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인 1960년에 쿠데타를 일으켰던 터키 군부는 가을에 정권을 민간 정부에 이양하겠다고 약속한 가운데 군내의 갈등, 폭동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3년 전 프랑스 식민지 알제리 주둔군의 반란을 계기로 과도 정권 담당자로 추대된 드골은 항구적인 정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내각제를 대통령 중심제로 개헌하고 대통령에 취임했다. 그는 군부의 불만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면서 알제리에 독립을 허용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다. 박정희는 쿠데타 전에는 버마식 군부 통치를 선호했으나 정권을 잡은 다음엔 군이 병영으로 돌아가서는 민간 정부를 조종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린다. 혁명 주체들은 드골 헌법을 만들어 새로운 보수 정당을 중심으로 정치 세력을 규합한 드골과 프랑스의 안정된 권력 구조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국가재건최고회의 기획위원회의 최고고문으로 발탁되었던 유진오 고려대 총장은 6월1일 AP통신과의 회견에서 ‘드골 헌법과 유사한 권력 구조로서 정권 이양을 할지도 모른다’는 요지의 발언을 했었다. 6월27, 28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박정희 부의장의 특별 기고 ‘指導者道(지도자도)’에서 그는 우리 국민의 전반적인 수준은 자유민주주의를 실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단정했다. <우리나라 국민의 대부분은 강력한 他律(타율)에 지배받던 습성이 제2의 천성으로 변하여 자각, 자율, 책임감은 극도로 위축되어 버렸다. 책임감 없는 자유가 방종과 혼란과 무질서와 파괴를 조장하였다. 인권 존중 사상이 토대가 되어야 할 민주주의는 모략, 중상, 무고로 타락해 버렸다. 의무감이 박약한 권력층은 국민과 유리되어 권력을 남용하고 부패분자들과 결탁하여 巨富(거부)를 축적했다. 경제인들은 정치인과 결탁하여 부정 융자, 탈세, 밀수, 재산의 해외 도피 등 악랄한 수단을 동원하였고… 지도자는 대중과 유리되어 그 위에 군림하는 권위주의자나 특권 계층이 아니라 그들과 운명을 같이하고 그들의 편에 서서 동고동락하는 동지로서의 의식을 가진 자라야 한다. 지도자는 모름지기 대중 속에 뿌리박아야 한다. 그러하지 않으면 李(이) 정권과 張(장) 정권의 전철을 밟게 될 뿐만 아니라 조국을 소생시킬 방도를 잃게 될 것이다. 지도자는 대중과 항상 호흡을 같이 하며 그들이 가장 절실하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여 가장 가능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찾을 수 있고, 자기가 확신하는 방향과 가장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납득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협력을 자극하고 이끌고 나갈 용기를 가진 자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