草書 (초서) ◈草書 (초서) 고대(古代)에서 중세(中世)로 접어들면서 문자(文字)의 활동도는 크게 신장됩니다. 이에 이전의 예서(隸書)가 지닌 혁신성 역시 크게 감소되면서, 보다 실용적으로 신속하게 문자를 쓸 필요가 생겨났고, 이에 부흥해서 크게 유행하게 된 초서(草書)가 등장하게 됩니다. 특히 현대에도 예..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楷書(해서);正書(정서) ◈楷書(해서);正書(정서) 서체의 변천사에서 해서체(楷書體)부터는 문자학적 논의보다는 예술적 논의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정서(正書)나 진서(眞書)의 명칭으로도 불리는 해서체는 현재까지 서예(書藝)의 기본 교습 서체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문자학적 논의보다는 예술..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隸書 (예서) ◈ 隸書 (예서) 고문자(古文字)들과는 다른 차원의 획기적으로 새로운 한자의 자형(字形)이 성립된 예서(隸書)는 진(秦)나라의 군현제(郡縣制) 실시라는 정치적인 배경이 이끌어낸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행정적 실용성이 중시되어 보다 빠르고 쉽게 문자를 쓰기 위해 고안되었던 것입니다. 상형(..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篆書 (전서)란 ◈ 篆書(전서) ; 小篆 (소전) 이전의 서체에서 획일적인 변화를 보인 전서(篆書)는 인위적인 수정 작업으로 인해 탄생된 서체였기에 통일된 특징을 갖추기 시작한 최초의 문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문자학의 연구 성과가 이룩되기 시작한 허신의《설문해자(說文解字)》의 기본 제시 자형을 소전(..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1.01.14
고사성어로 배우는 중국사 고사성어로 배우는 중국사 머리말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로서는 모든 영역에 있어 한문이 우리생활과 유리될 수 없는 표현수단이다. 이에따라 중국역사에서 일어났던 많은 이야기들이 우리들에게 널리 알려졌으며, 그로부터 유래된 고사성어들은 우리의 언어생활이나 행동약식에 있어서 지..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12.30
한자교본 자료 모음 ★아래 제목을 클릭!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추구(推句) 중학교 900字, 고등학교 900字 알기 쉬운 시사한자(時事漢字) 인명용(人名用) 한자표 잘못 읽기 쉬운 한자 한자성어·고사성어 기초 時事·常用한자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12.03
한문 숫자 계약서나 전표 등을 작성할 때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옛날부터 관습적으로 보통 쓰는 한자보다 획을 더 많이 하거나, 복잡한 다른 글자를 빌려다 썼습니다. 이렇게 모양과 구성이 전혀 다르게 된 한자를 <갖은자>라고 합니다. 즉, 一은 壹 二는 貳 三은 參 四는 肆 五는 伍 六은 陸 七은 柒 八은..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10.24
한자 배우기 1 육서의 분류 앞서 보았듯이 육서는 글자를 만드는 조자(造字)의 원리로 상형(象形), 지사 (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이 있고, 활용하는 운용(運用)의 원리로 전주 (轉注), 가차(假借)가 있습니다. 象形(상형) 象形은 "모양{形}을 본뜨다{象;코끼리 발자국에서 파생되어 '본뜨다'는 의미 생성}"는 뜻 그..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20
한자 배우기 2 副詞(부사) 정도 대표글자 - 最(최:가장), 甚(심:매우), 大(대:크게), 至(지:지극히), 益(익:더욱), 必(필:반드시), 尙(상:아직도), 常(상:항상) 예) * 我國必勝(아국필승) : 우리 나라는 반드시 이긴다. * 水至淸則無魚(수지청즉무어) : 물이 지극히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 시간 - 시제의 개념이 없는 한문에서는..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20
한자 배우기 3 後置詞(후치사) : 후치사는 명사의 뒤에 놓이는 경우인 '之(지)'를 의미하는데, 학계에서는 '之'에 대한 문법적 분석에 많은 異說(이설)을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之'의 助詞(조사) 성격 의미는 한문에서 있을 수 없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초학자가 '之'를 분류해서 이해하기 쉬운 수준에.. 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2010.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