賦得堂前 紅梅 당 앞의 붉은 매화를 두고 짓다 - 茶山 丁若鏞 <홍매> 금봉 박행보 寫 賦得堂前 紅梅 부득당전 홍매 당 앞의 붉은 매화를 두고 짓다 茶山 丁若鏞 窈窕竹裏館 牕前一樹梅 요조죽리관 창전일수매 깊고 그윽한 대숲 속 서옥 한 채 창 앞에 핀 매화 한 그루 亭亭耐霜雪 澹澹出塵埃 정정내상설 담담출진애 늙어도 꾸정꾸정 서리 눈 견디고서 맑고도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14
차가운 아름다움, 매화(梅花) 차가운 아름다움, 매화(梅花) 매화(梅花)는 예나 지금이나 시인묵객들에게 가장 사랑을 받아왔다. 근래 중국에서는 모란 대신 매화를 나라꽃으로 정했다 한다. 말하자면 모란이 가졌던 왕좌(王座)를 매화가 차지한 셈이다. 우리는 여기서 또 인정(人情)의 변화를 본다. 모란의 농염(濃艶)함보다 매화의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14
눈물 - 피천득 눈물 - 피천득 간다간다 하기에 가라하고는 가나 아니 가나 문틈으로 내다보니 눈물이 앞 을 가리워 보이지 않아라 스탠다드 석유회사 런던지점에 다니던 시인 월터 델라메어를 생각하면서 내가 텍사스 석유회사 서울 지점에 석 달 동안이나 취직을 하고 있을 때였다. 어느 날 오후, 그레이스라는 타..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14
습관 - 지니 습관 - 지니 습관은 참 무섭기도 하지요, 안부가 궁금해서 늘 그대의 곁을 스쳐서 야만 맘 편히 내 자리로 오니 말입니다 더위를 힘겨워하는 그대가 이 여름을 어떻게 견디며 사실까 하며 난 또 걱정하고 있네요 늘 그대는 내 심중 깊이에 쓰린 아픔으로, 뜨거운 열정으로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아무리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14
박쥐 박쥐는 오복(五福)을 가져다 주는 동물이라고 믿어 왔다. 오복이란 수(壽), 부(富), 강령(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을 말한다. 부작(부적)에도 오복의 수호신으로 상징되며, 덕을 많이 쌓은 사람의 행복을 방해하는 귀신을 쫓는 표상으로 그려진다. 풍수 지리서에는 산(山) 모양이 박쥐형일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10
우리가 진정으로 만나야 할 사람은 그리운 사람이다 우리가 진정으로 만나야 할 사람은 그리운 사람이다. 곁에 있으나 떨어져 있으나 그리움의 물결이 출렁거리는 그런 삶과는 때때로 만나야 한다. 그리워하면서도 만날 수 없으면 삶에 그늘이 진다. 그리움이 따르지 않는 만남은 지극히 사무적인 마주침이거나 일상적인 스치고 지나감이다. 마주침과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10
가장 좋은 벗 어느 사람이 부처님께 물었다. "어떤 사람이 객지에서 가장 좋은 벗입니까.?" "먼 길을 가는 사람에게 친절히 길을 안내해 주는 사람이다." "집안에서 가장 좋은 벗은 누구입니까.?" "정숙하고 어진 아내는 집안의 가장 좋은 벗이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가장 좋은 벗은 누구입니까.?" "서로 화목하게 지..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09
마음과 인픔은 곱게 늙어 가도록 노력 합시다 ♧ 마음과 인픔은 곱게 늙어 가도록 노력 합시다 ♧ 곱게 늙어 가는 이를 만나면 세상이 참 고와 보입니다 늙음 속에 낡음이 있지 않고 오히려 새로움이 있습니다 곱게 늙어 가는 이들은 늙지만 낡지는 않습니다 늙음과 낡음은 글자로는 한 글자 차이밖에 없지만 뜻은 서로 정반대의 길을 달리고 있습..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09
1초 동안 할 수 있는 행복한 말 1초 동안 할 수 있는 행복한 말 1초 동안 할 수 있는 행복한 말 처음 뵙겠습니다... 1초 동안 할 수 있는 이 짧은 말로 일생의 순간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고마워요... 1초 동안 할 수 있는 이 짧은 말로 사람의 따뜻함을 알 때가 있습니다. 힘내세요... 1초 동안 할 수 있는 이 짧은 말로 용기가 되살아날 때..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09
그리 살자 삶의 길엔. 지도가 없다 아무도. 삶의 지도를 가진이는 없다 방향없이 달리는 우리네 삶은. 삶의,지도가 없기 때문에. 우왕좌왕 헤매고 넘어지고 깨어지고 한다 다만, 그삶의. 지도는 경험으로만 터득될수 있는것이다 그러나 터득했다고 해서.. 다른사람에게 적용되는것은 아니다 . 그것은 오직 한사람..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