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 예술/옛시조 모음

한시 - 홍랑과 최경창의 애절한 사랑

淸山에 2009. 8. 29. 18:09
 

 

 
 

 



                  感 遇    
                               최경창


        人 心 如 雲 雨        인 심 여 운 우

        番 覆 在 遂 臾        번 복 재 수 유

        素 絲 染 黑 色        소 사 염 흑 색

        安 能 復 棄 草        안 능 부 기 초

        啞 啞 群 飛 烏        아 아 군 비 오

        集 我 田 中 廬        집 아 전 중 려

        仔 雄 境 莫 辨        자 웅 경 막 변

        泣 滯 空 喜 虛        읍 체 공 희 허


            사람마음 비 구름같은거
         
            잠깐 사이에도 이리저리 바뀌지

            하얀실에 검정물을 들이면

            어찌 본래 힌색을 되찾을수 있으랴

            까악까악 까마귀 떼지어 날아

            우리 농막에 모여들었는데

            암컷 수컷 끝내 구분할수 없고

            주르륵 부질없이 흐르는 눈물


          사랑은 창문을 닫아도 스며드는 달빛처럼
          은은히 오지만 그 에너지는 생(生)과사(死)를
          초월하는 위력이 있다고 한다
          그 사랑이란 것이 무엇인지 당사자가 아니면
          그 애절함을 어찌 짐작이라도 할수 있으랴
          평생의 단 세번의 만남으로 완전하고 영원한 사랑
          을 이루었던 고죽 최경창과 관기(官妓) 홍랑의 사랑을
          허용하지 않은 사회였기때문에 사대부 출신의 고죽이
          기생을 사랑한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였다
          그러나 이미문학(文學)이 맺어준 사랑에 빠진 고죽을
          막을수는 없었다 북쪽 변방에서 사랑에 빠진 고죽을
          당쟁사회는 방관하지않고 한양으로 불러 들였다
          그 때 홍랑은 한양으로 떠나는 고죽을 쌍성까지
          따라가 이별의 시 묏버들을 남겼다


                  흰 모시치마
 
                                최경창

        億 梓 場 安 日         억 재 장 안 일

        新 裁 白 底 群         신 재 백 저 군

        別 來 那 忍 着         별 래 나 인 착

        歌 舞 不 同 君         가 무 불 동 군

            장안 시절 그리워라

            새로지은 흰 모시치마

            떠나와 어이 입으리

            노래하고 춤춰도 임이 없는데..



       
홍랑과 헤어지고 서울에 도착한 최경창은
        그 해 봄부터 일년여를 시름시름 앓고
        이 소식을 들은 홍랑은 이주금지령을 어기고
        칠일 밤낮을 걸어 서울로 향한다

        최경창은 홍랑의 간호로 완쾌한다
        사랑은 몸보다 마음이 먼져였다
        육신보다 먼저 시를 통해 정신적인 사랑으로 
        흠모했던 홍랑은 경성으로 떠난 고죽을 찾아와
        병간호를 하였던 이것이 그들의 두번째 만남이었다

        허나 조선사회는 이들의 사랑을 용납하지 않았다
        금지된 사랑을 나눈 최경창을 나무라는 상소가
        빗발쳤다
        1572년 5월 2일 최경창은 관비를 몹시 사랑한 나머지
        버젓이 함께 살고있으니 이는 너무 꺼리낌 없는 
        행동입니다 파직을 명하소서 라는 상소가
        기록되어 있다
        두 연인의 애틋한 재회는 결국 파직과 이별로 
        막을 내렸지만 최경창은 파직에 연연치 않고
        자신을 향한 홍랑의 지극한 사랑을 가슴깊이 새겼다고
        최경창 또한 홍랑이 유일한 사랑이며 지독한 사랑
        이었다고 그렇게 안타깝고 가여운 자신의 마음을
        송별이란 시에담아 떠나는 홍랑에게 주었다고 한다...



 
 

'문학 & 예술 > 옛시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望 月 달을 바라보며 - 宋 翌 弼  (0) 2009.08.29
古 木 - 김 인후  (0) 2009.08.29
贈 花 頸 - 杜甫   (0) 2009.08.29
自 遣 (자견) - 李 白  (0) 2009.08.29
雜 詠 (잡영) - 王維  (0) 200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