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의 驚異 노르만 紀行 세계사의 驚異 노르만 紀行 이탈리아 남부, 시실리, 노르망디, 바이킹의 후예 노르만 戰士들의 발자취를 따라서. 趙甲濟 '세계사의 경이' 노르만 紀行 바이킹 戰士들은 프랑스의 노르망디에 정착, 문명화된 이후 잉글랜드와 남부 이탈리아 및 시실리를 정복, 유럽 최고의 번영을 이루면서..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8.07
作名의 천재 辛春浩 회장의 라면 철학 作名의 천재 辛春浩 회장의 라면 철학 "나는 서민을 위하여 라면을 만든 적이 없다." 農心, 새우깡, 진짜진짜 등을 직접 作名. 趙甲濟 '라면왕' 辛春浩 회장, '나는 서민을 위하여 라면을 만든 적이 없다.' '이건희 회장도 라면을 즐긴다. 라면은 서민만 먹는 게 아니다. 나는 국민을 위하여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8.03
李承晩의 이 편지는 민족사 最高의 名文 ** 李承晩의 이 편지는 민족사 最高의 名文 1950년 7월19일 트루먼 대통령에게 쓴 편지: "대통령 각하, 각하의 위대한 병사들은 미국인으로서 살다가 죽었습니다만, 세계 시민으로서 그들의 생명을 바쳤습니다." 趙甲濟 1950년 7월19일 李承晩 대통령은 임시수도 대구에서 해리 S. 트루먼 미국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8.02
制憲節(제헌절)을 맞아 정리한 헌법 이야기 制憲節(제헌절)을 맞아 정리한 헌법 이야기 趙甲濟 1948년 7월17일 국회의사당에서 대한민국 헌법을 공포하는 연설을 한 이는 李承晩 (이승만)국회의장이었다. 그는 이런 말을 했다. <일반 남녀가 각각 이 헌법에 대한 자기 직책을 다함으로써 자기도 法(법)을 위반하지 않으려니와 남들..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7.16
오마 샤리프의 사망, 그리고 닥터 지바고 이야기 오마 샤리프의 사망, 그리고 닥터 지바고 이야기 趙甲濟 영화 ‘닥터 지바고’에서 웃지 않는 의사 지바고를 연기하였던 이집트 출신 배우 오마 샤리프(Omar Sharif)가 어제 카이로의 한 병원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향년 83세. 지난 5월 외아들 타렉 엘 샤리프는 부친이 치매로 투병중이..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7.11
‘선생님’ 못지않게 ‘사장님’도 대접받는 시대가 되어야 ‘선생님’ 못지않게 ‘사장님’도 대접받는 시대가 되어야 英國에 다녀와 한국을 생각한다/세계무대에서는 3류에도 들지 못할 것 같은 한국의 지식인들이 또다시 나라를 좌지우지하기 시작하였다. 朴承用 <商人의 나라 영국> 나폴레온은 영국을 상인의 나라라고 하였다. 그는 영국..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7.09
한국인들이 잘 속는 이유 - 安保와 時間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한국인들이 잘 속는 이유 安保와 時間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趙甲濟 1. 安保를 빼고 정치 경제 문화 등 時局을 논한다. 안보는 나의 문제가 아니다, 그 누군가가 알아서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중요한 것을 도외시하고 논리를 펴니 공허하고 피상적이다. 2. 좋은 것을 이루는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6.27
한국 이슬람 60년 한국 이슬람 60년 한국 이슬람은 6·25 참전 터키군에 의해 전파돼 1955년에 시작됐다. 황성준 / 문화일보 논설위원 18일부터 시작되는 라마단을 놓고 러시아 무슬림이 논쟁하고 있다. ‘이슬람 금식 기간’으로 알려진 라마단은 이슬람력의 9월을 지칭한 말이다. 라마단은 ‘더운 달’이란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6.16
터키 격언, '이동에는 풍부함이 있다' 터키 격언, '이동에는 풍부함이 있다' 대한민국이 조선조나 북한보다 잘 사는 이유는 더 자유롭고 더 많이 이동한 덕분이다. 趙甲濟 터키 사람들이 즐겨 인용하는 말이 있다. 'harekette bereket var.' '하레케케 베레케트 발'은 '移動(이동)에는 풍부함이 있다'는 뜻이다. 유목민족인 투르크 족이..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6.04
자료/한국의 實力 자료/한국의 實力 趙甲濟 기독교, 대기업, 군대, 박정희 한국의 대기업 중심 발전 전략이 중소기업 중심의 대만을 누르고 新興(신흥) 경제권에서 단연 1등의 업적을 남기고 있다는 평가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은 역사적, 문화적으론 대기업이 성장하기 힘든 체질이었다. 일본계 미국 역사..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