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 예술/옛시조 모음

두보의 시 73수를 연재하고 - 미산 윤의섭

淸山에 2009. 8. 14. 13:50

^

 


두보의 시 73수를 연재하고 - 미산 윤의섭

 

 

중국 시가사상 시성의 호칭을 얻은 두보는  시인이 있은
이래 가장 위대한 시인이라 말한다.


그의 열열한 애국과 심각한 연민憐民에서 토해낸 시편들
은 그대로 현실을 그렸고 절절히 비판한 사실적인 서사
시인데서 시사詩史의 이름까지 받으니 가히 시인의
으뜸이라 하고 있다.

 

인간사회에 대한 집요한 성실성은 깊은 동정을 거처서
그 시기에 비친 우수를 낳았고 세상의 절박한 정신은
장엄한 대자연과 대결하는 시구로 승화했고 나아가서
그것을  반죽하는 묘를 이루기도 한다.


그의 시는 표현의 적정함과 정확함과.치밀한 언어로
항상 반듯한 아름다움으로 진실을 깃들게 하기위해
강한 생명을 넣고 있다.

 

중국시에서는 그 으뜸을 당시에 두는데 초사楚辭.
서경.한.위.육조.로 이어오고 도연명 사경운에 이르
는 시의 맥이 당시唐詩에 와서 그 전성을 이루고  그
중에도 이백과 두보의 성당시盛唐詩가 두드러 졌다.

 

당대에 2000 여 시인의 5만여편의 시를 남겨 중국역
사상  위대한 시의 시대를 이루었다면 그 한가운데
에 이백과 두보의 시가 쌍벽을 이룬다 하겠다.

 

다시 이들을 말한다면 이백은 唯美主義와

超現實主義라면
두보는 한자 한구 조각하여 그의 온몸을 바친것이어
서 뼈를 깎아내는 고통의 산물이다


이백은 그의 술동이가 철철넘처 흐르는 것과 함께
시가 넘처흐르는데  반대로
두보는 아무리 즉흥시라 할지라도 절절한 자기정련의
극치에서 시가 나옴을 알수 있다.

 

그의 시 작품과 시풍이 한국에 미친 영향은 크다.
고려시대에 이제현.이색이 크게 영향을 받았고,
중국인 채몽필의 저작인 《두공부초당시전(杜工部
草堂詩箋)》황학의 보주(補註)의 《두공부시보유
(杜工部詩補遺)등이 복간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그의 작품이 특히 높이 평가되
었는데,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가 5차례나
간행되었고, 성종때는 유윤겸등이 왕명을 받아 그의
시를 한글로 번역한 전역서분류두공부시언해


(分類杜工部詩諺解:杜詩諺解)》를 간행하였으며,
또 이식의 저서《찬주두시택풍당비해(纂註杜詩澤風
堂批解)》26권은 두시가 한국에 들어온 이후 유일한
전서(專書)이다.


현대의 것으로는 이병주의《두시언해비주(杜詩諺解批
註), 양상경의《두시선》등이 알려져 있다

그동안 읽어본 두보의 시를 마음에두고  앞으로 연재할
그의 대표작들의 정수를 탐색해보기로 한다.

 



열두줄 가야금/김용임

 

퍼온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