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어떻게 하면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쓸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서는 독서가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일단 말과 글을 잘하고 잘 쓰기 위해서는 머리 속에 지식이 축적되어 있어야 하고, 지식을 축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독서라는 것. 金炳宗씨는 ‘독서를 많이 하면 말문은 저절로 터지는 법’이라며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많은 사람들이 독서를 하되 오랜 시간에 걸쳐 검증된 동서양의 고전을 읽을 것을 권한다(辛奉承, 崔禹錫)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머리 속에 그만한 지식이 축적되어야 한다. 책을 많이 읽고 남의 말을 많이 들어서 지식 축적을 많이해야 한다.’(金埈成)
‘무엇보다도 근본적으로 진실하고 정직한 삶을 훈련하는 것이 좋다. 삶의 중심과 근본이 잘못되었다면 그 삶을 반영하는 말과 글이 제대로 될 리 없다. 이런 전제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동서양의 인류 고전을 숙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金相賢)
하지만 무조건 독서를 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는 깊은 사색이 뒤따라야 한다고 한다. 李相培, 洪思德, 張良守, 정진석씨는 “많이 읽고(多讀), 많이 써보고(多作), 깊이 생각(多商量)하는 외에는 王道가 없다”고 말하면서 이중 깊이 생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방송인 李淑英씨도 ‘읽고 쓰고 생각하기’를 많이 하라고 권하면서 특히 어린 시절부터 책을 가까이 하고 일기 쓰기를 지도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金彦鎬씨도 일기나 편지 쓰기, 크고 작은 모임에 참여해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토론 등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낭독 습관
응답자들은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쓰기 위해선 일정한 훈련을 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명문을 많이 읽는다. 자신의 글에 대해 올바른 문법과 단어를 사용했는지 辭典이나 그외 자료를 참조해서 검토해 보고 문장력을 기른다.’(安秉煜)
‘좋은 글을 골라서 분석해 보는 훈련이 도움이 된다. 문법적으로 맞는지, 정확한 단어를 골라 썼는지 분석해 보면 그 과정에서 좋은 글이 무엇인지 저절로 터득하게 된다.’(李相禹)
‘기본적이면서 모범적인 구문들을 유형별로 정확하게 익혀 생활에 활용한다면 세련되면서도 정확한 언어 활용에 도움이 된다.’(金光雄)
‘어떤 책을 읽든 감동적이거나 인상적인 대목은 따로 적어두고, 일기·업무노트·가계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기에게 맞는 메모 습관을 들이며, 좋은 詩 몇 편 혹은 아름다운 산문의 몇 구절 정도는 외원둔다.’(金相賢)
‘자기의 구미에 맞는 글만 읽는다면 편협한 틀을 벗어나기 힘들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설, 수필, 인문 사회과학 서적들을 두루 망라하고 시사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면 좋은 글, 편안하고 쉬운 말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黃樹寬)
개인적인 노력 외에도 국가적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상당히 많았다.
‘우선 학교교육이 중요하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을 지양하고 학생들 서로 간에 토론하는 자율교육 방식이 바람직하다.’(金埈成)
‘학교교육에서 말과 글쓰기 훈련이 대폭 강화되어야 한다. 주입식 교육을 탈피하고 발표 수업과 토론 수업, 탐구수업을 크게 늘려야 하며, 교육자들의 말과 글쓰기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李相培)
‘말을 잘한다는 조건에는 바른 마음가짐과 발음, 알맞은 소리의 크기·속도 등 한국어의 구사 조건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낭독 연습을 하는 게 좋은데, 낭독 연습을 하는 데는 리듬과 톤을 살릴 수 있는 시조가 적합하다.’(金上俊)
‘말은 노래와 같다. 그래서 말을 잘하는 사람을 모델로 삼아 흉내내어 보자. 말도 일종의 흉내내기이다. 그러면 조금씩 달라질 것이다.’(李季振)
‘날마다 10분씩 소리를 내어 정확한 발음으로 책을 읽는다. 이런 과정에서 잘못된 발음과 부정확한 발음을 교정하고 띄어쓰기와 억양을,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정재환)
‘좋은 글은 기록하고 무조건 외우는 수밖에 없다. 어른들도 흘러간 유행가는 잘 해도 좋은 詩(시)나 臺辭(대사), 문장을 사람들 앞에서 읊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李根三)
좋은 聽者(청자)는 좋은 話者(화자)를 만든다는 언론인 宋貞淑씨는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남의 말을 잘 듣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어릴 때부터 완전한 문장을 쓰며 말하게 하는 훈련이 필요하며, 토론에 자주 참여하는 기회를 만들어 훈련을 하라고 충고한다.
연세대 명예교수 安秉煜씨는 ‘정확한 발음, 적당한 음성, 알맞음 속도감을 의식하여 말을 해볼 것’을 권한다. 공식저인 모임에서 남의 말을 경청해 보고, 토론이나 발표도 직접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한다.
연세대 석좌교수이며 문학평론가 柳宗鎬씨는 자신의 말을 녹음기에 녹음을 해서 들어보라고 권유한다. 그러면 녹음 테이프를 듣는 동안 얼마나 많은 군더더기의 말을 사용하고 있는지 알게 된다는 것이다. 테이프를 들으면서 자신의 잘못된 점을 고쳐나가면 자신감과 용기가 몸에 배게 되고 숫기도 생길 것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