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량요소복합비료 멀티마이크로 -콤은 킬레이트 화합물로 만들어진 미량요소 복합(철, 망간, 아연, 구리, 몰리브덴) 비료입니다. 킬레이트 의미는 그리이스에서 유래되는데 ‘ 게의 집게발 ' 이란 뜻으로 이온 또는 분자가 단순한 황산염 .염화염으로 구성된 화합물로 불안정하고 분리가 쉬우며, 기타 다른 원소의 비료와 혼용후에 불용성 화합물로 변화하여 시비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을 하여 작물에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처리할 것 입니다. 특히 미량요소 복합비료인 멀티마이크로-콤은 모든 작물에 있어 “ 효과 발현 촉진제 ” 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1. 미량요소 복합비료 특징 및 효과 |
미량요소복합비료 멀티마이크로 -콤은 킬레이트 화합물로 만들어진 미량요소 복합(철, 망간, 아연, 구리, 몰리브덴) 비료입니다. 킬레이트 의미는 그리이스에서 유래되는데 ‘ 게의 집게발 ' 이란 뜻으로 이온 또는 분자가 단순한 황산염 .염화염으로 구성된 화합물로 불안정하고 분리가 쉬우며, 기타 다른 원소의 비료와 혼용후에 불용성 화합물로 변화하여 시비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을 하여 작물에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처리할 것 입니다.
특히 미량요소 복합비료인 멀티마이크로-콤은 모든 작물에 있어 “ 효과 발현 촉진제 ” 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1. 미량요소 복합비료 특징 및 효과
*
1) 안정성이 높은 EDDHA,EDTA킬레이트 화합물로 구성된5가지 미량요소가 함유되어 흡수력이 ... 뛰어나고 높은 PH의 양액배지,토양재배에 뛰어난 효과가 있습니다. 2) 염록의 담록화,황백화,반점생성,신초의 왜소화, 선란엽 성장지체,줄기,잎의 경화 등을 예방 치료 ... 합니다. 3) 화훼,과수,과채류 엽면시비시 꽃이 커지고 기형과 발생이 현저히 감소합니다. 4) 모든작물에 적용 가능하며,시비후 효과가 빠릅니다.
2.미량요소 생리작용
구 분 |
생리작용 |
망간 (Mn) |
1) 식물체내 산화.환원효소의 활성화 2) 엽록소 생성 3) 식물체내에 단백질 생성관여 |
붕소 (B) |
수분, 탄수화물, 질소대소에 관여, 석회의 흡수,전류관여 |
동 (Cu) |
산화환원에 관여하는 동효소의 구성성분, 엽록소의 형성에 간접적관여 |
아연 (Zn) |
효소의 구성원소이고, 생체내의 산화, 환원을 촉매한다. |
몰리브덴 (Mo) |
산화, 환원의 구성원소이고 근류균의 질소고정,질산환원에 관여한다.
|
3. 미량요소 비료 성분표(제조원: 하이파 케미칼사 기준)
종 류 |
미량요소 |
성분량 |
킬레이트 철 |
EDTA Fe |
lron (철) |
EDTA 13% |
EDTA Fe |
lron (철) |
EDTA 6% |
킬레이트 망간 EDTA Mn |
Manganese(망간) |
EDTA 13% |
킬레이트 아연 EDTA Zn |
Zinc(아연) |
EDTA 14% |
킬레이트 구리 EDTA Cu |
Copper(구리) |
EDTA 14% |
미량요소복합비료 Multi-Micro Comb |
Mix(복합) |
철 7.1%,망간3.5%, 아연1.02%,구리0.76%, 몰리브덴 0.485% |
|
4. 미량요소 시비프로그램
구 분 |
적정시비량 |
결핍시시비량 |
흡수시간 |
비 고 |
배율 |
말당 (20리터) |
배 율 |
말당 (20리터) |
철 (EDTA-Fe)Fe:13% |
5,000 |
4g |
4,000 |
5g |
2-3일 이내 |
칼슘제와 혼용 가능하며, 농약및 기타등등의 제재로 인한 엽면장해시 순수 칼슘제로 엽면시비 필요 |
철 (EDTA-Fe)Fe:6% |
2,500 |
8g |
2,000 |
10g |
2-3일 이내 |
망간 (EDTA-,Mn)Mn:13% |
5,000 |
4g |
2,500 |
8g |
1-2일 이내 |
아연 (EDTA-Zn)Zn:14% |
5,000 |
4g |
2,500 |
8g |
1-2일 이내 |
구리 (EDTA-Cu) Cu:14% |
10,000 |
2g |
5,000 |
4g |
|
멀티 마이크로 콤 :몰리브덴 0.485%, 철 7.1%,망간 3.5%, 아연 1.02%, 구리0.72% |
2,500 |
8g |
2,000 |
10g |
2-3일 이내 |
칼슘제 혼용 가능 | |
|
|
5. 사용시 주의사항(공통)
○ 알카리성 비료나 농약, 살균제와 혼용하지 마십시오
○ 과다 사용시는 비해가 날 수 있으니 사용량을 반드시 지켜주시고 중복살포하지 마십시오
○ 한번 사용하고 남은 제품은 가급적 빨리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 밀봉하여 보관하십시오
○ 보관중 제품의 층분리가 생길 수 있으니 사용전에 잘 흔들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수세가 약한 작물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지나친 고온이나 저온시기에 살포하면 약해 등 부작용의 우려가 있으므로 살포를 피하십시오
○ 토성과 식물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작물별로 사용법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조회사의 사용설명서를 꼭 읽으신 후 사용하십시오
○ 구입하여 사용할 경우 등록된 제품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요 소 명 |
생 리 작 용 |
결 핍 증 상 |
과 잉 증 상 |
질소 |
◆ 단백질의 구성성분 ◆ 양분의 흡수 및 동화작용을 왕성하게 하며 생육촉진 ◆ 엽록소, 각종 체내대사를 촉진하는 효소호르몬, 핵산등의 구성원소 |
◆ 잎이 담황색 ◆ 생육이 빈약하고 분얼감소 ◆ 종실의 성숙이 빨라지고 수량이 적어지며 품질이 떨어짐 ◆ 뿌리발달 불량 |
◆ 잎이 암록색 ◆ 종실의 성숙이 지연 ◆ 줄기나 잎이 연약해져 내도복성이 약해지며 병해충, 냉해 등의 저항성 감소 |
인산 |
◆ 핵단백질의 구성원소 ◆ 당류와 결합 호흡작용 ◆ 뿌리와 신장, 발아, 분얼개화 결실을 좋게 함 ◆ 탄수화물 대사와 에너지 대사 |
◆ 잎의 폭이 좁아지고 노엽은 암록색 ◆ 분얼이 적고 개화결실 불량 ◆ 과실류 잎이 암갈색이 되고 조기낙엽, 감미저하 ◆ 과실과 종자의 형성이 불충실 |
◆ 일반적으로 과잉증상은 아연, 철, 고토(마그네슘)의 결핍을 유발 ◆ 영양생장이 멈추고 성숙이 빨라져 수확감소 |
가리 (칼륨) |
◆ 탄수화물의 합성, 이동축적 ◆ 세포액 중에서 이온상태 혹은 유기산염 형태로 존재 ◆ 증산작용을 조절하고 체내의 수분생리에 관계 ◆ 단백질 합성에 관계 ◆ 뿌리나 줄기를 강하게 하고 병해충 저항성 증대 |
◆ 늙은 잎의 선단부터 황화하여 엽면에 퍼지고 그 부분이 갈색으로 고사 ◆ 어린잎은 암록색으로 되고 신장이 나쁘며 소엽이 됨 ◆ 뿌리는 주근의 부근에만 형성되고 측방의 생장이 제한되며 뿌리썩음병이 일어나기 쉬움 |
◆ 고토(마그네슘), 석회의 흡수를 억제하여 양분의 결핍 |
칼슘 |
◆ 펙틴과 결합하여 세포막과 병에 강하게 함 ◆ 뿌리의 발육을 도움 ◆ 체내의 과잉하게 있는 유기산과 같은 유해물질을 중화 |
◆ 뿌리의 표피에 코르크층이 생기고 뿌리가 짧고 굵어진다 ◆ 생장이 왕성한 어린잎의 선단이 희어지고 얼마후에 갈색으로 고사 ◆ 생장속도가 감퇴하여 뿌리나 눈의 생장점이 파괴 |
◆ 과잉증은 나타나기 어려움 ◆ 고토(마그네슘), 가리(칼륨), 붕소, 아연의 결핍증을 촉진 |
고토 (마그네슘) |
◆ 엽록소의 구성성분 ◆ 인산의 흡수, 이동에 관계 ◆ 유지의 합성, 탄수화물대사 인산 대사에 관계하는 효소의 활성화 |
◆ 늙은 잎의 엽면부에 엽맥간이 황화되며 심하면 백화현상 ◆ 엽맥간이 꼬이고 성숙전 낙엽 |
|
붕소 |
◆ 세포의 분열과 화분의 수정 ◆ 당분의 엽면흡수 및 체내이동을 도우며 핵산의 합성에 관계 ◆ 효소의 활성화, 수분, 탄수화물, 질소대사에 관계 ◆ 세포막 펙틴의 형성과 통별조직의 유지를 도모 |
◆ 1차 생장점의 발육이 중지되고 심하면 뿌리의 생장점이 멎고 세근의 발생이 감소됨 ◆ 엽병의 코르크화, 줄기의 중심이 검게됨 ◆ 꽃가루의 생성이 나쁘고 수술의 발육이 나쁘며 불임이 많아짐 |
◆ 잎이 황화고사 |
유황 |
◆ 단백질, 아미노산, 비타민의 구성성분 ◆ 마늘, 겨자 향기성분에 포함 ◆ 식물체중의 특수성분 형성 ◆ 식물체중의 산화, 환원생장의 조절등 생리작용에 관여 |
◆ 전체적으로 생장이 나쁘고 질소결핍과 유사 ◆ 콩과 작물은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고정능력이 저하 |
◆ 토양의 산성화 촉진 ◆ 벼의 뿌리썩음병 발생 (노후화답에서 유화수소 발생) |
규산 |
◆ 줄기와 잎의 표피세포의 규화를 촉진하고 조직을 굳게하여 내병성, 내충성 증대 ◆ 경엽이 튼튼해지고 내도복성 증대 |
◆ 잎이 늘어지고 병충해에 걸리기 쉬우며 도복되기 쉬움 ◆ 벼는 생육감소, 출수지연, 임실장해, 백혜의 발생 |
|
망간 |
◆ 산화효소의 작용을 돕고 산화환원을 순조롭게 함 ◆ 엽록소 생성, 광합성, 비타민 C의 합성에 관여 |
◆ 잎의 소형화 ◆ 잎의 엽맥간 황화현상 ◆ 쌍자엽 식물에서는 잎에 작은 황색반점이 생김 |
◆ 잎의 선단에 갈색, 자색의 작은 반점 ◆ 철 결핍 조장 |
철 |
◆ 엽록소 생성에 관계 ◆ 호흡작용에 관계가 있는 효소를 구성 ◆ 철효소로서 생체내 산화환원 반응에 관여 |
◆ 엽록소 생성이 방해되며 새잎부터 황백화 ◆ 결핍증은 상엽부터 |
◆ 인산고정이 증대하여 그의 비효를 감소 |
아연 |
◆ 단백질과 전분의 합성을 도움 ◆ 생체내의 산화환원 효소의 작용을 도움 |
◆ 엽맥간의 황색이 되고 줄모양으로 분명해짐 ◆ 잎이 작아지고 변형이 되며 황화는 새잎부터 |
◆ 잎, 엽면에 갈색의 반점이 생김 |
동 |
◆ 산화환원 효소의 작용 ◆ 호흡작용에 관여 ◆ 엽록소 형성에 간접적 관여 |
◆ 세입선단부터 황백화하고 시듬 |
◆ 뿌리의 신장이 멎음 |
몰리브덴 |
◆ 초산태질소를 환원 ◆ 질소를 고정하는 근류근의 생육을 도움 ◆ 단백질 합성에 관여 |
◆ 광엽은 엽면이 안쪽으로 감아 컵모양이 됨 ◆ 세엽작물은 잎이 꼬임 ◆ 늙은잎부터 황화현상 |
|
염소 |
◆ 섬유화 작용이 좋아지고 병해저항성을 강하게 하고 도복하지 않게됨 |
◆ 어린잎이 황백화 |
◆ 전분이 섬유가 되므로 감자류는 섬유가 많아져 품질저하 ◆ 담배의 품질저하 |
미량요소가 결핍 및 과잉되기 쉬운 조건.
가. 유효 토심이 낮은 사과원
심경이나 유기물 시용을 하지 않고, 부초만으로 관리하는 사과원은 뿌리가 지표 부근에만 분포되어 있으므로 토양내에 존재하는 영양분, 특히 미량요소들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다. 또 가뭄으로 토양이 건조하거나 장마로 과습상태가 계속될 경우도 뿌리 분포가 얕은 사과나무는 뿌리의 활력이 떨어져 필요한 만큼의 영양분을 흡수하기 어렵다. 특히 경사지 청경재배 과수원에서는 토양의 유실이 많아 유효토심이 낮아지고, 염기도 함께 유실되어 토양이 산성화되기 쉬우므로 이로 인한 영양분의 흡수도 크게 지장을 받는다.
나. 석회를 시용하지 않거나 일시에 과다 시용할 때
석회시용은 토양반응의 교정과 식물 영양적인 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사과나무는 pH 5.8~6.5인 미산성에서 약산성 범위에서 잘 자란다. 토양이 산성화하면 인산이 토양에 고정되어 부족되기 쉽고, 철, 망간, 아연, 구리 등은 과다하게 녹아나와 과잉 장해를 일으키거나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염기와 붕소 등과 함께 강우시 지표위로 흐르는 물을 따라 유실되거나 토양중으로 용탈되는 양이 많아져서 결핍되기 쉬운 등 pH는 토양중 양분의 유효도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산성토양에서 망간 과잉에 의한 적진병 발생은 잘 알려져 있다.
산성토양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석회를 시용해야 한다. 적정 토양산도로 교정하는데 소요되는 석회량이 많더라도 1회 시용량은 사질토양에서는 300평당 200~300kg, 점질토양에서는 400kg이상은 시용하지 말아야 한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 반응이 일시적으로 알카리성이 되면 토양수 중에 녹아 나오는 미량요소들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결핍이 초래되는 수가 있다.
다. 시비가 부적절한 경우
특정 성분이 함유된 비료를 과다하게 시용하거나, 적게 시용할 경우 비료 요소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장해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질소 비료가 과다하여 새가지의 자람이 왕성하면,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망간(Mn), 아연(Zn), 붕소(B) 등의 미량요소들이 토양내에 충분히 있더라도 식물체내에서 이동이 잘안되기 때문에 새가지 선단부는 결핍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또한 요소간에도 흡수와 이동을 서로 도와주는가 하면 서로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인산질 비료를 과다하게 시용한 경우는 아연 결핍장해가 발생되고, 철과 망간은 서로 한 요소가 과잉 흡수될 때 다른 요소의 흡수를 억제하여 결핍 장해를 유발하며, 석회(칼슘) 시용량이 많을 때는 칼륨(K)흡수가 억제 되는 등의 작용이 있으므로 시비기준을 참고하여 필요로 하는 양만큼 시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라.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한 경우
토양이 과도하게 건조하면 토양내에 있는 수분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그 중에 녹아있는 영양분은 농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흡수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농도 장해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장마시와 같이 토양에 수분이 많은 상태로 오래 지속될 경우는 뿌리의 호흡작용이 억제되어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없고 뿌리자체가 가지고 있는 탄수화물도 생존하기 위해 무기호흡기질로서 많이 소모하게 되므로 결국은 영양이 부족되어 뿌리자체도 죽게 된다. 따라서 토양수분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도 생리장해를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사용방법
제조사 |
삼원농산(주) |
코스모바이오
케미칼 |
(주)유일 |
(주)유일 |
(주)유일 |
주성분
작물류별 |
수용성아연
0.05%
수용성붕소
0.05% |
수용성망간
0.1%
수용성붕소
0.05% |
수용성붕소
0.1%
수용성철
0.1% |
수용성붕소
0.09%
수용성구리
0.06% |
수용성붕소
0.08%
수용성아연
0.05% |
과수류 |
|
|
|
500~800배
(물20ℓ당
20~40g) |
1,100배
(물500ℓ당
450㎖) |
과채류 |
|
|
|
500~800배
(물20ℓ당
25g) |
1,000~2,000배 (물20ℓ당
10~20㏄) |
잔디 |
|
|
|
500~1,000배
(물20ℓ당
20~40g) |
|
특용작물 |
|
|
|
" |
|
수도작 |
|
1,300~1,500배 (물20ℓ당
13~15g) |
|
" |
2,000배
(물20ℓ당
10㏄) |
구근류 |
|
|
|
|
|
엽면시비 |
|
|
800~1,000배
(물20ℓ당
20~25㏄) |
|
|
사용방법 |
2,000배
(물 500ℓ당
250㎖) |
|
|
|
|
주의사항 |
|
사용전 잘 저어서 사용할 것
동제와 알카리성을 띤 농약
영양제와 혼용하지 말 것
|
수세가 약한 작물에는 처리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고농도 처리시에 약해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할 것 |
농도장애를 받기 쉬운 작물(인삼 등), 어린묘에 살포할 때는 기준농도보다 묽게 희석 살포할 것
|
포름알데히드 제품과 혼용하지 말것
희석전에 잘 흔들어 사용할것
|
제조사 |
한맥비료(주) |
부광농산 |
(주)에이스 |
식물농장산업 |
(주)대유 |
주성분
작물류별 |
수용성붕소
0.5%
수용성아연
0.5%
수용성망간
0.5%
수용성철
0.1% |
수용성철
0.1%
수용성아연
0.05% |
수용성붕소
0.06%
수용성철
0.1% |
수용성망간
0.12%
수용성붕소
0.06% |
수용성붕소
6%
수용성아연
5%
수용성철
1.2%
수용성망간
0.3%
수용성동
0.3%
수용성몰리브덴 0.05% |
과수류 |
|
|
400~800배
(물20ℓ당
25~50㏄) |
|
800~1,000배
(물20ℓ당
20~25g) |
과채류 |
|
|
400~1,000
배(물20ℓ당
20~50㏄) |
|
1,000~1,500배 (물20ℓ당
13~20g) |
구근류 |
|
|
|
|
1,000~1,500배 (물20ℓ당
13~20g) |
특용작물 |
|
|
400~800배
(물20ℓ당
25~50㏄) |
|
|
수도작 |
|
|
|
|
1,000~1,500배 (물20ℓ당
13~20g) |
엽채류 |
|
|
600~1,000배
(물20ℓ당
20~33㏄) |
|
|
엽면시비 |
1,000배
(물500ℓ당
500g) |
|
|
|
|
관주 |
300평당
1㎏정도 |
|
|
|
|
사용방법 |
|
800~1,000배
(물20ℓ당
20~25㏄) |
|
400~800배
(물20ℓ당
25~50㏄) |
|
주의사항 |
사용량이나 농도는 작물의 생육상태에 따라 조절할 것
알카리성 농약, 석회보르도액, 네오아소진, 아크리 짓, 석회유황합제 등과 혼용하지말 것 |
알카리성 농약과 혼용을 금하고 농약혼용시 바로 살포할 것
희석배수를 반드시 지킬 것 |
알카리농약과 혼용을 피하고 액비로 혼합사용시는 사용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할 것 |
비닐하우스 고온기, 가뭄ㆍ이상기후시는 1,000배 이상으로 사용할 것
알카리성 농약, 비나인, 네오아소진 등과는 혼용할 수 없음 |
사용량이나 농도는 작물의 생육에 따라 조절해야 하며 비닐하우스 등에서는 1,500~2,000배액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 |
제조사 |
(주)이에스티 |
푸른산업(주) |
(주)코레곤
농자재 |
영광농자재 |
주성분
작물류별 |
수용성붕소
0.05%
수용성몰리브덴
0.0005% |
수용성붕소
0.05%
수용성철 0.1% |
수용성철 3.6%
수용성몰리브덴
0.0006% |
수용성구리 1.8%
수용성망간 2%
수용성아연 1.6% |
과수류 |
|
|
|
800~1,000배
(물80~100ℓ당
100㏄) |
과채류,엽채류 |
|
|
600~800배
(물600~800ℓ당
1ℓ)200평 관수 |
" |
수도작 |
|
500배
(물500ℓ당 1ℓ) |
|
|
엽면시비 |
2,400~5,000배
(물240~500ℓ당
100㏄) |
|
|
|
관주 |
1,500~300배
(물150~300ℓ당
100㏄) |
|
|
|
사용방법 |
|
|
|
|
주의사항 |
침투력이 강한 농약과 혼용시는 희석배수를 적정 희석배수의 2배 이상으로 할 것
사용량을 반드시 지키고 과용은 금할 것 |
알카리농약과는 혼용을 금할것 |
알카리성 농약과 절대 혼용을 금할것
본제품을 희석했을 때는 2시간 이내에 사용하시기 바람 |
타 제재와 혼용시 1,000배 이상으로 묽게 희석하여 살포할 것
지나친 고온이나 저온시기는 부작용 우려가 있으므로 살포를 피할 것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