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의 농지개혁[새로 쓰는 대한민국 70년(1945~2015)] [새로 쓰는 대한민국 70년(1945~2015)] 자기 논 받은 농민들… "6·25때 대한민국 지키는 데 앞장" 주익종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입력 : 2015.03.21 03:16 [11] 이승만의 농지개혁 - 유상 몰수, 유상 분배 원칙 공산주의자였던 조봉암을 초대 농림부장관에 발탁, 한민당 반대 무릅쓰고 추진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3.21
" 5.16은 쿠데타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정답 " 5.16은 쿠데타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정답 <5.16은 군부가 물리력으로 合憲정부를 뒤엎고 정권을 잡은 점에서 쿠데타이다. 하지만 정권을 잡은 뒤 박정희 세력이 이 나라에서 한 일은 근대화 혁명으로 평가할 수 있다.> 趙甲濟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인사 청문회 때 자주 등장하는 질..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3.18
미국을 다시 생각한다[송희영 칼럼] [송희영 칼럼] 미국을 다시 생각한다 송희영 주필 입력 : 2015.03.07 03:00 援助·市場 제공하고 共産化 막은 美 없이 현재 번영 불가능해 중·일은 달라졌고 무게중심 변하는데 '反美'는 건재하다니 송희영 주필 2006년 12월 말쯤 영국 신문 가디언지(紙)를 읽다가 놀란 적이 있다. '(영국) 재무..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3.07
사우디가 겪은 ‘고난의 행군’ * 사우디가 겪은 ‘고난의 행군’ [중앙일보] 입력 2015.03.07 13:27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4일 찾은 사우디 아라비아는 엄격한 이슬람 신정국가다. 알사우드 왕조 자체가 이슬람 정통파·초보수파·엄격파·근본주의자·이슬람 청교도로 불리는 살리피즘과 정치의 결합체다. 18세기에 시작..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3.07
탈북 여성詩人 김수진의 手記錄 , 총 67건 [최신정보] 백년을 떨어진 곳에서 백년을 앞선 곳으로 탈북 여성詩人 김수진의 手記(7)북한에서 꿈꾸던 사회주의, 공산주의는 대한민국에 있었다. 나는 지옥에서 천국으로 들어섰다. 김수진(자유기고가) 조회 : 1494 [2014/11/24, 10:50] [최신정보] 사촌동생의 脫北…시시각각으로 조여..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5.02.13
탈북 여성의 고발詩, <우리 모두는 굶어죽었다>① 탈북 여성의 고발詩, <우리 모두는 굶어죽었다>① 산을 넋없이 바라만 보다/들판에다 그들을 묻었다/산이 아니어서/차마 흔적도 남기지 못한 채/평지처럼 묻어버렸다 김수진(자유기고가)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편집자 注>조갑제닷컴은 최근 脫北한 북한 여성(김수진·가명·46..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5.02.13
멋진인생 등 멋진인생 등 written by 90세 노인 이 글은 우리가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꼭 읽어야만 하는 글입니다!!반드시 끝까지 읽어보도록 하십시오!!!이 글은 오하이오주 클리브랜드의 플레인 딜러(Plain Dealer)에 사는 90세 노인인 레지나 브렛(Regina Brett)이 쓴 글입니다.“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기념..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5.02.12
빈곤이 어떤 것인가? ◐ 빈곤이 어떤 것인가? ◑ ☞ 불과 50여년 전의 우리의 자화상입니다. ☜ ♠ 풍요로움을 후손들에게 물려주신 옛날 어린이들 ♠ 누더기 옷에 헐벗고 굶주림에 살았어도 따스한 온정이 흐르던 시절 이었습니다. ▲ 추운겨울 냉기가 감도는 방에서 나와 따듯한 햇볕에서 늘 언몸을 녹이곤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2.12
'문창극 역사읽기'로 본 문창극 전 주필의 생각 읽기 '문창극 역사읽기'로 본 문창극 전 주필의 생각 읽기 백강녕 기자 입력 : 2015.02.12 10:54 | 수정 : 2015.02.12 11:50 작년 6월 친일 사관(史觀) 논란으로 총리 후보가 된 지 2주 만에 사퇴한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이 최근 ‘문창극의 역사 읽기’(기파랑 출판사)라는 책을 썼다. 문 전 주필은 이 책..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2.12
비잔티움 시대 비잔티움 시대 기원후 70년에 예루살렘이 로마에 의해 멸망하고, 132년 바르 코크바 반란 직후 팔레스타인은 더 이상 유대인의 땅이 아니었다. 325년 니케아 종교 회의는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받아들였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통치를 시작으로 팔레스타인은 '성지(Terra Sancta)'로 변..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