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30 편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 30 편< b>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사진들입니다.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원문을 따랐음.이 사진이 기록물이 부족한 우리나라..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2
박정희 특별사진전 박정희 특별사진전 흥미진진... 제목 : 만주군 예비소위 박정희 내용 : 만주군 '예비소위' 박정희의 모습. 사진은 박정희가 만주 군관학교와 일본 육사(본과)졸업후 2개월간의 사관견습을 마치고 소위로 임관하기 직전인 1944년 6월말 일본군 소조(상사에 해당) 복장으로 ?은 것이다. 당시 만주군 장교는 .. 역사.정치.사회/朴正熙 照明 2009.09.02
워싱턴과 리 장군 워싱턴과 리 장군 • 출처: [중앙일보] 기사 본문 읽기 미국의 역사는 짧지만 그 어느 나라보다 극적이다. 영광의 순간도 많았지만 벼랑 끝에 선 적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자기 땅에서 벌어진 두 차례의 전쟁 때 특히 그랬다. 오늘날 미국이 지구상 유일무이의 초강대국이 된 것도 백척간두의 위기를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09.09.01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해방 8년사 ^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해방 8년사> ▲ 소련군 입성을 기다리는 조만식(1945.8.24) 국가기록원 제공 ▲ 북한지역 일본군 무장해제(조선인이 총을 들고 있다, 1945.8) 국가기록원 제공 ▲ 인민군 창건식(김일성과 태극기, 1948.2) 국가기록원 제공 ▲ 북한 최초의 선거(북조선 도-시-군 인민위원회, 1946.11)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9.01
저작권법에 저촉되는 곡인지 확인하는 검색창 저작권법에 저촉되는 곡인지 확인하는 검색창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음악(음원)의 저작권자를 간단히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검색도구를 마련하였으니 인터넷 웹사이트에 음악을 올리실 때 참고하세요. 검색해서 나타나는 음악은 저작권에 해당되는 음원이니 올리지 마시길... 1. 국내곡은 → 여기..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9.01
미군의 렌즈에 잡힌 한국전쟁 - 1 미군의 렌즈에 잡힌 한국전쟁 - 1. 치열한 전투현장 속으로 지난 7일 주한미군은 한국 전쟁 당시의 생생한 전장(戰場) 모습을 담은 사진을 플리커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주한미군 시설관리사령부(IMCOM-K)가 미 국방부 자료실로부터 받은 사진이라고 해요. 한국전쟁 당시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그대로 보..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8.31
미군의 렌즈에 잡힌 한국전쟁 - 2 미군의 렌즈에 잡힌 한국전쟁 - 2. 고단한 피난생활 지난 7일 주한미군은 한국 전쟁 당시의 생생한 전장(戰場) 모습을 담은 사진을 플리커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주한미군 시설관리사령부(IMCOM-K)가 미 국방부 자료실로부터 받은 사진이라고 해요. 한국전쟁 당시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그대로 보여줍니..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8.31
미군의 렌즈에 잡힌 한국전쟁 - 3 지난 7일 주한미군은 한국 전쟁 당시의 생생한 전장(戰場) 모습을 담은 사진을 플리커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주한미군 시설관리사령부(IMCOM-K)가 미 국방부 자료실로부터 받은 사진이라고 해요. 한국전쟁 당시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생과 사를 넘나드는 숨막히는 전장 속 군인들의 .. 역사.정치.사회/한국전쟁 史 2009.08.31
可는 언어이고 '가'는 소리이다! ^ 可는 언어이고 '가'는 소리이다! 漢字語는 漢字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吳之湖 吳之湖 『알파벳트 文明의 終焉』요약 異義同音語와 한글專用 吳之湖 高級 槪念을 갖는 漢字語는 2音節을 原則으로 한다. 그런데, 三千字가 서로 합하여 六十萬 單語가 되는 까닭으로, 낱개의 漢字의 경우와 같이 漢..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8.30
♧ 어느 여대생의 글 ♧ ♧ 어느 여대생의 글 ♧ 저는 젊은 20대 여대생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가난이라는 것을 전혀 몰랐기에 "경제발전" 이라는 말은 가슴에 다가오는 말이 아니었습니다. 원래 한국은 이 정도로 사는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었 습니다. 우리 윗세대 분들까지만 해도 방글라데시나 아프리 카 보다 못 살았던 세..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09.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