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희귀종 ‘아무르표범’ 쌍둥이 英서 탄생 한국산 희귀종 ‘아무르표범’ 쌍둥이 英서 탄생 한반도에 주로 서식하며 ‘한국 표범’ 또는 ‘조선 표범’이라 불렀지만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한 희귀 ‘아무르표범’의 쌍둥이가 영국서 탄생했다. 아무르표범은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대형 고양잇과 동물 중 하나로, 한반도가 분포..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18
도심에서 벌꿀 채취하는 한국양봉협회 관계자 도심에서 벌꿀 채취하는 한국양봉협회 관계자 newsis.com All rights reserved 【서울=뉴시스】조종원 기자 5일 오전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옥상에서 열린 양봉장 현장설명회에서 한국양봉협회 관계자가 꿀을 채취하고 있다. 서울시는 도쿄번화가인 긴자 건물 옥상에서 양봉장 꿀을 수확하는 긴..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16
[조선일보 환경운동 20년] 환경 불모지 한국, 20년만에 쓰레기 반으로 [조선일보 환경운동 20년] 환경 불모지 한국, 20년만에 쓰레기 반으로 박은호 기자 이메일unopark@chosun.com 1992년 '쓰레기를 줄입시다' - 브라질 '리우 선언' 직후 시작 1993년 '자전거를 탑시다' - 대기환경 개선·에너지 절약 1994년 '샛강을 살립시다' - 낙동강 수질오염 계기로 2009년엔 2차 자전..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15
알제리 '죽음의 강' 한국업체 기술로 살린다 알제리 '죽음의 강' 한국업체 기술로 살린다 이석우 기자 이메일yep249@chosun.com 정한국 기자 이메일korejung@chosun.com [첫 해외 하천복원 사업 수주] 대우건설, 5억달러 규모 계약… 양재천·청계천·안양천 등 복원 과정 좋은 평가 받아 세계 환경시장 급격히 커져 비슷한 공사 수주 잇따를 듯 ..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15
"이놈들이 효자야" 한 해 20억 어치 주렁주렁 "이놈들이 효자야" 한 해 20억 어치 주렁주렁 [중앙일보] ‘색깔 있는 마을’이 부자 된다 ③ 전남 순천 향매실마을 전남 순천시 향매실마을에서 50여 년 전 남편과 함께 매화나무를 처음 심었던 황순례씨(왼쪽)가 수확한 매실을 보여 주고 있다. [프리랜서 오종찬] 지난 10일 오후 2시쯤 전..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14
3억년 전 잠자리는 꼬마 키 크기 “새 먹잇감 안되려고 몸집 줄였을 것” 3억년 전 잠자리는 꼬마 키 크기 “새 먹잇감 안되려고 몸집 줄였을 것” 3억 년 전, 고생대 때 살았던 메가네우라는 날개를 펼친 길이가 70cm에 달하는 거대 곤충으로 1880년 프랑스에서 처음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이런 거대 곤충이 중생대 이후 현재와 같이 작은 곤충으로 진화한 이유에 ..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08
서울시청 옥상 ‘도심 양봉장’, 꿀 40ℓ 첫 수확 서울시청 옥상 ‘도심 양봉장’, 꿀 40ℓ 첫 수확 정유진 기자 sogun77@kyunghyang.com 대기오염 때문에 도심에서 사라졌던 꿀벌이 서울시청 옥상에 날아들었다. 지난 4월 서울시가 한국양봉협회의 도움을 받아 시청 옥상에 벌통을 놓은 이후부터다. 서울시는 “꿀벌들이 도심 곳곳의 꽃들로부..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06
오리 가족 나들이 ㅎㅎ ‘오리 떼 뿅뿅뿅!’ 3일 대구도시철도공사 사옥 4층 야외 테라스에 흰뺨검둥오리가 10마리의 새끼를 부화해 걸음마를 시키고 있어 눈길을 끈다. 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날아왔다”며 “1개월 후 경북대 조류환경생태연구소에 넘겨 야생적응훈련을 거친 뒤 자연..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05
어린 보라매의 ‘홀로날기’ [생태줌인]어린 보라매의 ‘홀로날기’ 위클리경향 888호 이번호부터 매월 1회씩 생태 사진을 게재합니다. 이재흥 조류사진가의 생생한 사진으로 천연기념물의 생태를 관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주> 어미새가 새끼 새에게 먹이를 주고..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04
그 섬에 날고 싶다 - 저어새 & 노랑부리백로 [생태줌인]그 섬에 날고 싶다 위클리경향 891호 서해 최북단 무인도. 인천에서 여객선으로 2시간 넘게 걸리는 연평도 인근에 위치한 그곳은 새들의 온전한 천국이었다.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와 노랑부리백로가 많았다. 인간과 충돌이 없는 새들의 고향 무인도. 천안함 사태.. 관심 & 배움/자연 & 환경 2012.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