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보의 시 공부
兵車行上(병거행상.출정위한 행군) - 미산 윤의섭
車轔轔 수레소리 덜거덕
차린린
馬蕭蕭 말 울음이 시끄러운데
마소소
行人弓箭各在腰 출정하는 병사들 활과 살을 허리에 차고
행인궁전각재요
耶娘妻子走相送 부모처자 총총거름 뒤쫓으며 전송하네
야랑처자주상송
塵埃不見咸陽橋 먼지 날아 함양교 뒤덮였고
진애불견함양교
牽衣頓足欄道哭 옷잡고 발을 굴러 길을막고 통곡하니
견의돈족난도곡
哭聲直上干雲霄 울음소리 하늘 구름 뚫을 듯 하네
곡성직상간운소
道傍過者問行人 길을 가던 내가 병사에게 물으니
도방과자문행인
行人但云點行頻 병사는 징발 잦다며 말하기를
행인단운점행빈
或從十五北方河 어떤이는 열다섯에 북쪽황하 수비에 나가
혹종십오북방하
便至四十西營田 마흔살 오늘까지 서쪽 둔전 병영에 있오
편지사십서영전
去時里正與裹頭 떠날때 촌장께서 두건 싸주셨거늘
거시리정여과두
歸來頭白還戍邊 돌아와 백발에도 여전히 변방 지키지요
귀래두백환수변
邊庭流血成海水 변경에 흘린 피 바다 같으니
변정유혈성해수
武皇開邊意未已 상감의 정벌의욕 가시지 않네.
무황개변의미이
.............................
*兵車=전차부대 *轔轔=수레바퀴 소리
*蕭蕭=숨찬 말이 씩씩댐 *行人=여기서는 출정하는병사
*弓箭=활.살 *在腰=허리에 차다 * 耶娘=부모
*咸陽橋=장안의 위수다리
*牽衣頓足=옷을 당기고 발을 구름
*欄道哭=길을 막고울다 *干雲霄 =구름과 하늘을 뚫고
*道傍過者=곁길을 가는사람(두보) *點行=강제소집
*頻=빈번 *從十五=열다섯살부터(丁은 21세)
*北方河=북쪽황하의 수비
*西營田=서쪽변경의 둔전(농사지으며 수비하는 병영)
*里正=촌장(100호기준) *裹頭=두건을 싸매다
*還=아직도 *戍邊=변경을 지킴 *邊庭=변경
*바다물울 아루다 (749년 당군이 토번 정벌에 수만명.
그 다음다음해 南詔정벌시 6만을 전사시킴)
*武皇=한무제의 무력정벌을 본따는 당현종을 간접비유
(漢家=한이라 표현하여 당시의 현실을 풍자함)
751년 운남정벌에 6만이 전사하고 고선지는 大食國을
정벌하고 안록산은 글안을 치느라 많은 병사를 잃었다
자치통감에 보면 각지의 사람을 마구 잡아 족쇠를
채우고 운남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퍼온 글
*
'문학 & 예술 > 옛시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보의 시 공부 - 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下 (0) | 2009.08.14 |
---|---|
두보의 시 73수를 연재하고 - 미산 윤의섭 (0) | 2009.08.14 |
춘향전 - 어사시 & 옥중시 (0) | 2009.08.14 |
두보의 시 공부 - 寓目(우목.눈에 띠는것들) (0) | 2009.08.14 |
두보의 시 공부 - 同谷縣作歌1(동곡현에서1) (0) | 200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