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자꾸 깜빡깜빡 잊어 버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뇌 양 쪽에 있는 ‘해마’가 답을 갖고 있다.
우리가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은 직경 1㎝, 길이 10㎝ 정도의
오이처럼 굽은 2개의 해마에 기억된다.
해마의 뇌 신경세포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조금씩 파괴되기 시작해,
20세 이후엔 파괴 속도가 급격히 빨라진다.
1시간에 약 3600개의 기억 세포들이 사라진다고 한다.
실망할 필요는 없다.
기억 세포 한 개는 여러 개의 신경돌기를 만들어 내는데,
후천적 노력으로 신경돌기를 많이 만들어내면
기억세포의 역할을 얼마든지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어도 뇌를 젊게 유지할 수 있는 검증된 방법을 알아본다.
걷기
미국 일리노이대 의대 연구팀이 평균적인 뇌 크기를 가진 사람 210명에게
1회 1시간씩, 1주일에 3회 빨리 걷기를 시키고,
3개월 뒤 기억을 담당하는 뇌세포의 활동상태를 조사했더니,
자신의 연령대 보다 평균 세 살 어린 활동력을 보였다.
연구팀은 걷기 운동을 하면 운동 경추가 자극돼
뇌 혈류가 2배로 증가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동영 교수는
“혈류 공급이 원활하면 뇌세포를 죽이는 호르몬이 줄어
뇌가 훨씬 복합적이고 빠른 활동을 수행해 낼 수 있다.
이런 운동은 장기적으로 기억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와인
뉴질랜드 오클랜드의대 연구팀은 하루 1~2잔의 와인이
기억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뇌에는 NMDA라는 기억을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있는데,
이것이 알코올에 민감하게 반응해 활성화된다는 것.
건국대병원 신경과 한설희 교수는
“소량의 알코올은 NMDA를 자극할 뿐 아니라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도 좋게 한다.
특히 적포도주의 항산화 성분은 뇌세포 파괴도 동시에 막아줘 기억력을 증대시켜준다.
그러나 하루 5~6잔 이상의 과도한 음주는
오히려 뇌세포를 파괴시켜 기억력을 감퇴시킨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