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가장 오래된 5600년 전 신석기시대 밭 확인

淸山에 2012. 6. 26. 11:32

 

 

 

 


가장 오래된 5600년 전 신석기시대 밭 확인

주영재 기자

jyeongj@kyunghyang.com

 

 


조사구역 전경


한반도에서 신석기시대에 이미 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했음을 보여주는 경작 유구가 강원 고성의 문암리 유적에서 확인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6일 고성군 죽왕면 문암리 유적(사적 426호)을 발굴조사한 결과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발견된 전례가 없는 동아시아 최초의 신석기시대 밭 유적으로 추정되는 고고학적 흔적을 찾아냈다고 밝혔다.(사진) 문암리 유적은 기원전 6000년의 유적으로 평가되는 중국 동북쪽인 랴오닝성 푸신(阜新)시에 있는 차하이(査海)와 싱룽와(興隆窪) 유적과 비슷한 연대의 신석기 조기 유적이다.

 

이번에 확인된 밭 유적은 신석기 중기층(기원전 3600~3000년)에서 확인됐다.
 
지금까지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돌괭이나 뒤지개, 보습, 갈판, 갈돌 등과 같은 농경 관련 석기류와 조, 기장 등의 곡물이 탄화한 상태로 발견된 적은 있었다. 하지만 경작사실을 구체적으로 증명하는 밭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발굴된 밭은 크게 상·하 2개 층으로 구분된다. 상층 밭은 전형적인 이랑 밭 형태를 띠지만, 현재까지 한반도 곳곳에서 드러난 청동기시대 밭 형태와 비교할 때 두둑과 고랑 너비가 일정하지 않고 이랑이 나란하게 이어지지 않는 고식 형태라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반면, 그 아래층에서 확인한 밭은 “상층 밭과는 달리 복합 구획을 한 원시적인 모습을 띤다”고 연구소는 말했다. 하층 밭에서는 신석기시대 중기(기원전 3천600년-기원전 3천년)에 제작됐을 것으로 보는 짧은 빗금무늬 토기 파편과 돌화살촉이 확인됐다. 또 신석기시대 집자리 1기가 확인됨으로써 이 유적은 신석기시대 중기에 속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확인된 밭 유적 중에서 청동기시대(기원전 1천500년-기원전 400년)보다 더 올라가는 곳은 없었다.
 

 

 

 

 

 

 

 

동아시아 '最古' 밭 유적 강원 고성서 확인
연합뉴스


 

문암리 유적서 신석기시대 경작 흔적


한반도에서 신석기시대에 이미 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했음을 보여주는 경작(耕作) 유구가 강원 고성의 문암리 유적에서 확인됐다고 국립문화재연구소가 26일 말했다.

 

연구소는 2010년 이래 고성군 죽왕면 문암리 유적(사적 426호) 종합정비사업 일환으로 이곳을 발굴조사한 결과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발견된 전례가 없는 동아시아 최초의 신석기시대 밭 유적으로 추정되는 고고학적 흔적을 찾아냈다고 덧붙였다.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돌괭이나 뒤지개, 보습, 갈판, 갈돌 등과 같은 농경 관련 석기류와 조, 기장 등의 곡물이 탄화한 상태로 발견된 점을 근거로 밭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추정하긴 했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증명하는 밭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소는 말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유적에서 발굴된 밭은 크게 상·하 2개 층으로 구분된다.


  


 한반도에서 신석기시대에 이미 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했음을 보여주는 동아시아 최고(最古) 경작유구(耕作遺構)가 강원 고성의 문암리 유적에서 확인됐다고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말했다. 사진은 상층 밭 유적. (사진제공=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합뉴스

 

상층 밭은 전형적인 이랑 밭 형태를 띠지만, 현재까지 한반도 곳곳에서 드러난 청동기시대 밭 형태와 비교할 때 두둑과 고랑 너비가 일정하지 않고 이랑이 나란하게 이어지지 않는 고식(古式) 형태라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반면, 그 아래층에서 확인한 밭은 “상층 밭과는 달리 복합 구획을 한 원시적인 모습을 띤다”고 연구소는 말했다.

 

  
 한반도에서 신석기시대에 이미 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했음을 보여주는 동아시아 최고(最古) 경작유구(耕作遺構)가 강원 고성의 문암리 유적에서 확인됐다고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말했다. 사진은 이곳 출토 토기류 파편. /연합뉴스

 

이 중 하층 밭에서는 신석기시대 중기(기원전 3천600년-기원전 3천년)에 제작됐을 것으로 보는 짧은 빗금무늬 토기 파편과 돌화살촉, 그리고 이 층을 파고 만든 신석기시대 집자리 1기가 확인됨으로써 이 유적은 신석기시대 중기에 속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확인된 밭 유적 중에서 청동기시대(기원전 1천500년-기원전 400년)보다 더 올라가는 곳은 없었다.

 

연구소는 농경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자 유적퇴적 환경 분석, 규산체 분석, 토양미세형태학적 분석 등의 다양한 과학적 분석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연구소는 그 일환으로 물체질(water-sieving, water-floatation) 등의 방법으로 이곳에서 재배했을 식물 종류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더 정확한 유적 연대 결정을 위해 AMS(방사성탄소연대측정)와 OSL(광자극 루미네선스측정) 등의 분석도 시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