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閨怨(여인의 한 맺힌 후회) - 王昌齡(왕창령)
閨中少婦不知愁
규중소부불지수
春日凝妝上翠樓
춘일응장상취루
忽見陌頭楊柳色
홀견맥두양류색
悔敎夫婿覓封侯
회교부서멱봉후
별당에 새색시 근심이 무언지 몰랐는데
맨드리 단장하고 봄 맞으러 누대에 올랐더니
문득 길가에 푸른 버들가지 본 뒤에
낭군을 벼슬 찾아 보낸 일이 후회스럽다.
맨드리는 "옷을 입고 매만진 맵시"를 이른다.
왕창령(王昌齡 698~755) 당나라 때 사람 자 소백(少伯). 강령(江寧 江蘇省 南京) 출신.
727년 진사에 급제하여 비서성 교서랑(秘書省 校書郞)이 되었고, 734년 박학굉사(博學宏詞)의 시험에 합격하여 범수(氾水 河南省)의 위(尉)가 되었다. 그러나 소행이 좋지 못하다 하여 강령의 승(丞), 다시 용표(龍標 湖南省)의 위(尉)로 좌천되었다. 그의 별명이 시천자(詩天子)이니 시선(詩仙 李白),시성(詩聖 杜甫),시불(詩佛 王維),시귀(詩鬼 李賀)와 함께 시인으로서 그 위치를 짐작할 수 있겠다.
그 임지의 이름을 따 왕강령(王江寧) ·왕용표(王龍標)로 불리기도 했다.
안녹산(安祿山)의 난으로 고향으로 돌아가다가 자사(刺史)인 여구효(閭丘曉)에게 죽음을 당하였다.
그의 시는 구성이 긴밀하고 착상이 청신하며, 이백(李白)과 아울러 일컫는 칠언절구의 명수로서,
규원(閨怨)의 작품이 많다. 여인의 사랑의 비탄을 노래한 장신추시(長信秋詩) 규원(閨怨),
변경(邊境)의 풍물(風物)과 군인의 향수를 노래한 출새(出塞) 종군기(從軍記)가 유명하다.
시집 왕창령전집(王昌齡全集)(5권)과 그의 저술로 전하여지는 시론서 시격(詩格) 시중밀지(詩中密旨) 각 1권이 남아 있다.
*
'문학 & 예술 > 옛시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間三樂(사람의 세 가지 즐거움) - 문가(文嘉) (0) | 2009.09.11 |
---|---|
들매화(野梅) 絶句 - 이후백(李後白) (0) | 2009.09.11 |
昨夜江南雨(지난밤 강남에 내린 비) - 작자미상 (0) | 2009.09.11 |
고봉(孤峯)과 퇴계(退溪) - 마지막 만남의 이별 (0) | 2009.09.11 |
희증처첩(戱贈妻妾) - 김병연(金炳淵) (0) | 2009.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