막야(干將莫耶) ⊙ 강노지말(强弩之末) ⊙ 개과천선(改過遷善) ⊙ 개권유익(開卷有益) ⊙ 거안..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신판 4자 房事篇 신판 4자 房事篇을 보면.. 1. 天地陰陽 (천지간은 음양이라) 2. 雌雄遊戱 (암수 한 쌍 놀아나네 3. 雙方廉探 (서로 간에 눈치 살펴) 4. 以心傳心 (텔레파시 서로 통해) 5. 意氣投合 (좋고 좋아 얼씨구나) 6. 客室探訪 (몸 풀 곳을 찾고 있네) 7. 喜喜樂樂 (호호 하하 하하 호호) 8. 男女抱擁 (년 놈들이 끌어안고)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18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 용어 풀이 *** 나이를 나타내는 용어에는 의미가 있으니 재미로 한 번 읽어 보세요. 농경(弄璟) : 예전에는 아들을 낳으면 구슬[璟]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래한 말이고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경지경(弄璟之慶)이라고 합니다. 농와(弄瓦) : 마찬가지로 딸을 낳으면 실패(瓦)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08
한자 공부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추구(推句) 중학교 900字, 고등학교 900字 알기 쉬운 시사한자(時事漢字) 인명용(人名用) 한자표 잘못 읽기 쉬운 한자 한자성어·고사성어 기초 時事·常用한자 한자성어(고사성어) 풀이 한글 맞춤법 검사기(보관 사용)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9.09
한자 공부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추구(推句) 중학교 900字, 고등학교 900字 알기 쉬운 시사한자(時事漢字) 인명용(人名用) 한자표 잘못 읽기 쉬운 한자 한자성어·고사성어 기초 時事·常用한자 한자성어(고사성어) 풀이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0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