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무연장, 혼인연령 제한까지… 北군인들이 끓고 있다[주성하 기자의 서울과 평양사이] 복무연장, 혼인연령 제한까지… 北군인들이 끓고 있다 [주성하 기자의 서울과 평양사이] 5월 평남 온천비행장에서 명예의장대를 사열하는 김정은 부부. 동아일보DB 주성하 기자 “김정은에게 미친 짓 좀 그만두라 하고 싶습니다. 자기는 어린 나이에 장가가서 고운 여자 데리고 부화방탕..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4.09.23
노예군단 맘루크 이야기 노예군단 맘루크 이야기 몽골군단을 물리쳐 중동과 아프리카를 지켜낸 戰士들. 趙甲濟 Painting of a Mamluk, 1779. 세계사에는 바이킹 海賊(해적), 몽골 騎馬(기마)군단, 사무라이, 요한 기사단, 예니세리(오스만 터키의 외인步兵), 프랑스의 외인부대와 같은 용맹한 戰士집단들이 등장, 커다란 ..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4.09.18
인천상륙작전 64돌, 맥아더를 과대평가하는 한국인들 인천상륙작전 64돌, 맥아더를 과대평가하는 한국인들 아직도 많은 한국인들은 트루먼 대통령이 맥아더가 하자는 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北進통일을 하지 못했다고 오해한다. 趙甲濟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악마의 변호인 朴正熙 전기(全13권) 趙甲濟의 現代史이야기(全14권) 내일은 64년 ..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4.09.14
참모의 鬼才 세지마가 말하는 참모의 哲學 참모의 鬼才 세지마가 말하는 참모의 哲學 趙甲濟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악마의 변호인 朴正熙 전기(全13권) 趙甲濟의 現代史이야기(全14권) 일본에서 참모라고 하면 소설 '不毛地帶(불모지대)'의 모델인 세지마 류조(瀨島龍三)를 연상한다. 幼年학교-陸士-陸大를 수석이나 차석으로 졸업..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4.09.14
절대 알 수 없는 중국의 진실, 정글만리(조정래 소설가)[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절대 알 수 없는 중국의 진실, 정글만리(조정래 소설가) https://www.youtube.com/watch?v=H2hntYRmQyM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4.09.11
“北에 주는 교회헌금, 김정은 사치품 구매용” “北에 주는 교회헌금, 김정은 사치품 구매용” 한국의 상당수 교회는 북한의 인권참상에 대해 입을 굳게 닫지만, 유엔의 김정은 사치품 제재에 대해선 한 목소리로 성토한다. 金成昱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악마의 변호인 朴正熙 전기(全13권) 趙甲濟의 現代史이야기(全14권) 1. “한국 정..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4.09.11
세계사의 驚異 노르만 紀行(1) 세계사의 驚異 노르만 紀行(1) 7000명이 200만을 정복하다! 趙甲濟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세계사의 경이' 노르만 紀行 바이킹 戰士들은 프랑스의 노르망디에 정착, 문명화된 이후 잉글랜드와 남부 이탈리아 및 시실리를 정복, 유럽 최고의 번영을 이루면서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축붐을 일..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4.09.02
앉아만 있어도 뇌물이 쌓이는 ‘물 좋은’ 北 간부 직책은? 앉아만 있어도 뇌물이 쌓이는 ‘물 좋은’ 北 간부 직책은? 주성하 기자 입력 2014-09-02 03:00:00 수정 2014-09-02 08:48:56 [주성하 기자의 서울과 평양사이] 2006년 평양 김일성경기장에서 축구경기 판정에 항의하는 학생을 보안원들이 끌어내는 모습. 보안원들을 비롯한간부들의수탈은점점심해지..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4.09.02
병영문화 개선 모델은 카투사?[대한민국 군대 바꾸기] [대한민국 군대 바꾸기] 병영문화 개선 모델은 카투사? 김정현 인턴기자 입력 : 2014.08.31 19:53 | 수정 : 2014.08.31 19:59 내가 체험한 카투사 23개월 2008년 6월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 인근. 이른 아침 완전군장을 한 군인들이 고통스러운 얼굴로 도로를 내달렸다. 나도 그 무리에 섞여 거친 숨을 고.. 역사.정치.사회/관심 세상史 2014.09.01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텐트용 천이었던 데님을 작업용 바지 천으로 사용한 것은 1850년 무렵에 ‘리바이 스트라우스’라는 광부가 데님 바지를 만들어 입어 본 것이 그 시작이다. 데님 바지는 착용감이 매우 좋은 데다가 튼튼해서 오래 입을 수 있었기 때문에 좋은 평판을 얻었다. 데님..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4.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