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왕 辛春浩 선생(農心 회장)의 말과 글에선 철학자 같은 느낌을 받는다. 모습은 전혀 철학적이지 않는데 그분의 言動은 철학적이다. 철학적으로 보이지 않는 것은 말을 쉽게 하기 때문이고, 철학자처럼 느껴지는 것은 행동에 강한 원칙이 있어서이다.
한 인간의 수준과 思考의 깊이를 보여주는 건 언어를 다루는 기술이다. 특히 作名力이다. 정확한 용어를 쓰는 사람은 생각이 정리되어 있고, 행동도 頭序가 있다. 필자는 한국어를 사용하여 먹고 사는 記者를 43년째 하다가 보니 언어감각이 예민한 편이다. 辛春浩 회장처럼 作名力이 뛰어난 한국인을 본 적이 없다. 언어는 생각을 지배하고, 생각은 행동을 지배한다고 한다. 언어기술 중 가장 어려운 게 작명, 즉 이름을 짓는 일이다.
사람이든, 조직이든, 정책이든, 상품이든 작명이 잘못 되면 고생한다. 이름엔 영혼과 가치관과 理想과 이념이 들어간다. 이름은 정체성의 표현이다. 이름을 잘 지었다고 다 성공하는 건 아니지만 이름을 잘못 지으면 절대로 성공할 수 없다는 게 나의 관철결과이다.
辛春浩 회장의 회고록 ‘哲學을 가진 쟁이는 幸福하다’를 읽었다. 유교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현대 자본주의 세상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을 알 수 있었다. 흔히 改新敎, 즉 프로테스탄트의 윤리가 자본주의의 논리가 되어 개신교가 확산된 나라에서 경제발전이 성공한다는 학설이 정설로 되어 있다. 한국의 경제발전도 지난 100여 년에 걸친 기독교 확산과 연관시켜 설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박정희, 이병철, 정주영, 그리고 신춘호 선생은 개신교도가 아니다. 유교적 전통 속에서 성장한 분들이고, 기업경영에서도 유교적 가치관을 실천한 분들이다. 그렇다면 儒敎 안에 현대 자본주의에서 통용될 수 있는 규범과 가치관이 숨어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유교도 여러 가지인데, 조선조를 지배한 것은 가장 관념적인 주자학이었다. 주자학이 조선의 쇠망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는 주장은 일견 옳다고 본다. 하지만 공자 맹자의 실용적 유교나 양명학에까지 그런 누명 씌울 순 없을 것이다.
유교가 강조하는 至誠, 근검, 절약, 겸손, 질서, 仁義는 자본주의의 윤리로 손색이 없다. 조선조의 통치이데올로기가 된 주자학은 淸貧과 士農工商을 너무 강조하다가 보니 경제, 과학, 군대 부분이 약해졌다. 유교의 가치관을 실천할 수 있는 물질적 토대가 무너지니 그 좋은 명분도 위선의 껍데기로 전락하였다.
대한민국은 건국 직후부터 공산주의와 대결, 체제를 지키는 생존투쟁을 벌이다가 보니 군대, 경제,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기업은 우리의 安保수단, 생존수단이 되었다. 富國하지 않으면 强兵할 수 없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기업인이 역사의 무대에 주인공으로 등장한 것이다. 이런 조건 변화 속에서 유교의 실용적인 면이 필요해지고, 그것이 자본주의와 윤리와 별로 어긋나지 않고 오히려 補强하는 힘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종교개혁으로 기독교가 새로워졌듯이 유교도 자본주의와 만나면서 생동하는 새로운 사상으로 개혁할 수 있었다. 마르틴 루터가 舊敎를 공격하였듯이 辛春浩 회장도 선비의식에 매우 비판적이다.
<아무리 淸貧한 삶 속에 자족하여 산다고 해도 비가 새는 데 지붕 고칠 생각은 않고, 갓 쓰고 방안에 들어앉아 책이나 읽고 있어서야 되겠는가. 이런 지나친 선비정신이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더디게 만든 큰 요인이다. 이 선비의식을 벗어버리지 않으면 개인이고 나라고 다 망한다. 농심은 라면쟁이, 스낵쟁이라는 쟁이정신으로 시작하고 쟁이정신으로 끝을 봐야 한다. 서비스면 서비스, 기술이면 기술, 광고면 광고, 영업이면 영업, 각 방면마다 고객이 요구하는 자세가 있고, 수준이 있다. 우리는 기꺼이 그 요구에 따라서 맞춰야 한다. 그러자면 체면이니, 위신이니 하는 선비의식부터 씻어내야 한다. 이건 자존심의 문제가 아니다. 바로 생존의 문제이다. 요즘은 그 요구를 누가 더 철저하게 잘 듣느냐에 따라 살아남기도 하고 죽기도 한다. 그러니 어쩔 것인가. 다들 맡은 분야에서 프로가 되고 꾼이 되고 쟁이가 돼야 하지 않겠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