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세한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 가 그린 <세한도歲寒圖>는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의 정수精髓'라는 칭호가 따라 붙는다. 문인화란 선비들이 그리는 그림으로서 그림 자체보다는 그림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더욱 중요시한다. 정조대까지는 사대부 그리고 중인, 평민 계급의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09.09.03
자와 호에 대하여 ^ ♧ 자와 호에 대하여 ♧ 1. 정의 자(字) 본(本) 이름 대신 부르게 되는 이름. 곧 성인이 되었다는 증거가 되는 이름으로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 특히 성인식인 관례(冠禮 : 15~20세)가 행해짐과 동시에 윗 사람으로부터 본인의 기호나 덕망에 비추어 자(字)를 받게 된다. 자(字)가 생기면 본명은 별로 사..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9.03
어미새의 충고 - 이별과 도전 어미새의 충고 - 이별과 도전 어미새의 충고 어미 참새는 실연당한 딸 참새를 위로하기 위해 여행을 나섰습니다. 첫 번째로 간 곳은 산봉우리였습니다. 거기서부터 모녀는 물줄기를 따라 내려와서 산 밑의 웅덩이에 이르렀습니다. 물웅덩이에 풀잎하나를 따 던지면서 어미 참새가 말했습니다. “물줄..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09.09.02
박정희 대통령, 5.16혁명에서 10.26서거까지 ◈박정희 대통령, 5.16혁명에서 10.26서거까지◈ ▲5.16혁명 1961-5-16 ▲국가재건 최고회의 신임장관 임명 및 선서식 1961-5-21 ▲국가재건회의 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1961-5-22 ▲박정희의장 신년 시정발표 1962-1-5 ▲4.19의거 기념탑 제막식 참석 헌화 1963-9-20 ▲박대통령 내외분 새해 첫 날 국군묘지참배 분향 196.. 역사.정치.사회/朴正熙 照明 2009.09.02
백과사전에 실려 있는 박정희 박정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박정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글은 인물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인물에 관한 잘못된 서술은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으며, 부정확한 정보에 따른 서술은 논쟁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현존 인물의.. 역사.정치.사회/朴正熙 照明 2009.09.02
사진으로보는 한국전쟁[1] 사진으로 보는 6.25한국전쟁(1편)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10)> 해방, 미군 서울 입성과 한국정부 수립 이 사진들은 미국 워싱턴 근교 메릴랜드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것 중에서 필자가 가려 뽑아 보냅니다. 날짜와 지역은 사진 뒷면에 있..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2
사진으로보는 한국전쟁[2] 사진으로 보는 6.25한국전쟁(2편) -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점심은 평양에서…” 큰 소리쳤던 수뇌부들 이 사진이 50여년 전의 한국전쟁을 모르는 이에게는 실증적인 자료로, 그 당시의 참상을 아는 이에게는 지난 세월을 되새김질하는 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다시는 이 땅에 이와 같은 동족..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2
사진으로보는 한국전쟁[3] 사진으로 보는 6.25한국전쟁(3편) 3편: 1950년6월25일 북괴남침 한국전쟁 발발 ▲ 1951. 7. 10. 적진을 향해 불을 뿜는 155mm 곡사포. ▲ 1950. 7. 6. 전란으로 잿더미가 된 평택역. ▲ 1950. 7. 7. 전란 중의 천안 시가지 ▲ 1950. 7. 7. 미군이 포항으로 상륙하고 있다. ▲ 1951. 6. 3. 155mm 곡사포가 불을 뿜고 있다. ▲ 1950. 11..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2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4] 사진으로 보는 6.25한국전쟁(4편) 4편: 고달픈 피난행열과 1951년 1.4후퇴 ▲ 1950. 7. 29. 안동군민들의 피난 행렬. ▲ 1951. 1. 9. 강릉, 1. 4 후퇴로 눈길에 다시 피난을 떠나고 있다. ▲ 1951. 4. 23. 중공군 춘계대공세로 다시 피난길에 오른 사람들. ▲ 1951. 6. 27. 다리 부상으로 소를 타고 피난길에 나서다. ▲ 1951.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