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은 무엇일까?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은 무엇일까?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은 무엇일까? 인간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영위하고 싶어 하지만 행복의 조건이란 자칫 잘못하면 물질적인 것에만 치중 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안고 있기도 하다. ‘돈이 많으면 행복해질 것이다. 좀 더 예뻐지면 행복해..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5.07
딸에게 보내는 엽서 딸에게 보내는 엽서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중앙일보]입력 2012.05.05 00:00 / 수정 2012.05.05 00:00 정진홍 논설위원 # ‘산티아고 가는 길’을 걷겠다고 집을 떠난 지도 벌써 한 달이 다 돼 가는구나. 아빠가 어느 샘터에서 배낭을 내려놓은 채 마른 목을 축이고 있을 때 누군가 다가와 내 배낭에..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5.05
세상 어느 것도 혼자인 것은 없다 ♧ 세상 어느 것도 혼자인 것은 없다 ♧ 세상 만물은 그렇게 서로 만나는 것들로 이뤄져 있지요 산이 높은 하늘에 입맞춤하고 파도가 서로를 포옹하고 꽃과 나무도 만나고 햇살이 지구를 포옹하고 달빛이 바다에 입맞추고 . . . 영국 시인 "셀리"는 그렇게 시를 쓰면서도 그런데 정작 사람..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5.05
참을인(忍) 자의 비밀 ◈♣ 참을인(忍) 자의 비밀♣◈ 참을인(忍)자는 칼도(刀)자밑에 마음심(心)자가 놓여있습니다 이대로참을인(忍)자를 해석하자면 가슴에 칼을얹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가만히 누워있는데 시퍼런 칼이 내가슴위에 놓여있습니다 잘못하다가는 가슴위에 놓인 칼에 찔릴지도 모를 상..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4.30
가난한 사람과 부자의 차이 가난한 사람과 부자의 차이 하바드 경영대학원의 리처드 S. 테들로우 교수는 '아무 편견이 없는 것이 바로 돈이기 때문에 돈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돈을 존중한다는 것은 사실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싶다는 뜻이기도 하다. 돈은 결코 한군데 머물러 ..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4.24
天下大勢(천하대세)는 불리하지 않다! 天下大勢(천하대세)는 불리하지 않다! 4·11 총선 교훈을 잘 살리면 12·19 大選으로 한반도의 守舊기득권 세력인 從北과 김정은을 한꺼번에 날릴 묘수가 생긴다! 趙甲濟 한국은 1948년 8월15일 자유민주주의行 기차를 타고 출발하였다. 당시 2000만 국민들중 민주주의라는 기차를 타본 사람..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4.23
홍(紅)매화 - 최인걸 홍(紅)매화 - 최인걸 겨우내 마알간 그리움을 나뭇가지마다 걸었다. 폭 삭혀진 그리움 봄바람에 간지러워 밤새 미치도록 긁었다. 말간 그리움이 가지마다 붉게 맺혀 고웁게 피어나더이다. 그 이름 홍매화 분홍저고리 입고 입술 깨문 소녀여라. 비탈길 언덕배기 행여 뉘 오시려나 꽃잎 떨..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4.03
노르망디 상륙작전 ‘트로이 목마’ 노르망디 상륙작전 ‘트로이 목마’ 손자병법으로 푸는 세상만사 <18> 전쟁과 거짓말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참석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자세한 거짓말은 편지로 보내겠습니다.” 케니스 필즈의 『거짓말의 즐거움』에 나오는 얘기다. 영국의 사회학자 라크만의 연구..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3.18
Mommy's manual '엄마의 안내서' [윤희영의 News English] Mommy's manual '엄마의 안내서' [윤희영의 News English] hyyoon@chosun.com 네살, 여섯살, 두 아들을 두고 못내 세상을 떠났다(leave this world). 겨우 35년 살았는데, 말기암이라고 했다(be diagnosed with terminal cancer). 필사적으로 버텼다(break her ass). 허락된 시간은 고작 2년. 영국의 엄마 케이트 그린은 지난 1..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2.03.14
한자에서 좋은 글과 귀한 뜻 모음 한자에서 좋은 글과 귀한 뜻 모음 알아야 할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 역사.정치.사회/좋은글 窓가 201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