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riet Smithson as Ophelia
Harriet Smithson
우리 속담에 "아내가 예쁘면 처갓집 말뚝보고도 절한다" 했던가... 1828년 Irish 연극 배우, Harriet Smithson의 Paris 공연에서 첫눈에 그녀에게 반해버린 Beriloz에게 Irish 시인 Thomas Moore의 시는 이 "처갓집 말뚝"이었을런지 모른다.
영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Berlioz는 친구 Thomas Gounet를 설복,
Moore의 시를 French 버젼으로 번역하게 하고 곡을 붙여 Neuf Mélodies irlandaises
(9개의 Irish Melodies)로 출판하였다. 1829년 5월과 12월, 약 6개월 만에 이 곡들의 기초가 완성되었다니 Berlioz 작품에 Smithson이 끼친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 symphonie fantastique나 Lelio는 말할 것도 없고 - 여기 수록하는 곡은 Neuf(9) Mélodies irlandaises 증 L'Origine de la harpe 이다. (이 곡은 몇번 접했지만 별 흥미를 느끼지 못했는데 Francoise Pollet의 버젼으로
듣고나서, vocal의 경우 가수의 해석에 따라 곡의 전달이 많이 다를 수
있음을 다시 확인하며 게시한다) The origin of the harp Text: Thomas Moore 'Tis believed that this Harp, which I wake now for thee Was a Siren of old, who sung under the sea; And who often, at eve, through the bright waters roved, To meet, on the green shore, a youth whom she loved. But she loved him in vain, for he left her to weep, And in tears, all the night, her gold tresses to steep, Till heaven look'd with pity on true-love so warm, And changed to this soft Harp the sea-maiden's form. [Still her bosom rose fair — still her cheeks smiled the same - While her sea-beauties gracefully form'd the light And her hair, as, let loose, o'er her white arm it fell, Was changed to bright chords uttering melody's spell.] Hence it came, that this soft Harp so long hath been known To mingle love's language with sorrow's sad tone; Till thou didst divide them, and teach the fond lay To speak love when I'm near thee, and grief when awa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