鹿林작품 鹿林작품 鹿林 1962年3月5日,生于山东济南 1981年,毕业于山东青岛工艺美术学校后任教山东济南工艺美术学校 1991年,客居北京,现为职业画家 作品展览及发表 1985年山东国际青年年艺术奉献展济南 1986年鹿林抽象水墨观摩展北京 《幻想一号》《江苏画刊》86年第12期 1987年鹿林抽象水墨画展北京 《中..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2
김홍도(金弘道) 군선도(群仙圖) 외 김홍도(金弘道) 군선도(群仙圖) 외 작가 : 김홍도(金弘道) 아호 : 단원(檀園) 제목 : 군선도(群仙圖) 언제 : 18세기 말 재료 : 족자 종이에 담채 규격 : 53 x 28 cm 소장 : 호암미술관 해설 : 김홍도는 풍채와 태도가 아름답고 성미는 너그럽고 선선하여. 자질구레한 일에 구애되지 않아서 신선과 같은 인물” ..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2
한국화 기법 한국화 기법 한국화에서 먹의 농담(濃淡)이란 먹물의 진하고 연함을 말하며 붓글씨는 주로 농묵으로 쓰는 반면 그림은 주로 담묵으로 한다. 글씨는 먹색이 진해야 좋기 때문이고 그림은 각 특성에 맞는 조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농담을 섞어서 사용, 즉 먹의 색을 진하고,조금 진하고 연하고 조금 연하..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1
소재 유삼규(小齋) 柳三圭) 호랑이 그림 소재 유삼규(小齋) 柳三圭) 호랑이 그림 소재 유삼규(小齋) 柳三圭) 소재 선생은 광주광역시 출생으로 1942년 일본 대판목야 미술전문학교 졸업후 바로 선전(鮮展)에 입선(양화;인물화)하여 활동 하던중 1945년 해방후 부터 본격적인 호랑이 그림에 몰두 하였다. 선생은 작고 할때까지 부산에서 활동 하였..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1
김홍도와 신윤복의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김홍도와 신윤복의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조선시대 쌍벽을 이루는 풍속화가 김홍도와 신윤복의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사제지간이자 연인으로 그려지는 '바람의 화원'과 달리 실제 두 사람이 교류한 흔적은 역사적으로 찾아볼 수 없다. 모두 화원 가문 출신으로 천부적인 소질을 타고났음에도 불구하..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1
추사‘불기심란(不欺心蘭)’도 추사‘불기심란(不欺心蘭)’도 지조없는 이들에게는 심난했을 ‘불기심란도(不欺心蘭圖)’ KBS 진품명품 700회 특집 나온 추사 김정희 '불기심란' 세상이 심난하다. 마음도 심난하다. 그런데 내 앞에 한 그림이 떠올랐다. KBS 진품명품 700회 기념방송에 나온 추사 김정희의 '불기심란'(不欺心蘭)도이다. ..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1
高麗歳寒三友図 高麗歳寒三友図 세한삼우도. 海涯題、絹本墨畵、131.6x98.8、日本妙滿寺 古畵備考 권50、朝鮮書畵傳에는 이 그림을 海涯 필 高麗末 朝鮮初의 것으로 싣고 있다. 쌍송 중 앞에 있는 것은 크고 바르며 뒤에 있는 것은 작고 굽어 있다. 또한 두그루의 소나무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삼각형 구도를 이루고 ..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1
영류詠柳 영류詠柳 작자 : 하지장賀知章 번역 : 청계자淸溪子 벽옥장성일수고 만조수하사사조 碧玉妝成一樹高 萬條垂下綠絲絛 부지세엽수제출 이월춘풍사전도 不知細葉誰裁出 二月春風似剪刀 華三川畵於海上 * 해설 : 버드나무를 읊음 푸른 옥으로 장식한 높은 나무 한 그루 늘어진 만개의 가지마다 푸른 실..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1
북한 걸작품 미술 14점 북한 걸작품 미술 14점 . [봄]평양미술대 학부장역임(공훈) 김재혁 대표작:<만경대로 가는길>, <2.8문화회관이 보이는 곳에서>, <등꽃과 참새>, <화창한 봄날> 이들 작품은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퇴근길]국전(평양) 9회 특선 (인민) 리창. 아시아. 유럽 여러나라등 에서 개인전.. 문학 & 예술/화폭의 예술 2011.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