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주한미군 ⑫ 한국전쟁과 주한미군 ⑫ 1950. 6. 25. 한국전쟁으로 이 땅에 주둔하게 된 주한美軍. 어느 덧 6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이 땅의 자유수호를 위하여 공산주의에 맞서 치열한 전투 중에 전사한 수많은 젊은 美軍들. 행방불명이나 포로가 된 숫자도 상당히 많으며 여전히 생사불명인 美軍들도 많..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26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8)/ 맥아더가 알고 싶었던 한국군의 戰意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8)/ 맥아더가 알고 싶었던 한국군의 戰意“스탈린은 트루먼의 성깔을 자극했다” 鄭淳台 김홍일 장군의 공적 국군은 金弘壹(김홍일) 장군의 주도 하에 緖戰 패배로 뿔뿔이 후퇴하던 5개 사단을 3개 사단으로 재편성하고, 상급사령부로서 始興(시흥)지구전..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22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7)/ 국군, ‘한강대교 폭파’로 退路(퇴로) 막혀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7)/ 국군, ‘한강대교 폭파’로 退路(퇴로) 막혀 서울의 중학생들 인민군에 대거 ‘자원입대’해 鄭淳台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1960년대와 2010년대의 前方 만약 그때 야전삽 하나로 거뜬히 지하 벙커를 짓는 등 작업이라면 못하는 일이 없고, 더위와 추위에..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20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7)/ ‘한강대교 폭파’는 국군의 失策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7)/ ‘한강대교 폭파’는 국군의 失策인민군에 ‘자원입대’한 중학생들, 부역한 국회의원들… 鄭淳台 1960년대와 2010년대의 前方 만약 그때 야전삽 하나로 거뜬히 지하 벙커를 짓는 등 작업이라면 못하는 일이 없고, 더위와 추위에도 강한 농촌 출신 병사..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8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6)/ 渡河지점을 놓고 고심하는 국군 1사단 기** 鄭淳台의 6·25 南侵전쟁이야기(6)/ 渡河지점을 놓고 고심하는 국군 1사단 白善燁(백선엽) 국군 1사단장의 奮戰(분전) 鄭淳台 철로를 복원해 기차로 개성시 침입 6·25 남침이 개시된 그 시각에 38선의 軍 막사에 잠자고 있던 유일한 美 고문관은 한국군 제12연대에 배속되었던 조셉 다리..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5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1 ] ~ [ 4 ] 기**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1 ] 전쟁으로 시작 된 인연 최근 여러 문제점이 밝혀져 실망을 시키기도 했지만, 자주국방을 위한 노력으로 많은 국산무기들이 개발되었고 그중 일부는 오래전부터 제식화되어 국토 방위의 중요한 일익을 담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기는 개발을 하는데 있..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5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5 ] ~ [ 8 ] 기**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5 ] 바뀌어 버린 전쟁터 소규모로 출현한 중공군을 처음 격퇴하였을 당시만 해도 유엔군 최고사령부는 그다지 걱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중국 당국이 유엔군이 38선을 넘어 북진할 경우 참전하겠다고 엄포를 놓고 있었지만 한마디로 공갈포로 여겼습니다...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5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9 ] ~ [ 끝 ] 기** 투르크 용사들의 전설 [ 9 ] 트라우마가 되어버린 지옥의 사자들 역사적인 인연 때문인지 공교롭게도 한국전쟁 내내 터키군의 맞상대는 중공군이었습니다. 그런데 붙었다하면 중공군은 계속하여 혹독한 대가를 치렀고, 결국 터키군은 중공군에게 트라우마가 되어버렸습니다. 때문에..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5
굴욕의 고개 [ 1 ]~[ 7 ] august 의 軍史世界 조선 닷컴 blog.chosun.com/xqon 에서 가져 온 자료 굴욕의 고개 [ 1 ] KOREA ? 미국이란 나라야 워낙 많은 전쟁에 참전하였으므로 웨스트포인트 같은 군사교육기관에서 전사를 가르칠 때 자국이 참전 하였던 전투사만 가지고도 Case Study 로 공부 할만한 내용이 많습니다. 하지만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
운명을 거부한 부대 [ 1 ] ~ [ 5 ] 운명을 거부한 부대 [ 1 ] 가장 쉬운 승리 방법 두말할 필요 없지만 전투를 수행하는 모든 지휘관들은 승리를 원합니다. 승리라는 것은 단순히 생각하자면 적을 물리치는 것인데, 이런 단순한 목적을 이루기위해서는 여러 가지 복잡한 방법이 동원됩니다. 이를 작전이라고 하는데, 작전은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1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