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漢文 古史 漢詩

漢詩의 이해

淸山에 2010. 9. 18. 18:09

 

 

 

 
 
**한시(漢詩), 일정한 격식에 따라 한문으로 지은 시로, 자연(自然)을 노래하거나 인생을 되새겨 보는 시적 정서가 함축된 표현 양식이다.
 

1.漢詩의 分類

  한시는 크게 당나라 이전에 성행했던 古詩(또는 古體詩)와 당나라 이후에 성행한 近體詩로 나눈다.

 1)古體詩(고체시)

  당()나라 이전에 지어졌던 시로써 평측(平仄)법과 압운(押韻)법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구()수도 제한없이 4자·5자·7자 등을 한 구로 하여 작자의 임의로 자유롭게 적은 시이다.

 2)近體詩(근체시)

  뜻을 위주로 지어졌던 한대(漢代)의 시는 육조(六朝) 시대에 이르러 점차 기교로 흐르게 되었고 당나라 초기에 엄격한 압운법과 평측법이 수립됨으로 하여 종래의 시와 다른 근체시라는 새로운 시형이 탄생하였다.

구  분 종  류 자  수 구  수 특    징
고 체 시 고  시 4 言 제한 없음 압운과 평측의 
제한이 없음
5 言 제한 없음
7 言 제한 없음
근 체 시 절 구 5 言 4  句 압운을 하며 평측의 제한이 매우 엄격하고 起.承.轉.結의 형태를 취함
7 言 4  句
율 시 5 言 8  句
7 言 8  句
배 율 5 言 8 句 이상 압운과 평측의 제한이 있으나 구수의 제한없음
7 言 8 句 이상

 ☆①言 : 한 구의 글자수.
               즉 1구의 자수가 5자이면 5言詩, 7자이면 7言詩
      ②律·絶 : ''은 율시의 준말로 8, ''은 절구의 준말로 4구체의 시
      ③四聲 : 소리를 ',,,'에 따라 나눈 네가지 갈래
               즉 平聲,上聲,去聲,入聲을 말함
      ④韻 : 운모(韻母)가 같으면서 사성의 ''이 같은 글자들의 모음.
              한자의 초성을 자모(子母), 중·종성을 운모(韻母)라 하는데 
              이 운모가 같으면서 사성의 성이 같은 계통의 글자들을 운이라 한다.

2.押韻法(압운법)

  특정한 곳에 공통의 운을 가진 글자를 배열하는 것을 압운(押韻:운을 단다)이라 한다. 한시는 고체시건 근체시건 짝수구의 마지막 글자에 압운한다. 그러나 고체시보다 근체시가 매우 엄격하다.

                                                 (의 표시가 자임)

                五言絶句(2)                   七言絶句(3)

      起句  ○  ○  ○  ○  ○          ○  ○  ○  ○  ○  ○ 
       承句  ○  ○  ○  ○            ○  ○  ○  ○  ○  ○ 
       轉句  ○  ○  ○  ○  ○          ○  ○  ○  ○  ○  ○  ○
       結句  ○  ○  ○  ○            ○  ○  ○  ○  ○  ○ 

               五言律詩(4)               七言律詩(5)

           2구,4구,6구,8구끝       1구,2구,4구,6구,8구끝

 3.對句法(대구법)

  '對句(대구)'란 문법상 기능이 같고 풀이 순서가 비슷하며 의미상 짝을 이루는 두 구를 가리킨다. 이는 시적인 운율과 뜻을 강조하는 데 효과가 있다.
율시는 8구에서 중간 4구는 두 개의 상반되는 대구를 이루어야 하고
절구는 제1구와 2, 3구와 4구가 대구를 이루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4.한시의 끊어 읽기

 1) 五言詩 : 2, 3자로 끊어 읽음

        月白 / 寒松亭(달 밝은 한송정의 밤)

 2) 七言詩 : 4, 3자로 끊어 읽음

       男兒二十 / 未平國(사나이 20세가 되어도 나라를 평정하지 못하면)

5. 한시의 전개 방식

  起⇒시상을 불러일으킴

       * 松下問童子(송하문동자) : 찾아온 사람이 동자에게 스승의 거처를 물어 
                                             대답을   유발
  承⇒기구를 이어 전개함

        *言師採藥去(언사채약거) : 스승이 계시지 않다는 단순한 사실을 전달

  轉⇒시상에 변화를 줌

        *只在此山中(지재차산중) : 사실은 계시다고 알려 호기심을 유발함.

  結⇒시상을 끝맺음

         *雲深不知處(운심부지처) : 계신 곳을 모르겠다고 신비성을 부여하며
                                              행적을  정리함

6. 한시의 예

 1)四言四句體古詩

            黃鳥歌      -고구려 유리왕-

   翩翩黃鳥 雌雄相(편편황조 자웅상의)
   念我之獨 誰其與(염아지독 수기여귀)
                펄펄 나는 꾀꼬리는 암수 서로 노니는데
                외로운 이내 몸은 누구와 함께 돌아갈꼬

 2)五言四句體古詩

             여수장우중문시    -을지문덕-

   神策究天文 妙算窮地(신책구천문 묘산궁지리)
   戰勝功旣高 知足願云(전승공기고 지족원운지)
                    신통한 꾀는 천문을 꿰뚫었고
                    기묘한 셈은 지리를 통달하였네.
                    싸움에 이겨 공이 이미 높았으니
                    만족함을 알고 돌아가길 바라노라.

 3)五言古詩 

             子夜吳歌       -이백-

   長安一片月 萬戶濤衣(장안일편월 만호도의성)
   秋風吹不盡 總是玉關(추풍취부진 총관옥관정)
   何日平胡虜 良人罷遠(하일평호로 양인파원정)
                    장안의 한 조각 달빛 아래            집집마다 다듬이 소리
                    가을 바람 끊임없이 불어오는데   이 모두 옥관의 님 그리는 정이네
                    어느 날 오랑캐를 평정하고          우리님 원정에서 돌아올꼬?

 4)五言絶句

                絶  句             -杜 甫-

   江碧鳥逾白 山靑花欲(강벽조유벽 산청화욕연)
   今春看又過 何日是歸(금춘간우과 하일시귀년)
                     강물이 파라니 새가 더욱 희고
                     산이 푸르니 꽃은 불타는 듯하다
                     올 봄도 보니까 또 지나가는데
                     어느 날이 돌아갈 해일련지?

 5)七言絶句

                    山中問答           -李  白-

   問余何事棲碧 笑而不答心自(문여하사서벽산 소이부답심자한) 
   桃花流水杳然去 別有天地非人(도화유수묘연거 별유천지비인간)
                          나에게 '무슨 일로 푸른 산에서 사는가'하는데
                          웃으며 대답치 않으나 마음은 절로 한가하네
                          복사꽃이 물에 흘려 아득히 떠내려가니
                          별도로 천지에 인간 세상이 아닌 곳에 있네

 6)五言律詩

               春  望            -杜 甫-

   國破山河在 城春草木(국파산하재 성춘초목심)
   感時花賤淚 恨別鳥警(감시화천루 한별조경심)
   烽火連三月 家書抵萬(봉화연삼월 가서저만금)
   白頭搔更短 渾欲不勝(백두소갱단 혼욕불승잠)

 6)七言律詩

                     江  村                -두보-

   淸江一曲抱村長夏江村事事(청강일곡포촌류 장하강촌사사유)
   自去自來梁上燕 相親相近水中(자거자래양상연 상친상근수중구)
   老妻畵紙爲碁局 稚子敲針作釣(노처화지위기국 치자고침작조구)
   多病所須唯藥物 微軀此外更何(다병소수유약물 미구차외갱하구)

 

                                                   
 
 
 
 

 

 

 

'관심 & 배움 > 漢文 古史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同字異義語(多義語)  (0) 2010.09.18
同 字 異 音 語 * 反 義 語  (0) 2010.09.18
단문 - 속 담· 격 언  (0) 2010.09.18
중요 虛辭의 용법  (0) 2010.09.18
문장의 구조-[文型]  (0) 201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