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장교들을 흥분시킨 콜론 보고서
5.16 군사혁명 50주년 기념 연재(2)/‘한국군이 정권을 잡는 일은 당분간 불가능할 것이다’는 잘못된 예측을 한
미국 콜론 보고서가 실린 1960년 1월호 <사상계>를 읽은 많은 장교들 가운데는 박정희 소장도 있었다. 趙甲濟
|
최초의 發說 ‘한국군이 정권을 잡는 일은 당분간 불가능할 것이다’는 잘못된 예측을 한 미국 콜론 보고서가 실린 1960년 1월호 <사상계>를 읽은 많은 장교들 가운데는 박정희 소장도 있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관여했던 미국 샌프란시스코 근교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스칼라피노 교수는 5·16 직후 서울에 와서 박정희 의장을 만났는데 콜론 보고서가 話題(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콜론 보고서 발간 1년여 뒤 5·16 새벽 한강을 선두에서 건넜던 김포 해병 1여단의 金潤根(김윤근) 준장은 이 무렵(1960년 초)엔 진해의 해병 교육단장으로 근무 중이었다. 어느 날 친구의 아우인 해병 중위가 찾아오더니 “콜론 보고서를 읽었습니까”라고 물었다. 그 중위는 “콜론 보고서가 한국군의 기개 없음을 비웃고 있다”고
흥분하고 있었다. “나라가 이렇게 어수선하고 어지러운데 군부가 방관만 하고 있을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군부가 救國(구국)을
위해서 궐기할 때입니다.” 장교가 상관 앞에서 입에 담아선 안 되는 이야기를 해도 부하를 나무라지 않고 달래야 할 정도로 이승만 정권과 한국 사회는 벼랑을 향해서 달려가고 있었다. | |
“군인이 나서서 정치를 한다고 정치인들보다 잘 한다는 보장이 있나, 이 사람아. 중남미 여러 나라의 예를 봐.
군인은 국방에 전념하고 정치는 정치인에게 맡겨야지.” 김윤근의 이런 원론적인 설득에 그 중위는 승복하는 것 같지가 않았다고 한다. 김윤근은 ‘콜론 보고서는 젊은 장교들을 분개시켜서 결국은 5·16 군사 혁명을 태동케 한 遠因(원인)이 되었다’고 썼다
(회고록 《해병대와 5·16》).
1960년 1월 21일 박정희 소장은 6관구 사령관에서 부산에 있는 군수기지사령부의 초대 사령관으로 轉補(전보)되었다. 군수기지사령부의 産婆役(산파역)은 육본 군수참모부장 金雄洙(김웅수) 소장이었다. 그때까지 軍需(군수) 기능은 2군 사령부 소속으로 부산 근처에 집결해 있으면서 7개의 기술 부대로 분산, 운영되고 있었다.
김웅수 소장은 이들 부대를 공병감, 통신감, 의무감, 화학감 등 기술감 아래로 모았다. 그리고 이 부대들을 행정적으로 통합, 지휘하고 戰時(전시)에는 군수지원을 총괄, 통제할 사령탑으로서 군수기지사령부를 창설했다. 박정희를 군수기지사령관 겸 군수참모차장으로 추천한 이도 김웅수였다. 우리나라 군대 조직의 관리에 미국의 선진 제도를 도입하는 데 큰 기여를 한 김 장군은 그때까지도 박정희를 만난 적이 없었다. 평판을 들어보니 박정희는 ‘정직하고 열심히 일하는 장군’이란 것이었다. 그래서 방대한 군수물자를 관리하는
책임자로는 적임이라 판단하여 그를 송요찬 참모총장에게 추천하였고 총장도 쾌히 승인해 주었다. | |
박정희 군수기지사령관의 취임식에 참석한 김 소장이 호텔로 돌아와 있는데 박정희가 찾아왔다. “각하, 이거 혁명이라도 해야지 나라가 이게 되겠습니까.” 김 소장은 ‘내가 族靑(족청) 계열이라고 주목받고 있다니까 나를 떠보는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래서 “군대가 혁명을 한다고 나라가 잘 된다는 보장이라도 있답니까”라면서 말머리를 돌려 버리고 말았다.
비슷한 시기에 해병 중위와 육군 소장이 똑같이 군사 혁명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 시기가
문제인데 3월 15일로 예정된 정·부통령 선거를 전후하여 온 나라가 요동치던 때였다. 趙炳玉(조병옥) 민주당 후보의 病死(병사), 軍內(군내)의 부정 선거 공작, 3·15 부정선거, 바로 그 날의 마산의거, 잇단 학생 시위, 그리고 4·19로 달려가는 상황 속에 70만 군대가 있었고 그 안에 박정희가 있었다. 傭兵(용병)이 아닌 國軍(국군)은 국가와 국민, 그리고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이다. 急變(급변)하는 정치 상황의 영향권 안에 들어간 군대 안에서 박정희는 처음으로 ‘군사 혁명’이란 말을 거침없이 뱉어 냈다. 그런 어마어마한 말을 해도 그냥 넘어갈 정도의 불만이 이 거대 집단 안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박정희가 김웅수 장군에게 지나가는 말처럼 내뱉은 말이 말에 머물지 않고 행동 계획으로 구체화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있다. 기자가 ‘5·16의 史官(사관)’ 이낙선 전 상공부 장관(작고) 집에서 찾아낸 자료 중에 ‘군사 혁명 참여자 증언 기록 카드’가 있다. ‘5·16 군사 혁명사’의 편찬 실무 간사였던 이낙선 중령(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비서관)이 수백 명의 참여자들로부터 청취한 증언이 연필로 기록된 200여 장의 카드는 혁명사 집필 때 1차 자료로 씌어졌다. 이 카드에 의하면 최초로 ‘군사 혁명’이 논의된 시기는 단기 4293년(서기 1960년) 1월이다.
그 요지는 이러하다. <박 장군은 서울 신당동의 자택에서 金東河(김동하·포항 주둔 해병 제1상륙 사단장) 소장과 만나 ‘급진하는 민심의 동향과 결과적으로 군부에서 이를 수습해야 한다’는 수습책을 논의하고 이를 추진키로 합의했다. 다음날에는 김동하 장군 집에서 두 사람이 만나 ‘해군·해병대는 김동하 장군이, 육군은 박정희 장군이 각각 맡아 조직력을 갖추기로 합의’했다>
| |
이 최초의 구상은 그 다음해 5·16을 성공시킨 부대 동원의 기본이 되었다. 김동하 장군이 김포에 있던 해병 1여단을, 박정희가 공수단, 6군단 예하 포병단 등 나머지 육군 부대를 동원했던 것이다. 김동하 소장은 박정희의 만주군관학교 1기 선배였다. 그 20년 전, 만 스물세 살의 박정희 교사는 ‘긴 칼을 차고 싶어서’ 안정된 직장을 버리고
만주군관학교 생도로 입교했다. 그 뒤 20년 동안 그는 한시도 국가와 혁명과 권력이란 話頭(화두)를 놓지 않고서 生死(생사)를 오가는 위기와 고통을 견디어 냈던 것이다. 枯木(고목) 같은 이승만 정권의 황혼, 분출하는 학생과 민중의 願望(원망)은 박정희에게 기회를 제공한다. 그는 20년 동안 깔아놓은 자신의 人脈(인맥), 그 그물을 잡아당기기 시작한 것이다. 박정희가 공개적으로 언론 앞에 등장한 것은 군수기지사령관으로 부임한 직후의 기자회견이 처음이었다.
당시 부산일보의 軍(군) 출입기자 金鍾信(김종신)은 이런 관찰기를 남겼다. <박 장군의 걸음걸이는 작은 키와는 반대로 무척 육중하게 보였다. 시멘트 바닥에 움푹 발자국이라도 낼 듯이 힘차게 한 발 한 발을 옮기며 걸어왔다. 나는 팔뚝 시계를 보았다. ‘이번 사령관은 또 얼마나 늦으셨누’ 하는 장난스런 심경에서였다. 시계바늘은 정확하게 90도, 1분이 틀리지 않는 아홉 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육중하나 느리지 않은 걸음걸이, 90도의 시계바늘, 이 두 가지 影像(영상)은 그의 진로를 예견케 하는 것이었다>
(《零時(영시)의 횃불》) 독한 사람 1960년 1월 하순 박정희 군수기지사령관이 처음 기자들과 만나는 날 부산 문화방송 全應德(전응덕) 보도과장이 마이크를 갖다 대면서 “부임 소신을 피력해 달라”고 했더니 박정희는 마이크를 밀어버리면서 말했다. “우리 뭐, 이런 딱딱한 분위기는 치워버리고 얘기나 합시다. 나는 경상도 사람이라 부산에 오니까 마치 고향에 온 것 같습니다. 뭐 물을 것 있으면 물어보십시오.” 상투적인 ‘부임 소감의 피력’은 생략했다. 부산일보 軍(군) 출입 기자 김종신이 나섰다. “부산에 있는 부대들은 말썽이 많다는 것을 알고 오셨을 텐데 앞으로 부대 운영은 어떻게 해나갈 작정입니까?” 박정희 사령관은 한참 있더니 천천히 입을 뗐다. “잘해 나갈 작정입니다.”
| |
담담하게 말하는 박정희의 얼굴에는 엄숙함과 함께 기자들을 비웃는 듯한 冷笑(냉소)의 그림자가 스쳐 지나갔다. 그 비웃음은 기자들에 대한 박정희의 생각을 정직하게 드러낸 것이었다. 9사단 참모장 박정희 아래서 정훈장교로 근무한 인연으로 그 뒤로도 오랫동안 교분을 유지하고 있던 李容相(이용상) 대령은 그때 국방부 보도과장이었다. 그는 “박 장군은 구상, 張德祚(장덕조), 金八峰(김팔봉) 같은 문인 출신 언론인들하고는 절친했지만 다른 기자들을 대체로 경멸했고 기피했다. 기자들도 약점이 별로 없는 박 장군을 무서워했다”고 말했다. 박정희는 기자들을 호칭할 때는 ‘그 자식들’식으로 감정을 드러내곤 했다. 이용상은 “당시 일부 군장성들과 일부 군 출입 기자들
사이에는 일종의 부패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했다. “일부 고위 장교들은 부정 때문에 기자들에게 약점이 잡혀 있었고, 또 언론을 통해서 경무대에 잘 보이려고 기자들을 매수하기도 했습니다. 군의 문제점을 보도하는 데는 거의 자유롭던 시대이니 장성들은 기자들을 두려워하기도 하고 출세에 이용하려고도 했지요. 6관구 사령관 시절 박정희 장군은 그런 기자들과의 접촉은 김재춘
참모장한테 맡겨 놓고 직접 만나지는 않으려 하더군요.”
기자들로부터 어떤 대접을 받는가는 장성들의 자세나 자질에 달린 것이기도 했다. 군수기지사령관에 부임한 박정희를 부산의 군 출입 기자들은 달리 대하게 되었다. 젊은 기자가 젊은 장성들(그때 장성들은 거의가 30대였다)에게 친구처럼 접근하던 시절인데 박정희는 위엄이 풍겨 함부로 말을 붙이기도 어렵고 잡담을 할
분위기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당시 국제신보의 薛英佑(설영우) 기자는
“박 장군이 온 뒤에는 우리 기자들의 자세가 달라졌다”고 했다. 이 무렵 박정희의 心中(심중)을 엿보게 하는 편지 두 통이 있다. 한 통은 그가 군수기지사령관으로 부임한 직후 매형 韓禎鳳(한정봉)에게 보낸 편지이다. 한 씨는 박정희보다 네 살 위 누님 朴在熙(박재희)의 남편으로서
그때 경북 상주에서 살고 있었다. 맞춤법만 손을 본 뒤 원문대로 옮긴다. <時下寒冷之節(시하한냉지절), 氣體萬康(기체만강)하옵시고 누님께서도 安寧(안녕)하시오며 龍雄(용웅)이 男妹(남매)도 충실하다 하시오니 甚幸(심행)으로 생각하옵고 仰祝(앙축)하옵나이다. 저도 이번에 갑자기 命(명)을 받고 이곳에 와서 어려운 일을 맡게 되어 每日(매일) 業務(업무)에 奔走(분주)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下送(하송)하신 書信(서신)은 잘 拜讀(배독)하였습니다만 아시다시피 지금 軍에서 장사를 한다든가 軍을 상대로 事業(사업)을 한다는 것은 도저히 不可能(불가능)한 일이고 더욱이 형님과 같이 資本(자본)도 없고 사업 경험도 없는 분은 絶對(절대) 可望(가망)도 없는 일이오니 기대하시지도 마시고 공연히 되지도 않을 일로 旅費(여비)까지 써서 이곳까지 오실 必要(필요)도 없으니 斷念(단념)하시기를 바랍니다. 勿論(물론) 兄(형)님의 딱한 사정도 잘 아는 바이나 되지도 않을 일로 오셔서 딱한 이야기만 하시면 저만 마음 괴로울 뿐이니 이 점 諒解(양해)해 주시기
伏望(복망)하나이다> 70만 대군이 쓰는 물자 공급을 책임진 군수기지사령부는 利權(이권)이 가장 많은 부대였다. 더구나 한정봉은 박정희가 교사직을 버리고 만주군관학교에 들어갈 때나 光復(광복) 뒤 박정희가 고향에서 실업자 생활을 하고 있을 때 물질적인 도움을 많이 준 매형이었다. 그런데도 이처럼 매정하게 그의 부탁을 거절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박정희는 쿠데타 구상을 구체화시키고 있었다. 목숨을 거는 독한 결심을 한 마당에 사사로운 부탁은 더욱 그의 眼中(안중)에 들지 않았을 것이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된 뒤 박재희 누님이 서울로 이사 오자 경찰관들을
집 주위에 배치하여 청탁자의 출입을 감시하도록 했다. | |
박정희가 문경보통학교 교사이던 때 제자였던 鄭順玉(정순옥)은 결혼하여 3남매를 둔 주부가 되어 있었다. 1959년 봄 박정희 1군 참모장에게 편지를 썼다. 박정희 소장이 이 편지에 대한 답장으로 보낸 것을 정순옥 할머니는
지금까지 보관하고 있다. <20년 전의 추억을 더듬으면 천진난만한 순옥이의 소녀 시절의 모습이 떠오르지만은 지금은 3남매의 어머니가 되었다니 모습도 많이 변했겠지. 뜻밖에도 보내 주신 서신 반가이 拜讀(배독)했습니다. 대구에 있을 적에 순옥이 부친께서 찾아오셔서 순옥이 이야기도 잘 듣고 泰泳(태영)이 이야기도 잘 들었는데 그 후 태영 군이 출정하여 소식이 없어졌다니 안타까워하시는 부모님의 심정 무엇에 비할 것인지. 순옥인들 얼마나 슬퍼했을까? 3남매의 어머니가 된 순옥이를 순옥이라고 불러서 어떨는지. 그러나 옛날 어릴 적의 생각으로 순옥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다정스러울 것 같으니 용서를 하시도록. 가끔 옛날 제자들로부터 편지를 받고 소식을 듣는 것이 가장 기쁜 일이라오. 그래 夫君(부군)께서는 무엇을 하시며 3남매는 모두 몇 살씩이나 되며 가정의 재미는 어떠하신지. 서울에는 나의 가족들도 살고 있으니 언제 한번 가족끼리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으면 하고 있어요. 우리 집도 딸 형제를 가진 가정이 되었다오. 다음 기회에 가족 동반으로 옛날 이야기나 실컷 하도록 연락을 해주길 바라네. 친정 부모님들은 지금도 문경에 살고 계시는지? 사촌 復泳(복영) 군은 동래 병기학교에 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지금도 그곳에 있는지. 그럼 내내 안녕하시기를 축복하오며 상봉의 기회를 고대하면서 오늘은 이만 붓을 놓겠습니다. 5월 1일 朴正熙 拜> 박정희는 대통령이 된 뒤에도 개인적인 편지나 봉투에는 절대로 ‘대통령’이란 직책을 쓰지 않고 ‘朴正熙 拜’라고만 표기했다. 公的(공적)인 자리에선 찬바람이 일고 매정한 박정희는 私的(사적)인 자리에선 多感(다감)하고
겸손한 사람이었다.
Royal Fireworks
George Frideric Handel 제1곡 (Overtur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