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로운 MJB의 미각을 잊어버린 지도 20여 일이나 됩니다. 이곳에는 신문도 잘 아니 오고 遞傳夫(체전부)는 이따금 ‘하도롱’빛 소식을 가져옵니다. 거기는 누에고치와 옥수수의 사연이 적혀 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멀리 떨어져 사는 일가 때문에 愁心(수심)이 생겼나 봅니다. 나도 都會(도회)에 남기고 온 일이 걱정이 됩니다. 건너편 팔봉산에는 노루와 멧도야지가 있답니다. 그리고 祈雨祭(기우제) 지내던 개골창까지 내려와서 가재를 잡아먹는 ‘곰’을 본 사람도 있습니다. 동물원에서밖에 볼 수 없는 짐승, 산에 있는 짐승들을 사로 잡아다가 동물원에 갖다 가둔 것이 아니라, 동물원에 있는 짐승들을 이런 산에다 내어 놓아준 것만 같은 착각을 자꾸만 느낍니다. 밤이 되면 달도 없는 그믐 漆夜(칠야)에 팔봉산도 사람이 寢所(침소)로 들어가듯이 어둠 속으로 아주 없어져 버립니다. 그러나 공기는 수정처럼 맑아서 별빛만으로라도 넉넉히 좋아하는 ‘누가’복음도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 참 별이 도회에서 보다 갑절이나 더 많이 나옵니다. 하도 조용한 것이 처음으로 별들의 운행하는 기척이 들리는 것도 같습니다. 객주집 방에는 석유등잔을 켜 놓습니다. 그 도회지의 夕刊(석간)과 같은 그윽한 내음새가 소년시대의 꿈을 부릅니다. 鄭형! 그런 석유등잔 밑에서 밤이 이슥하도록 ‘호까(연초갑지)’ 붙이던 생각이 납니다. 벼쨍이가 한 마리 등잔에 올라앉아서 그 연두빛 색채로 혼곤한 내 꿈에 마치 영어 ‘티’자를 쓰고 건너 긋듯이 類(유)다른 기억에다는 군데군데 ‘언더라인’을 하여 놓습니다. 슬퍼하는 것처럼 고개를 숙이고 도회의 여차장이 차표 찍는 소리 같은 그 聲樂(성악)을 가만히 듣습니다. 그러면 그것이 또 이발소 가위 소리와도 같아집니다. 나는 눈까지 감고 가만히 또 자세히 들어봅니다. 그리고 비망록을 꺼내어 머루빛 잉크로 산촌의 詩情(시정)을 기초합니다. 그저께신문을찢어버린 때묻은흰나비 봉선화는아름다운애인의귀처럼생기고 귀에보이는지난날의기사 얼마 있으면 목이 마릅니다. 자리물-深海(심해)처럼 가라앉은 냉수를 마십니다. 石英質 鑛石(석영질 광석) 내음새가 나면서 폐부에 寒暖計(한난계) 같은 길을 느낍니다. 나는 백지 위에 그 싸늘한 곡선을 그리라면 그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靑石(청석) 얹은 지붕에 별빛이 나려쪼이면 한겨울에 장독 터지는 것같은 소리가 납니다. 벌레 소리가 요란합니다. 가을이 이런 시간에 엽서 한 장에 적을 만큼씩 오는 까닭입니다. 이런 때 참 무슨 才操(재조)로 光陰(광음)을 헤아리겠습니까? 맥박 소리가 이 방 안을 房째 시계로 만들어 버리고 長針(장침)과 短針(단침)의 나사못이 돌아가느라고 양짝 눈이 번갈아 간질간질합니다. 코로 기계 기름 내음새가 드나듭니다. 석유등잔 밑에서 졸음이 오는 기분입니다. ‘파라마운트’ 회사 상표처럼 생긴 도회 소녀가 나오는 꿈을 조곰 꿉니다. 그러다가 어느 도회에 남겨 두고 온 가난한 식구들을 꿈에 봅니다. 그들은 포로들의 사진처럼 나란히 늘어섭니다. 그리고 내게 걱정을 시킵니다. 그러면 그만 잠이 깨어 버립니다. 죽어 버릴까 그런 생각을 하여 봅니다. 壁(벽) 못에 걸린 다 해어진 내 저고리를 쳐다봅니다. 西道千里(서도천리)를 나를 따라 여기 와 있습니다그려! 등잔 심지를 돋우고 불을 켠 다음 비망록에 鐵筆(철필)로 군청빛 ‘모’를 심어갑니다. 불행한 인구가 그 위에 하나하나 탄생합니다. 調密(조밀)한 인구가-. 내일은 盡終日(진종일) 화초만 보고 놀리라, 脫脂綿(탈지면)에다 ‘알코올’을 묻혀서 온갖 근심을 문지르리라, 이런 생각을 먹습니다. 너무도 꿈자리가 뒤숭숭하여서 그리는 것입니다. 화초가 피어 만발하는 꿈 ‘그라비아’ 원색판 꿈 그림· 책을 보듯이 즐겁게 꿈을 꾸고 싶습니다. 그리면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爽快(상쾌)한 시를 지어서 7 ‘포인트’ 활자로 배치하는 것도 좋습니다. 도회에 화려한 고향이 있습니다. 활엽수만으로 된 산이 고향의 시각을 가려 버린 이 산촌에 팔봉산 허리를 넘는 鐵骨(철골) 전신주가 소식의 제목만을 符號(부호)로 전하는 것 같습니다. 아침에 볕에 시달려서 마당이 부스럭거리면 그 소리에 잠을 깨입니다. 하루라는 ‘짐’이 마당에 가득한 가운데 새빨간 잠자리가 병균처럼 활동입니다. 끄지 않고 잔 석유등잔에 불이 그저 켜진 채 소실된 밤의 흔적이 낡은 조끼 ‘단추’처럼 남아 있습니다. 昨夜(작야)를 방문할 수 있는 ‘요비링’입니다. 지난밤의 체온을 방 안에 내어던진 채 마당에 나서면 마당 한 모퉁이에는 화단이 있습니다. 불타오르는 듯한 맨드라미꽃 그리고 봉선화. 지하에서 빨아 올리는 이 화초들의 정열에 호흡이 더워오는 것 같습니다. 여기 처녀 손톱 끝에 물들을 봉선화 중에는 흰 것도 섞여있습니다. 흰 봉선화도 붉게 물들까- 조금 이상스러울 것 없이 봉선화는 꼭두서니빛으로 곱게 물듭니다. 수수깡 울타리에 ‘오렌지’ 빛 여주가 열렸습니다. 당콩넝쿨과 어우러져 ‘세피아’ 빛을 배경으로 하는 한 폭의 병풍입니다. 이 끝으로는 호박넝쿨 그 소박하면서도 대담한 호박꽃에 ‘스파르타’식 꿀벌이 한 마리 앉아 있습니다. 녹황색에 반영되어 ‘세실·B·데밀’의 영화처럼 화려하며 황금색으로 사치합니다. 귀를 기울이면 ‘르넷산스’ 응접실에서 들리는 선풍기 소리가 납니다. 야채 ‘사라다’에 놓이는 ‘아스파라가스’ 잎사귀 같은 또 무슨 화초가 있습니다. 객주집 아해에게 물어 봅니다. ‘기상꽃’-기생화란 말입니다. 무슨 꽃이 피나-진홍 비단꽃이 핀답니다. 先祖(선조)가 指定(지정)하지 아니한 ‘조셋트’ 치마에 ‘외스트민스터’ 卷煙(권련)을 감아놓은 것 같은 도회의 기생의 아름다움을 연상하여 봅니다. 박하보다도 훈훈한 ‘리그레추윙껌’ 내음새 두꺼운 장부를 넘기는 듯한 그 입맛 다시는 소리- 그러나 아마 여기 필 기생 꽃은 분명히 蕙園(혜원) 그림에서 보는 것 같은- 혹은 우리가 소년시대에 보던 떨떨 인력거에 紅日傘(홍일산) 받은 지금은 지난날의 삽화인 기생일 것 같습니다. 청둥호박이 열렸습니다. 호박꼬자리에 무시루떡- 그 훅훅 끼치는 구수한 김에 좇아서 증조할아버지의 시골뜨기 망령들은 정월 초하룻날 한식날 오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 국가백년의 기반을 생각케 하는 넓적하고도 묵직한 안정감과 침착한 색채는 ‘럭비’구를 안고 뛰는 이 ‘제너레숀’의 젊은 용사의 굵직한 팔뚝을 기다리는 것도 같습니다. 유자가 익으면 껍질이 벌어지면서 속이 비져 나온답니다. 하나를 따서 실 끝에 매어서 방에다가 걸어둡니다. 물방울져 떨어지는 豊艶(풍염)한 미각 밑에서 연필같이 瘦瘠(수척)하여가는 이 몸에 조곰式 조곰式 살이 오르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야채도 과실도 아닌 ‘유모러스’한 容積(용적)에 향기가 없습니다. 다만 세숫비누에 한겹씩 한겹씩 해소되는 내 도회의 肉香(육향)이 방 안에 배회할 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