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마오쩌뚱이 엘리트 군인 장제스를 이긴 길 고졸 마오쩌뚱이 엘리트 군인 장제스를 [송병락 교수의 '승자병법'] 마오쩌뚱의 경쟁전략 항상 야간·산악지 전투…학벌 좋은 군대 상대해 적과 다르게 싸워 아메리칸 인디언의 비극 英·佛전쟁 때 프랑스편 독립전쟁 땐 영국편 들어 종전 후 모진 보복 당해 송병락 서울대 명예교수 인..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3.24
프랑스와 한국, 나치독일과 북한정권 : 역사散策(산책) 프랑스와 한국, 나치독일과 북한정권 : 역사散策(산책) 평화至上주의가 전체주의 침략자들과 만날 때 趙甲濟 처칠: "소설을 집어치우고 愛國논설을 쓰라" 앙드레 모로아(1885~1967)는 프랑스의 작가, 평론가였다. '영국사' '프랑스사'의 著者로 유명한 그는 1차세계대전중 4년간 영국 육군사..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3.16
표를 얻으려고 아버지를 파는 딸: 박근혜 씨의 이상한 謝過(사과) 표를 얻으려고 아버지를 파는 딸 박근혜 씨의 이상한 謝過(사과) 대부분의 국민들은 朴 대통령 시절의 산업화 과정에서 혜택을 보았는데 피해를 보았다니… 고성혁(견적필살) “산업화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피해 입은 분들께 저는 항상 마음으로부터 죄송한 마음을 가져 왔다. 그분들께..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3.15
300년 전 중국 눈치 보느라 힘 센 군대 반대한 그들과 같은 사람들이 또… 300년 전 중국 눈치 보느라 힘 센 군대 반대한 그들과 같은 사람들이 또… 선우 정·사회부 차장 이메일su@chosun.com '해군기지는 주변국에 잘못된 신호 보낸다'고? 중국과 관계를 구실 삼아 强軍 반대한 사대부 꼴… 국방 포기하고 집권한다면 무엇으로 나라 지킬 건가 선우 정·사회부 차장..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3.14
F-22, 중력의 법칙도 무용지물 F-22, 중력의 법칙도 무용지물 4 Comments 2012.03.01 * 휴일 오후, 쉬면서 심심할 때 보시라고 동영상 하나 올려 봅니다. LiveLeak에 올라온 F22 Raptor Showing Off 이라는 동영상입니다. ‘F-22의 뽐내기’ 정도 될지 모르겠네요. 영상은 흔히 볼 수 있는 시범 비행 또는 공중 곡예에 관한 것입니다. 에어..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3.02
세계가 '탈북자 구하기'… "그 많던 촛불·희망버스 어디에" 오늘 인터넷 조선을 읽다가 마음에 쏙 드는 기사를 읽게 되었다. 그들은 다 어디에 있나? 읽으면서도 씁쓸하다. 부끄럽다. 아마도 "그들은 다 어디에 있나?"에 속한 잘 난 사람들도 이 기사를 읽어 볼텐데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을까? 느낀다, 못 느낀다 둘 중 하나일진대 양심의 가책을 ..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2.28
멋진 나라 대한민국 & 이 나라가 眞心으로 자랑스럽다 * 멋진 나라 대한민국 * 外向的 발산·자유의 길을 걸을 때 나라는 커지고 內向的 수렴·평등의 길을 걸을 때 쇠락한다. 金成昱 대한민국 60년은 기적의 조건이 있었나? 잘 먹고 잘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나? 시계를 거꾸로 되돌려 보자. 구한말 조선을 4차례나 방문해 ‘조..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2.11
이러면 나라가 위태롭다 이러면 나라가 위태롭다 [강천석 칼럼] 강천석 주필 대선·총선 겹친 대목장 呼客소리에 둘리지 말아야… 한국의 지정학적 현실과 경제 수준 어울리는 복지 찾으라 강천석 주필 또 천국(天國)이 가까워진 모양이다. 귓전에 울리느니 달디단 말씀뿐이니 말이다. 한나라당, 아니 새..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2.04
4만 조선군, 청나라 300명에 당한 치욕전투 패인은 4만 조선군, 청나라 300명에 당한 치욕전투 패인은 한민족의 치욕 ‘쌍령전투’ 패인은 낙하산 인사 손자병법으로 푸는 세상만사 <12> 조직 성공 좌우하는 리더의 선택 병자호란 당시 조선을 침략한 청나라 군대는 기병을 주축으로 했다. 영화 ‘최종 병기 활’은 청나라 기병..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2.01.29
김형직이 물려준 4代 家風 김형직이 물려준 4代 家風 [황호택 칼럼] . 황호택 논설실장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은 김일성이 다섯 살 때인 1917년 평양을 떠나 중강진으로 이사했다가 압록강 건너 맞은편 중국 지린성 린장(臨江)에 정착했다. 김형직은 의학서적 몇 권 읽은 지식으로 린장에 ‘순천의원’을 차.. 역사.정치.사회/정치-외교-국방 2011.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