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빵 '사촌' 찐방 만드는 법 ■ 호빵 맛있게 찌는 법 '물기 적신 후 랩으로 돌돌~ 호빵은 찜통에 따끈하게 쪘을 때 최고의 맛을 발휘한다. 찜기가 번거롭다면 호빵에 분무기로 한 두 차례 물을 뿌린 다음, 랩으로 하나씩 돌돌 감싸서 전자레인지에 돌린다. 1~2개는 30초, 3개 정도라면 1분이면 충분하다. 더 쉬운 방법은 비닐포장에 구..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10.01.05
통계로 보는 祖國의 엄청난 발전과 國力 「통계로 보는 대한민국」주요지표 목록 및 설명 Ⅰ. 주요지표 목록 부 문 주 요 지 표 1. 국토 및 기후 국토면적 및 이용, 기온, 강수량·습도 및 일조시간, 황사 2. 인구 및 가구 인구추이, 인구구조, 고령화, 출산율, 기대수명, 혼인, 이혼 등 3. 고용·노동 경제활동인구 및 실업률, 성별 및 종사상 지위..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12.16
아리랑의 의미 아리랑의 의미 아리랑”은 한국민족의 상징적인 대표적 민요로서 아득한 옛날부터 한국 민족의 사랑을 받으며 널리 불려진 노래일 뿐 아니라, 오늘날 처럼 남북이 분단되어 올림픽 단일팀이 하나의 국가를 부르기 어려울 때에는 “아리랑”을 국가처럼 합창하여 한민족임을 확인한다, 그러면 서도 ..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12.04
화투 48장에 숨겨진 비밀 [ 화투 48장에 숨겨진 비밀 ] [화투 48장에 숨겨진 비밀을 아십니까?] <<화투는 일본문화의 축소판>> 몇 년 전, 국내의 한 여론조사 전문기관이 성 인남자들에게 “여가시간 때 가장 많이 즐기는 게임이 무엇이냐?”라는 설문조 사를 했던 적이 있다. 그 때 압도적인 표 차이로 1위를 차지한 것이 ..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11.28
朝鮮朝 四大名筆 ^ 朝鮮朝四大名筆 安平大君 李瑢(이용, 본관 전주, 1418∼1453)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 端宗의 王자리를 넘보자 단종편에 섰다. 계유정란으로 金宗瑞·皇甫 仁등이 죽임을 당했다. 이 때 아들 이우직은 진도에서 죽었다. 호는 梅竹軒, 世宗의 셋째아들, 의춘군의 아버지, 명필로 아려졌으며 작품으로「世..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10.04
꼭 없애야 할 7가지 나쁜 버릇 꼭 없애야 할 7가지 나쁜 버릇 1. 소리나게 껌씹는 버릇 딱딱 소리가 나게 껌을 씹는 사람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지? 긴장하거나 걱정되는 일이 있을 때, 또는 단지 심심해서 등 이유는 다양할 테지만, 주변에 있는 이들을 불쾌하게 만드는 것은 마찬가지다. 자신도 모르게 껌을 소리내서 씹게 된다면,..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9.16
사찰(寺刹) 예절 사찰(寺刹) 예절 사찰 예절 우리는 불교를 믿거나 안믿거나 등산길이나 나들이길에서 종종 많은 사찰과 마주치게 됩니다. 지금까지는 그냥 절이거니 하면서 지나친적이 많았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조계종에서 펴낸 책자에 쓰인 절을 찾아서라는 내용을 접하면서 불교 신자분은 믿음으로 아닌분은 관..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9.12
도리도리·잼잼·짝짜꿍의 의미는 ^ 도리도리·잼잼·짝짜꿍의 의미는 * 엄마가 아이에게 처음 말을 가르칠 때, 가장 먼저 알려주는 말이 있다. 도리도리, 잼잼, 곤지곤지 같은 단어들이 그렇다. 간단한 몸동작과 함께 재미있는 놀이처럼 아이들에게 알려주지만 정작 그 속에 담긴 뜻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 말은 단순히 아..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9.10
족보 이야기 ^ 족보 이야기 1. 족보의 의의 족보(族譜)는 성씨와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의 하나로 시조(始祖) 부터 역대 조상의 얼과 우리나라의 역사가 담겨져 있으며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이 족보에 실려있어 나와 집안의 뿌리를 알수있는 한 집안의 역사책이다. 이에 따라 옛날부터 족보는 집안의 보물..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9.10
우리나라 성氏,역사,족보 ^ 우리나라 성氏,역사,족보 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 등을 성으로 삼았다. - 신농씨(神農氏)의 어머니가 강수(姜水)에 있었으므로 .. 역사.정치.사회/알면좋을 庫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