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한문 숫자

淸山에 2010. 10. 24. 17:57
 
 
 

 

 


계약서나 전표 등을 작성할 때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옛날부터 관습적으로 보통 쓰는 한자보다 획을 더 많이 하거나, 복잡한 다른 글자를 빌려다 썼습니다.

이렇게 모양과 구성이 전혀 다르게 된 한자를 <갖은자>라고 합니다. 즉,

 

一은 壹

二는 貳

三은 參

四는 肆

五는 伍

六은 陸

七은 柒

八은 捌

九는 玖

十은 拾

百은 佰

千은 仟

으로 씁니다.

 

萬 , 億 , 兆 ...등은 그대로 씁니다.

아라비아 숫자 0은 한자로 ○ 또는 零을 쓰지만, ○은 한자(漢字)라기보다는 하나의 부호처럼 인식됩니다.

실제로 금전 표기 등에서는 ○이 쓰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예컨대 3,020을 한자로는 參○貳○이라고 하지않고, 參仟貳拾이라고 쓰기 때문입니다.


아뭏든 이 <갖은자>는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지라 다시 줄여서 쓰는 형편인 것도 잊어서는 안됩니다. 예컨대 壹이나 貳, 參자에서 다시 획수를 줄여서 쓰는 것입니다. 또한 仟도 엉뚱하게 "阡"이 대신 쓰이는 경우가 많지요.

그나마 요즘은 잘 쓰이지 않고, 써도 모르는 사람이 태반입니다. 그러니 갖은자를 잘 알고는 있되, 실제 생활에서는 한글을 사용하여 또박또박 쓰고, 괄호 안에 아라비아 숫자를 한번 더 쓰면 될 것입니다.

예컨대 "金參拾貳萬원整"이라고 쓰는 것보다는, "금삼십이만원정(₩320,000원정)" 이라고 쓰면 더 좋겠다는 말씀입니다.

 


漢数字

零 一 二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百      千     万 

零 壱  弐  参 肆 伍 陸 漆 捌 玖 拾 佰,陌  仟,阡 萬 (大字)

零 壹 貳 參 肆 伍 陸 漆 捌 玖 拾 佰,陌  仟,阡 萬 (旧字体)

 

 

 

 

'관심 & 배움 > 漢文 古史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로 배우는 중국사   (0) 2010.12.30
한자교본 자료 모음  (0) 2010.12.03
한자 배우기 1  (0) 2010.09.20
한자 배우기 2  (0) 2010.09.20
한자 배우기 3  (0) 2010.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