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산의 높이와 고도
산 높이나 비행 고도 등을 말할 때 「해발 몇 m」라고 한다.
해발고도(海拔高度 · sea level; altitude; 標高)는 말 그대로 바다로부터의 높이다. 그렇다면,
바다가 전혀 안 보이는 대륙 오지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해발고도를 잴까 ?
각 나라는 저마다 해발고도 측정을 위한 기준수면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천 앞바다가 기준이다. 바닷물의 높이는 조석 해류 기압 바람에 따라 늘 변하지만, 몇년에 걸쳐 평균을 내면 「해발 0 m」인 기준수면을 얻을 수 있다.
그 다음엔 이 기준을 가까운 육지 어디엔가 옮겨 표시해 놓아야 한다. 이것이 「수준원점(水準原點)」이다.
(즉 표고의 기준면으로 사용하는 평균해수면은 가상의 면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수준측량을 할 경우 이것을 부동의 위치에 고정시켜 두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수준원점은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龍峴洞) 인하공업전문대학 구내에 설치 되어 있다. 웬만한 지각변동에 끄덕 없도록 지반을 다진 뒤 박아놓은 일종의 대리석 기둥으로,
1963년 국립지리원이 설치했다.
수준원점(水準原點)은 모든 해발고도 측정의 기준이 된다는 것이지 그 자체가 「해발 0m」라는 뜻은 아니다. 이 수준원점(水準原點), 즉 대리석 꼭대기 중앙점의 정확한 해발고도는 26.6871m다.
이후 국립지리원은 수준원점을 출발, 릴레이식으로 높이를 비교해가며
국토 전역에 2km 간격으로 「수준점」 5,000여개를 설치했다.
(이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국도 및 중요도로를 따라서 4㎞마다 1등 수준점이 설치되며, 1등수준점을 기준으로 2㎞마다 2등수준점이 설치된다. 수준점은 국토 높이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국토의 개발·
이용과 보존을 위한 각종 건설사업의 기초가 된다.)
국도변이나 시골 학교 교정, 면사무소 화단 등지를 잘 살펴보면 소숫점 4자리까지, 해발고도가 적힌 대리석 수준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측량사들은 이 수준점에 자(표척·標尺·staff)를 수직으로 세워놓고 멀리서 망원경(수준의·水準儀)으로 들여다보면서 주변 지형의 해발고도를 비교-측정한다
출처 : 조선일보 金亨基기자의 재미있는 상식여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