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10월은 전통적으로 단풍놀이의 계절인 동시에 본격적인 사슴 사냥철이다. 10월의 화투를 보면, 10점짜리 화투에 수(♂)사슴과 단풍들이 등장하는 것도 그러한 계절의 특성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사슴을 의미하는 시카(鹿; しか)와 단풍을 뜻하는 카에데(丹楓; かえで)간에도 말운(末韻)과 두운(頭韻)이 일치하는데 이것 역시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11월과 12월을 의미하는 화투는 한일 양국 간에 큰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 ‘오동’은 11월의 화투이고 ‘비’는 12월의 화투인데 반해, 일본은 그 반대이다. 즉 일본에서는 ‘비’가 11월의 화투이고 '오동’은 12월의 화투이다. 일본에서 ‘오동’이 12월의 화투가 된 것은 ‘오동’을 뜻하는 기리(きり)가 에도시대의 카드였던 ‘카르타’에서 맨 끝인 12를 의미했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러한 점들을 사전적으로 이해하고 화투 ‘오동’과 ‘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고스톱을 즐기는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은 오동이다. 속칭 ‘똥광’으로 불리는 오동의 광(光)은 광으로도 쓸만하고 피(皮) 역시 오동만이 유일하게 3장이다. 물론 일왕을 상징하는 9월의 화투 중에서 10점짜리가 쌍 피가 되겠다고 하면, 9월의 화투도 피가 3장이 될 수 있다.
한국인들에게 더러움, 지저분함, 고약한 냄새의 이미지를 주는 오동이 왜 고스톱꾼들에게는 제일로 각광 받는 화투패가 되었을까? 그 비밀은 오동의 화투 문양에 있다. 오동의 20점짜리 광(光)에는 닭 모가지 모양의 이상야릇한 조류와 고구마 싹 같은 것이 등장한다. 한국인들은 그 대상이 무엇이고, 또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나타내 주는지 잘 알지 못한다.
그런데 11월의 화투문양 중에서 검정 색깔의 문양은 고구마 싹이 아니라 오동잎이다. 일본 화투를 보면 오동잎이 매우 선명하게 묘사되어 있다. 또 오동잎은 일왕보다도 더 막강한 힘을 갖고 있었던 막부의 쇼군을 상징하는 문양이며, 지금도 일본 정부나 국공립학교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사용되고 있다. 심지어는 일본 화폐 500엔(¥)짜리 주화에도 오동잎이 도안으로 들어가 있을 정도다. 그리고 닭 모가지와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는 조류 또한 평범한 새가 아니다. 그것은 막부의 최고 권력자인 쇼군의 품격과 지위를 상징하는 봉황새의 머리이다.
이쯤 되면 일본인들이 왜 그렇게 오동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감이 잡힐 것이다. 한국인들은 오동에 숨겨진 엄청난 비밀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 채, 단지 점수를 나는데 유리한 화투 오동의 광(光)과 3장의 피(皮)에만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러면 9월의 화투문양인 국화와 11월의 화투 문양인 오동 중에서 누가 더 끗발이 세다고 할 수 있을까? 당연히 화투 ‘오동’이 더 세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국화만 가지고 있게 되면 광 박을 뒤집어쓰지만, 오동의 광을 갖고 있으면 광박을 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월의 화투문양을 보면 20점짜리 ‘비’광(光)에는 양산을 쓴 선비, 청색의 구불구불한 시냇가 개구리가 등장한다. 또 10점짜리 화투에는 색동옷을 걸친 제비가 나오고 쌍피로 각광을 받는 ‘비’ 피를 보면 정체불명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고스톱에 사족을 못 쓰는 노름꾼들에게 광 대접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화투 패가 엉망일 때, 제일 먼저 집어내 버려야할 대상으로 지목되는 ‘비’광을 보노라면, ‘광 팔자가 따라지 팔자’라는 말이 불현듯 떠오른다.
절기상으로 12월은 추운 겨울에 해당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비’ 광을 살펴보면 웬 낯선 선비 한 분이 양산을 받쳐 들고 ‘떠나가는 김삿갓’처럼 어디론가 가고 있다. 그리고 축 늘어진 수양버들(실제로는 녹색인데, 검은색으로 처리되어 있다.) 사이로 실개천이 흐르고 있고, 그 옆에는 개구리 한 마리가 앞다리를 들며 일어서려는 모습을 하고 있다. 땅 속에서 겨울잠을 자고 있어야 할 개구리가 혹한의 계절인 12월에 등장하는 것 자체가 매우 신기하다.
그러나 ‘비’광 속에 나오는 그림은 과거 일본 교과서에서도 소개된 적이 있는 유명한 ‘오노의 전설’을 묘사한 것이다. 즉 ‘비’광 속의 갓 쓴 선비는 오노노도후(小野道風)라는 일본의 귀족으로서 약 10세기경에 활약했던 당대 최고의 서예가다. 한국 화투에서는 일본 화투에 나오는 그 선비의 갓 모양만 일부 변형시켰을 뿐, 나머지는 일본 화투와 동일하다. 또 개구리를 뜻하는 카에루(かえる)와 양산을 의미하는 카사(かさ)의 두운(頭韻)이 일치하는 것도 일본인들의 풍류 의식에 따른 것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다.
‘오노의 전설’에 대한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일본의 서예가였던 오노가 붓글씨에 몰두하다 싫증이 나자 잠시 방랑길에 올랐다. ‘비’광에 등장하는 선비의 모습이 머나먼 방랑길을 떠나는 오노의 모습이다. 그런데 오노가 수양버들이 우거진 어느 길목에 다다랐을 때 아주 이상한 광경을 발견했다. 그것은 개구리 한 마리가 수양버들에 기어오르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는 것이었다.
개구리는 오르다가 미끄러지고 또 오르려다 미끄러지기를 여러 차례 반복했지만, 그 실패에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오르기를 시도하는 것이었다. 오노는 연속적인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고 수양버들에 기어오르기 위해 노력하는 개구리의 모습을 한참동안 지켜보았다. 그리고는 “미물(微物)인 저 개구리도 저렇게 피나는 노력을 하는데 하물며 인간인 내가 여기서 포기해서 되겠는가?”라는 깨달음을 얻은 뒤 곧장 왔던 길을 되돌아가 붓글씨 공부에 정진하였고 결국 일본 최고의 서예가가 되었다고 한다.
또 쌍피로 대접받는 ‘비’피의 문양을 보면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 방안의 커튼, 문짝 등 여러 가지가 연상된다. 그런데 ‘비’피의 문양은 ‘죽은 사람을 내보내는 일종의 쪽문’으로서, 라쇼몬(羅生門)이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미 1950년에 다이에이(大映) 영화사가 라쇼몬(羅生門)이라는 영화를 제작(감독: 구로사와 아키라, 주연: 미후네 도시로, 교마치코) 하여 큰 관심을 거두기도 하였다.
한편, ‘비’피가 쌍 피로 대접받는 것은 라쇼몬이 죽은 시신을 내보내는 문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귀신이 붙어있을 것이고 따라서 귀신을 잘 대접해야만 해코지를 면할 수 있다는 일본인의 우환(憂患)의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싶다.
이와 비슷한 예는 우리 주변에서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흔한 얘기로 ‘손’이라 함은 귀신을 의미한다. 어른들이 가족의 중대사 (예: 결혼, 이사 등)를 결정할 때 가장 먼저 체크하는 것이 ‘손’없는 날인가의 여부다. 그때의 ‘손’이 바로 귀신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인들은 ‘손’이라는 단어보다는 ‘손님’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쓴다. ‘님’자를 붙여주는 이유 또한 ‘손’에다 ‘님’자를 붙여줌으로써 귀신에게 해코지를 당하지 않으려는 심리 때문이 아닐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