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三十六 計

21計 금선탈각(金蟬脫殼)

淸山에 2009. 8. 28. 17:06

 

 
 
 

 
 

 
21計 금선탈각(金蟬脫殼)

-금빛 매미는 허물을 벗어야 만들어진다.  
 
여름은 매미 울음소리에 시작되고 그 울음이 그치면 끝난다. 매미가 성충으로 살아 있는 기간은 일주일, 길어봤자 한 달이라고 하는데, 그 기간을 위하여 적게는 6년에서 많게는 17년이라는 기간을 애벌레로 지낸다고 한다. 기껏해야 한 달의 시간을 지상에서 보내기 위하여 애벌레로 몇 년이고 참고 기다릴 줄 아는 매미는 생존을 위하여 우리가 얼마나 많은 인내와 인고의 시간을 가져야 하는지를 잘 가르쳐준다.
 
애벌레에 불과하던 매미가 성충이 되어 금빛 날개를 가진 화려한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순간은 영역과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자유롭게 넘나드는 무계신선(無界神仙)의 유연함과 분방함을 느끼게 한다. 옛날 사람들은 자연 속에서 매미의 화려한 변신을 보았고, 그 속에서 생존의 원칙을 보았다. 그것을 생존 전략으로 이용한 것이 21계(計) 금선탈각(金蟬脫殼)의 전술이다.

금빛(金) 매미(蟬)가 껍질(殼)을 벗는(脫) 것은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적응이고, 인내하고 기다린 자의 화려한 변신의 성공이다. 매미에게 완성과 끝은 없다. 끊임없이 자신의 모습을 포기하고 버림으로서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지나간 내 모습에 집착하여 새로운 상황을 받아들이는 일에 주저하였다면 매미는 지구상에서 벌써 멸종된 개체가 되었을 것이다. 매미의 생존 비결은 새로운 상황에 대하여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대기업에서 고위 임원을 지내다가 호텔 웨이터로 변신에 성공한 분은 금선탈각의 전술을 완전히 이해하신 분이다. ‘내가 누군데. 왕년에 대기업에서 임원으로 수많은 직원들을 거느리던 내가 어떻게 그런 일을 할 수 있는가?’하며 지나간 자신의 모습에 집착하여 다가온 상황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과 조직은 영원히 생존에서 실패할 것이란 것이 자연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충고다.
 
손자병법에서는
‘군대의 모습은 물을 닮아야 한다(兵形象水).’고 강조한다. 물은 높은 곳을 피하여 아래로 흘러내린다. 물의 움직임은 순리(順理)다. 다가오는 상황을 거부하거나 역류하지 않는다. 애벌레가 순리면 애벌레로 존재하고, 금빛 날개의 매미가 될 상황이면 지나간 껍질에 미련을 두지 않고 훌훌 털어 버릴 줄 안다.
 
‘물이 지형에 따라 물줄기를 바꾸듯이 군대도 적의 상황에 따라 승리의 방법을 변화시켜야 한다.’ 세상엔 바뀌지 않는 상황이란 없다. 따라서 승리의 전술도 한가지가 아니다. 한번 승리한 전술로 또다시 승리를 기대한다면 오산이다. 어제의 상황과 오늘의 상황이 틀리듯 승리의 전술도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바뀌어야 한다. ‘물에 일정한 모양이 없듯이 군대에도 일정한 형세가 없다.’ 영원히 잘되는 조직도 없고, 영원히 잘 되는 아이템도 없다. 모든 것이 잘 되어 나갈 때가 가장 위험한 순간이다.
오늘 유행하는 품목에 집착하지 말고 내일 상황에 맞는 품목을 준비해야 한다. 이것이 영원한 승리를 얻는 조직의 모습이다.
 
손자는 이렇게 상황의 변화에 따라 나를 변화시켜 승리를 쟁취하는 군대를 귀신같은 군대라고 말한다. 누구나 예측 가능한 전술을 사용하는 조직이면 순간적인 승리밖에는 얻지 못한다. 귀신같은 조직은 누구도 예측하거나 짐작하지 못하는 영원한 승리를 추구하는 조직이다.
어려울 땐 처음을 돌아봐야 한다. 고정된 나는 없다. 성공한 지금의 나도 실체는 아니다. 나는 매일 허물을 벗을 때 존재한다. 매미를 보면 생존이 보인다.
 

영원히 내 껍질에 집착하지 말라는 ‘금선탈각’의 정신은
일신(日新) 우일신(又日新)의 생존 전략이다.    
 
 
 

 

'관심 & 배움 > 三十六 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計 부저추신(釜底抽薪)   (0) 2009.08.28
20計 혼수모어(混水摸魚)   (0) 2009.08.28
22計 관문착적(關門捉賊)   (0) 2009.08.28
23計 원교근공(遠交近攻)   (0) 2009.08.28
24計 가도벌괵(假道伐?)   (0) 2009.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