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보의 시 공부
*두보(30대에)의 이상을 자세히 표현한글로 상중하로 나누어 실른다
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上)(위좌승께 올리는글.상편) - 미산 윤의섭
紈袴不餓死 비단옷 귀공자는 굶어죽지 않건만
환고불아사
儒冠多誤身 유관 쓴 선비들은 노상 쪼달립니다
유관다오신
丈人試靜聽 어르신 잠시 들어주십시오
장인시정청
賤子請具陳 천한 이몸 삼가 말씀 올립니다
천자청구진
有昔少年日 저는 옛날 어린 나이에
유석소년일
早充觀國賓 이미 장안에서 과거에 뽑혔었고
조충관국빈
讀書破萬券 만권의 책을 독파하여 통달하였고
독서파만권
下筆如有神 마치 신이 들린듯 시를 썼지요
하필여유신
.....................................
*韋左丞=불우한 30대 두보를 도와준 좌승(차관보급)위제의
부친 韋嗣立재상에게 三大禮賦를 지어 바침
* 丈=존칭. 席間函丈즉 자리를 한길쯤 띠워 앉음이란 뜻
*二十二韻=두句를 합처 한聯. 그련의 끝자를 韻이라함 곧 22련의
글 *紈袴=흰명주바지.귀공자란뜻
*不餓死=굶어죽지 않음.굶어도 절개를지킬 기백이 없어보인다는
간접표현.백이숙제가 積仁潔行하다 수양산에서 아사(餓死)한 고사
가 연상되는 표현 *多誤身=선비들이 입신을 못하고 수난을 받는다
는뜻.漢書에 한고조가 찾아온 선비의 유관을 벗겨 소변을 누었다는
고사에 유래딤 *試靜聽=즉시 들어 주십시오.이귀절은 한대의 악부
(민요)에 丈人且安坐(아버님 편히 앉으십시요)를 본떠서 활용했음
*請具陳=자세히 말씀 드리겠읍니다.고대 文選(古詩)에 나오는
賤子歌一言. 歎樂難具陳등에서 그 단어들을 빌었음을 알수 있다
*甫=두보의 이름. 자기를 나춰 상대에게 고할때는 실명을 쓴다
*觀國賓=수험생으로 과거를 봄 *破萬券=만권의 책을 독파하고
통달.여기에 宋代의 趙彦材는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고 있다
梁元帝는 적에 패하고 서울을 함락당하자 책14만권을 태우고
말했다.讀書萬券 猶有今日 故焚之(만권의 책을 읽었는데 오늘과
같은 꼴을 당했으니 책을 불태우노라)하였는데 이에 두보는 파(破)
자를 끼워넣어 힘을 솟게 하는 문장을 만들었다.
下筆=글을 쓴다 *如有神=너무 뛰여나서 신들린듯하다.下筆.有神
등의 단어는 문선에서 빌어온것을 볼수있다
...........................................
賦料楊雄敵 글은 양우의 적수라 했고
부료양웅적
詩看子建親 시는 자건에 가깝게 보였지요
시간자건친
李邕求識面 이웅도 만나보기 자청해왔고
이웅구식면
王翰願卜隣 왕한도 이웃이 되고자 했읍니다
왕한원복린
自謂頗挺出 무척 뛰어나다는 자신을 품고
자위파정출
立登要路津 나라의 중요직에 등용되면
임등요로진
致君堯舜上 금상을 보필하여 요순보다 높이 올리고
치군요순상
再使風俗淳 순박한 민풍 세우고자 다짐 했지요
재사풍속순
.................
*賦=脚韻을 마춘 장문의 서술식 문장.한대에 유행한 漢賦는
중국문학중 높은 격에 속한다.
*子建=曺植 *이웅=당시 문단의 중진으로 두보를 후원했음
*王翰=두보의 선배문인 *卜隣=이웃이 되다 *頗=몹시
*정출=특출함 *要路津=높은 벼슬자리 *淳=바르고 착하게 만듬
퍼온 글
*
'문학 & 예술 > 옛시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보의 시 공부 - 見螢火(견형화.반디불을 보고) (0) | 2009.08.14 |
---|---|
두보의 시 공부 - 湘夫人祠(상부인사) (0) | 2009.08.14 |
두보의 시 공부 - 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中) (0) | 2009.08.14 |
두보의 시 공부 - 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下 (0) | 2009.08.14 |
두보의 시 73수를 연재하고 - 미산 윤의섭 (0) | 200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