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姓氏 탄생의 비밀 ◐ 제물포 고등학교 교감 문학박사 황재순씨의 글 이랍니다. ◑ 꽤나 긴 글이지만 재미로 읽어 보세요. ◐ 한국 姓氏 탄생의 비밀 ◑ 조선초만해도 성씨있는 양반은 10%뿐이 안되었는데 조선중기 양반계급이 족보를 가지게 되면서 부터 평민들도 각 씨족 별로 구전 해오던 자료에 의하여 ..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23
김치 기원 고구려에 닿아, 김장 역사는 최소 800년 김치 기원 고구려에 닿아, 김장 역사는 최소 800년 김치’라는 말은 ‘채소를 소금물에 담근다’라는 뜻의 ‘침채(沈菜)’에서 비롯됐다. ‘침채’가 ‘팀채’, ‘딤채’, ‘짐치’가 됐다가 ‘김치’로 자리잡았다. 우리나라의 김치류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중국 ‘삼국지 위지동이전’..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21
"언문을 써주십시오” … 17~18세기 일본, 조선을 배우려했다 “언문을 써주십시오” … 17~18세기 일본, 조선을 배우려했다 [중앙일보] 연세대 연구팀, 일본이 만든 조선통신사 필담집 178권 완역 통신사 숙소 앞 ‘특급정보’ 들으려 일본 지식인들 줄서 국가기밀이던 인삼 재배법 묻자 수행단은 딴청 부리기도 조선·일본 필담 모습 나고야에서 조..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20
이승만 묘비文 두 번 써야 했던 서예가의 고백 이승만 묘비文 두 번 써야 했던 서예가의 고백 이혜운 기자 이메일liety@chosun.com 14년 만에 묘 찾아온 송천 정하건 선생 '건국' 대통령이라 썼는데 정치권 반발 심해지자 '초대' 대통령으로 재작업 처음 묘비는 묘 옆에 묻었죠… 언젠가는 '건국'字 쓰여진묘비 다시 꺼내 세우고파 19일 오후 3..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20
백두산 둘러싼 동북공정의 진실 백두산 둘러싼 동북공정의 진실 SBS스페셜 '역사전쟁- 백두가 장백인가: 백두산정계비의 진실'(SBS 밤 11.10) 우리는 '민족의 영산'이라 숭상하고, 중국은 '청조(淸朝)의 발상지'라 주장하는 백두산. 우리는 '백두'로, 그들은 '장백'이라 부른다. SBS가 광복절 특집으로 민족의 영산 백두산의 기..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19
설명도 없이…美, 한국 비밀문서 공개 '파문' 설명도 없이…美, 한국 비밀문서 공개 '파문' 폭파 주범 '김현희 가짜설' 논란 시점에… 국무부 홈페이지에 예고없이 57건 올려 北개입 새 증거 많아 가짜설 반박 근거될듯 워싱턴=이태규특파원 tglee@hk.co.kr http://photo.hankooki.com/newsphoto/2012/07/19/mj04072012071906584101.jpg 미국 국무부가 조기 공개..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19
대마도와 알래스카를 지키지 못한 爲政者(위정자)들 대마도와 알래스카를 지키지 못한 爲政者(위정자)들 國益(국익)은 현명한 정치 지도자들의 역량에 따라 좌우된다 문무대왕(회원) 대마도와 알래스카를 생각하면 一國의 지도자들의 혜안과 통찰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끼게 된다. 특히 난장판이 되어 버린 한국 정치현실에서는 그..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18
本家 한국, 分家 일본 本家 한국, 分家 일본 <혈연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까운 민족은 일본인, 한국인, 몽골인이다. 한국인과 몽골인이 本家이고 일본인은 分家인 셈이다. 일본인은 本家에 감사해야 한다. 동시에 일본인은 한반도를 거쳐 일본 땅에까지 와서 좋은 나라를 만든 조상들의 진취성에 대해서 자..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18
쑨원, 도독 추대된 형에게 “조용히 장사나 하시라” 쑨원 부인, 남편 시키는 대로 이혼서류에 손도장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278> | 제279호 | 남편들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쑹(宋)씨 세 자매의 운명도 엇갈렸다. 항일전쟁 발발 뒤 1942년 1월 전시수도 충칭(重慶)에서 함께한 쑹씨 세 자매. 왼쪽부터 메이링, 아이링, 칭링. [..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15
두부의 유래 두부의 유래 두부는 높은 영양을 소유하고있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구할수 있기에 꾸준히 우리들의 밥상에 오르는 찬거리로 사랑받고있다. 우리 민족의 문헌에서 두부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고려말기 성리학자 리색의 문집인 《목은집》의 “대사구두부래향"이라는 .. 역사.정치.사회/파헤친 歷史 201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