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副詞 : 동사,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 앞에서 서술어를 수식·한정하는 말
1)의문부사 : 豈. 安. 胡. 寧. 曷. 惡. 何. 焉...어찌∼하겠는가?
王侯將相 寧有種乎(왕후장상 영유종호):
임금,제후,장수,정승이 어찌 씨가 따로 있겠는가?
何不畏衆口(하불외중구):어찌 여러 사람의 입이 두렵지 않겠는가?
2)한정부사 : 但. 只. 獨. 特. 直. 唯(=維.惟). 徒..
단지(다만,오직,한갓)∼할뿐이다.
但無錢耳(단무전이) : 다만 돈이 없을 뿐이다.
3)시제부사
①과거-旣. 已. 嘗. 曾...
②현재-方. 今. 時. 適...
③미래-將. 且. 次...
徐君已死(서군이사):서군이 이미 죽었다.
日人 將殺之(일인장살지):일인이 장차 그를 죽이려고 하다.
4)가정부사 : 若. 如. 雖. 或. 誠...만약∼이라면
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여시불성 벌의금곡주수):
만약 시를 짓지 못하면 금곡원의 벌주수에 의하여 벌을 줄 것이다.
5)발어부사 : 夫. 槪. 凡. 蓋...
夫天地者 萬物之逆旅(부천지자 만물지역려):
대저 천지는 만물의 여관 이다.
6.접속사 : 글자와 글자,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시키는 말
1)고유접속사 : 而. 與. 且. 及...
兄 怪而問之(형 괴이문지) : 형이 괴이하게 여겨서 그 까닭을 물었다.
2)부사적접속사
則:∼면 곧. 卽:곧. 然:그러나(然而:그런데도. 然後:그런 뒤에.
不然:그렇지 않으면). 故:그러므로. 乃:이에. 況:더구나 所以:이런 까닭에. 於此:이에. 於是:이에. 是以=以此=以是:이로써
欲速則不達(욕속즉부달) : 빨리하려하면 도달하지 못한다.
7.개사 : 실사와 실사 사이에 끼어 다른 말과의 관계를 맺어주는 허사
1)전치사
①처소, 대상 : 於(=于.乎).∼에,∼에서,∼에게
李舜臣 生於漢陽(이순신 생어한양) : 이순신은 한양에서 태어났다.
②비교 : 於(=于.乎).∼보다.∼과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서리 맞은 단풍이 이월의 꽃보다 붉다.
③시발·유래 : 自. 由. 從. ∼으로부터
有朋 自遠方來(유붕자원방래) : 벗이 먼 곳으로부터 오다.
④동반 : 與. ∼더불어, 함께
古之人 與民同樂(고지인 여민동락) :
옛사람들은 백성들과 더불어 즐거움을 같이하였다.
⑤도구,자료,방법,원인 : 以. ∼으로, ∼으로써, ∼ 때문에
2)후지사 : 之. ∼하는, ∼의, ∼이
三歲之習 至于八十(삼세지습 지우팔십) : 세 살의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8.종결사 : 문장의 끝에 붙어서 문장의 종료를 나타내는 말
1)일반서술종결사 : 也. 矣. 焉...
孔子 聖人也(공자성인야) : 공자는 성인이다.
2)의문종결사 : 乎. 耶. 與. 哉..
子 非三閭大夫與(사 비삼려대부여):그대는 삼려대부가 아닌가?
3)한정종결사 : 耳. 已. 爾. 而已. 而已矣..
便於日用耳(편어일용이):날마다 쓰기에 편할 뿐이다.
4)감탄종결사 : 夫. 哉. 乎. 與. 兮..
管仲至器小哉(관중지기소재) : 관중의 그릇이 작기도 하구나!
9.감탄사 : 슬픔, 희열을 나타내는 말
噫. 惡. 嗚呼. 嗟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