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텃밭의재미

콩 파종시 질소비료를 적게, 개화 후 인산비료를 많이 시비

淸山에 2009. 12. 12. 14:28
 

 

 
 
  
콩 파종시 질소비료를 적게, 개화 후 인산비료를 많이 시비
 

  콩은 토양에 대한 요구가 그다지 까다롭지 않아서 pH6.5~7.5이면 적합하나 알카리성 토양에는 잘 견디지 못하고 유기질 함량이 높으면 콩 증산을 촉진시킬 수 있다.
콩 뿌리는 직근성이고  뿌리혹박테리아는 뿌리와 공생하여 공중질소 고정 작용을 하는데, 이는 질소영양의 중요한 공급지이다.
 
콩은 비교적 많은 비료를 필요로 하는데 콩 생산 100kg당 인산 1.6kg, 칼륨 3.72kg이 필요하다.
콩은 많은 질소를 필요로 하는데, 첫째는 토양과 비료중에 함유된 질소에서, 둘째는 뿌리혹박테리아의 공중 질소 고정에서 얻는다.
 
두 번째 것은 대략 콩 생산에 필요한 질소의 1/2~2/3을 충족시킨다. 화학질소비료를 너무 과도하게 시용하면 근류의 수가 감소하고 공중질소 고정율이 저하되어 콩 생산비가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특별히 질소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일찍 질소를 시용하면 새싹의 생장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생각 한다.
콩 유묘기는 질소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파종시 소량의 질소비료를 시용하면 새싹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인산은 근류의 발육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어 인산으로 질소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산은 생육초기에 주로 근계생장을 촉진시키며 개화 전에 인산은 경엽분지(莖葉分枝) 등 영양체의 생장을 촉진 시킨다. 개화시 인산이 충분이 공급되면 생식기관의 형성과정이 단축 된다.
 
산성토양 위에 석회를 시용하면 콩 생장에 필요한 칼슘영양원소를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토양산성을 바로잡을 수 있다.
석회는 pH값을 높이는 작용이 영양을 증가 시키는 작용보다 높아 뿌리혹박테리아의 활동에 유리하게 만들고 또 토양중의 몰리브덴과 같은 다른 영양원소 유효성을 증가시킨다. 칼슘은 콩 근류 형성 초기에 아주 중요하다 .
토양 중의 칼슘을 증가시키면 콩 근류 수가 증가 된다. 그러나 석회를 시용하는 것 역시 너무 지나치게 많으면 안 된다.
보통 1ha당 450kg을 넘어서는 안 된다. 콩 재배 시 과인산석회를 사용하면 콩이 필요로 하는 칼슘을 충족시킬 수 있다.
 
콩이 필요한 미량원소는 철, 동, 아연, 망강, 붕산과 몰리브덴이 있다. 산성으로 치우치는 토양에는 몰리브덴 이외에 이러한 원소는 모두 쉽게 토양 속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결핍되지 않는다.
그러나 몰리브덴이 토양 속에 쌓여 토양 속의 몰리브덴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때는 콩 생장에 있어 해로운 작용이 있다.
 
봄에 콩의 질소가 부족하면 본엽이 누렇게 되는데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누렇게 되고, 복엽의 가장자리 엽맥에는 평행의 연속적인 혹은 불연속적인 붉은 반점이 생기며 엽첨(葉尖)에서 기부로 녹색이 퇴색하면서 잎 전체가 누렇게 되고 엽맥의 녹색도 퇴색된다.
잎은 작고 얇아 쉽게 떨어지고 줄기는 가늘고 길다.
 
인산이 부족하면 근류가 적어지고 줄기가 가늘고 길며 콩 식물체 아래 부분의 잎 색깔은 짙은 녹색이 되며 잎은 두텁고 우툴두툴 고르지 않으며 좁고 길다.
인산이 많이 부족할 때는 잎맥이 황갈색으로 된 다음 잎 전체가 누렇게 된다.
 
칼륨이 부족하면 엽편(葉片)이 누렇게 되는데 그 증상은 아래쪽 잎에서 위쪽 잎으로 진행 된다. 엽연(葉緣)의 녹색이 퇴색되며 반점이 생기기 시작하다가 큰 반점으로 확대되고 반점이 서로 연결되어 잎 중심으로 만연되는데 마지막에는 엽맥 주위에만 녹색을 띤다. 누렇게 된 잎은 회복하기 어렵고 잎이 얇고 쉽게 떨어진다.
 
칼슘이 부족하면 잎이 누렇게 되면서 갈색의 작은 점이 생긴다. 우선 잎 가운데와 엽첨에서 시작하고 엽연과 엽맥은 여전히 녹색을 띤다. 엽연이 아래로 늘어지거나 비틀린다. 잎은 작거나 좁고 길어 엽단(葉端)은 뾰족한 낙시 모양이다.
 
몰리브덴이 부족하면 잎의 색깔이 엷고 주맥(主脈)과 지맥(支脈)의 색깔은 더 엷다. 지맥 사이에선 누런 반점이 나타나고 엽첨의 녹색은 쉽게 퇴색한다. 후에 누런 반점의 색깔은 더 짙어져서 엷은 갈색이 된다. 어떤 엽편은 울퉁불퉁 고르지 않고 비틀어지고 어떤 주엽맥 중앙에는 흰색의 선 모양이 나타난다.
 
콩에는 유기비료와 무기비료를 섞어 시비하면 인사, 질소, 칼륨, 칼슘과 몰리브덴 영양원소가 위주가 되고, 기비를 기본으로 하면 기비는 유기비료가 위주가 되니 적당히 화학비료 질소, 인산, 칼륨을 섞어 시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