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 *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긴다 임종을 앞둔 늙은 스승이 마지막 가르침을 주기 위해 제자를 불렀다 스승은 자신의 입을 벌려 제자에게 보여주며 물었다 "내 입안에 무엇이 보이느냐?" "혀가 보입니다" "이는 보이지 않느냐?' "스승님의 치아는 다빠지고 하나도 남아있지 않습니다." "이는 다 빠지고 없는..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6
정민의 세설신어 - 설화(舌話) * 정민의 세설신어[48] 설화(舌話) 성대중(成大中·1732~1809)이 말했다. "재앙은 입에서 생기고, 근심은 눈에서 생긴다. 병은 마음에서 생기고, 허물은 체면에서 생긴다.(禍生於口, 憂生於眼, 病生於心, 垢生於面.)" 또 말했다. "내면이 부족한 사람은 그 말이 번다하고, 마음에 주견이 없는 사람은 그 말이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6
불가근 불가원(不可近 不可遠) ◈※ 불가근 불가원(不可近 不可遠) ※◈ 사람의 관계란 멀리 하면 서운한 감정을 가진 채 소원해지고 너무 가까이 살다 보면 누구나 가깝게 지내던 친구나 동료가 하루아침에 실망하여 관계가 악화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게 오해든 배신이든 관계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충격은 더 큰 법이다. 그..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6
세상에서 가장 깨지기 쉬운 것 ◈※ 세상에서 가장 깨지기 쉬운 것 ※◈ 어느 날, 고흐가 창가에 앉아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고 있는데, 한 사람이 물건을 포장하는 천으로 만든 옷을 입고 있는 게 보였습니다. 그 사람의 가슴에는 포장용 천으로 사용했던 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었는데 바로 천에 새겨진 글자 때문이었습니다. ▶‘Bre..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6
요산요수(樂山樂水)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하다'라는 뜻으로, 산수(山水)의 경치를 좋아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며, [논어(論語)]의(옹야(雍也))편에 지자요수(知者樂水)요, 인자요산(仁者樂山)이라. 지자동(智者動)하고, 인자정(仁者靜)이니. 지자락(智者樂)이면, 인자수(仁者壽)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6
과 골 삼 천((踝 骨 三 穿) 과 골 삼 천((踝 骨 三 穿) 과골삼천(踝骨三穿)이란 말을 한 동안 화두로 들고 지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강진 유배 시절에 제자인 황상(黃裳)의 글속에 나오는 말이다. 70 이 넘어서도 쉬지 않고 부지런히 메모해가며 책을 읽는 황상을 보고 사람들이 그 나이에 어디다 쓰려고 그리 열심히 공부를 하느..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6
일생中 행복의 시간은 얼마나 될까? 80년 동안 산 스위스의 한 노인이 자신의 삶의 내용을 따져본 결과, 잠자는 데 26년, 일하는 데 21년, 먹는 데 6년, 차나 사람을 기다리는 데 5년, 담배 피우는 데 3년 등이었지만, 행복했던 시간을 헤아려보니 불과 46시간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독일의 대문호 괴테는 일생에서 정말 행복했던 시간은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6
경신구사(敬身九思) 경신구사(敬身九思) 군자는 행동에 앞서서 깊이 생각해야 할 것 아홉 가지 조목이 있으니 사물이나 현상을 보거나 인식할 때는 명확하게 보아야 할 것을 생각해야 하며 남의 말이나 세상사를 들을 적에는 총명하게 들어야 할 것을 생각해야 하며 대인관계에 있어서 속에 들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정..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5
사람을 보는 방법 - 공자 사람을 보는 방법 무릇 사람의 마음은 험하기가 산천보다 더하고, 마음속을 꿰뚫어 보기는 하늘보기 보다 더 어려운 것이다. 하늘에는 그래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과 아침, 저녁의 구별이 있지만, 사람은 꾸미는 얼굴과 깊은 감정 때문에 알기가 어렵다. 외모는 진실한 듯하면서도, 마음은 교..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5
모든 것은 생에 단 한 번. - 法頂스님 * 한 번 지나간 시간은 다시 오지 않는다. 그때그때 감사하게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다음은 기약할 수 없다. 모든 것이 일기일회(一期一會)다. 모든 순간은 생애 단 한 번의 시간이며, 모든 만남은 생애 단 한 번의 인연이다. 지금을 어떻게 사는가가 다음의 나를 결정한다. 삶은 인간에게 주어진 길고 어..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0.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