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보의 시 공부
赤谷(적곡) - 미산 윤의섭
天寒霜雪繁 날이춥고 서리내려 눈이 쌓이는데
천한상설번
遊子有所之 나그네는 오직 가고 또 가야 하나
유자유소지
豈但歲月暮 이해도 저물어 세모 인데다
개단세월모
重來未存期 다시는 기약 못할 길이로구나
중래미존기
晨發赤谷亭 새벽에 적곡정을 출발 하니
신발적곡정
險艱方自玆 줄곳 험하고 고생길 뿐이로다.
험간방자자
亂石無改轍 오직 흐트러진 돌길을 굴러야 할
난석무개철
我車已載脂 나의 수레바퀴에 기름을 친다.
아차이재지
------------------------
*赤谷=진주의 서쪽에있는마을*遊子=나그네
*有所之=떠도는 길밖에 없다 *豈但=오직
*晨發=새벽에 떠남 *方自玆=이곳부터 시작딤
*無改轍=다른길을 잡을 도리가 없다
*載脂=기름친다
------------------------
山深苦多風 깊은산의 세찬 바람 고생 스럽고
산심고다풍
落日童稚飢 해가 지니 어린자식 허기 지노라.
낙일동치기
悄然村墟廻 아직도 마을 멀어 실망에 젖었으니
초연촌허회
煙火何由追 인가의 불끼를 얻을 길 없네.
연화하유추
貧病轉零落 가난과 병고에 더욱 영낙한 이몸
빈병전영낙
故鄕不可思 고향 찾을 생각도 못 하겠노라.
고향불가사
常恐死道路 이대로 길바닥에 죽어 쓰러저
상공사도로
永爲高人嗤 덕높은 사람에게 웃음살가 두렵네.
영인고인치
............................
*悄然=풀이죽어 실망한 폼 *村墟廻=마을이 멀다
*煙火=인가의 따듯한 불끼 *高人=덕이 높은사람
*嗤=웃음.조소를 받다.
진주를 떠나 남행하던 두보는 뛰어난 기행시를 많이
남겼다.뼈에 사무치도록 체험한 고난에서 우러나온
걸작이다. 촉땅과 낙양사이는 멀고도 험한길이다.
가난과 병고 그 처참함에 울며 이런곳에서 죽으면
후세에 조소거리가 되지 않나 하는 지식인의 고뇌를
삼키며 이를 악물었다.
퍼온 글
*
'문학 & 예술 > 옛시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보의 시 공부 - 同谷縣作歌7(동곡현에서7) (0) | 2009.08.14 |
---|---|
두보의 시 공부 - 聞官軍收河南河北(하남북 수복함을 듣고) (0) | 2009.08.14 |
두보의 시 공부 - 夢李白(몽이백.꿈에 이백을 보고) (0) | 2009.08.14 |
두보의 시 공부 - 夢李白2(꿈에 이백을 보고2) (0) | 2009.08.14 |
두보의 시 공부 - 述懷(술회.감회를 풀다) (0) | 200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