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1주년’의 의미와 우리의 과제 ‘광복 71주년’의 의미와 우리의 과제 금년 8월15일은 오직 ‘제71회 해방절’일 뿐이다. 동시에 8월15일은 1948년 대한민국의 건국이 이루어진 날이므로 대한민국의 ‘제68회 건국절’이나 ‘제68회 독림기념일’ 로 기념되는 것이 맞다. 이동복 ‘광복 71주년’의 의미와 우리의 과제 정부..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6.08.15
71년 전 오늘, 신생 대한민국의 갈 길을 밝힌 李承晩의 위대한 연설 71년 전 오늘, 신생 대한민국의 갈 길을 밝힌 李承晩의 위대한 연설 "민주주의를 전적으로 믿어야 될 것입니다. 민주제도가 어렵기도 하고 또한 더러는 더디기도 한 것이지마는 義(의)로운 것이 종말에는 惡(악)을 이기는 이치를 우리는 믿어야 할 것입니다. " 趙甲濟 요약: "민주주의를 전..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6.08.15
'대한민국 건국'이 단군을 모독한다는 교육부 '대한민국 건국'이 단군을 모독한다는 교육부 새 역사 교과서에서도 '대한민국 건국'을 금지시켜 생일 없는 나라로 만들 듯. 상해임시정부 수립이 건국이라면 건국한 뒤에 왜 독립운동을 했나? 趙甲濟 우기기 대회가 있었다. 4등으론 구제역이 지하철역이라고 우긴 사람이 뽑혔다. 3등은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6.08.14
유머(humor)로 마음의 장애를 극복한 링컨 대통령 유머(humor)로 마음의 장애를 극복한 링컨 대통령 링컨은 웃음을 스트레스 해소의 가장 좋은 처방으로 활용했다. 링컨은 미국의 역사뿐 아니라 미국인의 성격까지 바꿔놓았다. 김필재 미국의 링컨 대통령은 원래 잘 웃지 않는 사람이었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어머니를 잃고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6.08.10
美國 ‘남북전쟁’ 최후의 15일 - 迂餘曲折의 終戰 과정 美國 ‘남북전쟁’ 최후의 15일 - 迂餘曲折의 終戰 과정 미국의 소설가 제프 샤라가 1864년 11월부터 1865년 4월26일까지 셔만 장군의 부대가 미국 남부 남군의 후방에서 전개한 ‘초토화 작전’을 거쳐 종전(終戰)에 이르는 과정을 극적으로 그려낸 <운명적 번개>(The Fateful Lightening)의 마..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6.07.24
과학으로 빚은 맥주, 코펜하겐 칼스버그[우지경의 Shall We drink] <25> [우지경의 Shall We drink] <25> 과학으로 빚은 맥주, 코펜하겐 칼스버그 [중앙일보] 입력 2016.07.21 00:01 수정 2016.07.21 01:00 코펜하겐 뉘하운(Nyhavn) 부둣가 노천카페는 여름날 맥주를 마시기에 낭만적인 장소다. . “단 하루만 인간이 되어 천국 같은 세상을 살 수 있다면 300년의 삶을 내놓겠어..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6.07.21
중국의 후안무치, 구단선의 비밀을 밝힌다 중국의 후안무치, 구단선의 비밀을 밝힌다 by 이정훈 on 7월 13, 2016 in 反동북공정, 국방, 정치 남사군도 대략적인 위치 네덜란드 헤이그의 상설중재재판소(PCA)가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 중국이 암초를 매립해서 만든 인공섬을 기점으로 선포한 EEZ(배타적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6.07.14
추적: 한국戰爭 최후의 비밀 추적: 한국戰爭 최후의 비밀 맥아더가 중공군 개입 가능성 무시하고 北進한 이유 밝혀지다! 趙甲濟 / 金永男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 미군 정보기관, 맥아더-스페인 대사 대화록 감청, 擴戰 꾀하는 맥아더의 본심 파악해 트루먼에게 보고, 해임 ⊙ 丁一權, “맥아더는 이승만과 교감하에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6.07.06
上古史 논쟁, 양식과 룰을 지키자[동서남북] [동서남북] 上古史 논쟁, 양식과 룰을 지키자 이선민 선임기자 입력 : 2016.06.23 06:01 | 수정 : 2016.06.23 06:03 이선민 선임기자 지난 몇 년간 산발적으로 진행되던 상고사(上古史) 논란이 드디어 본격적으로 터져나올 것으로 보인다. 재야사학자들의 공격을 받던 강단사학계의 주류 학자들은 올..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6.06.23
‘죽음의 골짜기’에서 당한 ‘인디언 笞刑(태형)’ - ⑥ ‘죽음의 골짜기’에서 당한 ‘인디언 笞刑(태형)’ - ⑥ 《6·25전쟁의 현장》 (6) / “우리는 10만 명의 피난민을 철수시켰다! 세계사에서 유례가 없는 쾌거야! 한국판 ‘모세의 기적’ 아닌가!” 鄭淳台 중공군 제113사단은 사전에 협곡지대를 선점했다. 하지만, 제2사단 정찰대의 사전 정..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