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 예술/옛시조 모음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漢字, 세상을 말하다]

淸山에 2015. 3. 14. 18:34



 


 



[漢字, 세상을 말하다]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중앙일보] 입력 2015.03.14 15:31 / 수정 2015.03.14 15:37   
   


 
한(漢)나라 원제(元帝·BC74―BC33)는 색(色)을 밝혔다.

장안(長安)의 미인이라는 미인은 모두 궁(宮)으로 불러 들여 궁녀로 삼았다. 그렇게 들인 여인이 3000여 명. 원제는 궁녀를 바꿔가며 밤을 보냈다. 고르는 것에 지친 그는 화공 모연수(毛延壽)에게 궁녀들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했다. 그림을 보고 여인을 간택하기 위해서다.


왕소군(王昭君)이라는 이름의 궁녀도 있었다. 절세 미인이 따로 없었다. 후대인들이 그를 서시(西施), 양귀비(楊貴妃), 초선(貂蟬)등과 함께 중국 고대의 4대 미인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왕소군은 이미 고령이 된 원제에 별 뜻이 없었다. 다른 궁녀들은 모연수에게 돈을 줘가며 잘 그려달라고 매달렸지만, 왕소군은 그러지 않았다. 당연히 그림 속의 얼굴은 실물보다 이쁘지 않았다.


어느 날 북방의 흉노족 족장이 원제를 만나 한족 여인을 아내로 삼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흉노족을 잘 보듬어야 했던 원제는 가장 이쁘지 않은 궁녀를 그에게 보내기로 했다. 그가 바로 왕소군이다. 원제는 작별 인사 차 온 왕소군을 보고는 깜짝 놀랐다. 그림과는 달리 절세 미인이었던 때문이다. 모연수의 비리 행각을 알게 된 원제는 그 자리에서 그의 목을 잘랐다. 그럼에도 흉노와의 약속은 지켜야 했다. 왕소군은 눈물로 떠나게 된다.


이국 땅으로 가는 길, 왕소군은 고향 생각이 나 금(琴)을 연주했다. 아름다운 선율이었다. 한 무리 기러기가 날개 움직이는 것을 잊고 그만 땅으로 고꾸라질 정도였다. '낙안(落雁)'이라는 말이 그래서 생겼다.


훗날 많은 화가들이 왕소군을 그렸고, 시인들은 그의 애달픈 삶을 노래했다.

그 중에서도 잘 알려진 게 바로 당(唐)나라 측천무후의 좌사(左史)였던


동방규가 쓴 '소군원삼수(昭軍怨三首)'다.


오랑캐 땅에는 꽃도 풀도 없어(胡地無花草)
봄이 왔으되 봄같지 않구나(春來不似春)
나도 모르게 옷 띠가 느슨해졌나니(自然衣帶緩)
몸이 약해진 때문만은 아니리니(非是爲腰身)


이 시에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는 말이 나왔다. 1980년 신군부 등장 때 JP(김종필)가 읊어 더 유명해진 글귀다. 또 봄이다. 우리는 지금 진정한 봄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던가….

한우덕 중국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