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 배움/텃밭의재미

채소의 균형적 시비기술

淸山에 2009. 12. 12. 14:27
 

 

 
 
*

  균형적 시비는 무공해채소 품질을 결정하고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같지 않은 농작물의 서로 다른 시기의 생리수요와 같지 않은 토양 유형의 양분함량에 근거해서 합리적으로 생장발육에 필요한 각종 영양원소를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1. 토양바탕에 따른 시비
  중국 감숙성의 난주(蘭州)사범대학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국 경지의 51.5%가 아연 결핍, 6.9%가 붕산 결핍, 21.3%가 망간 결핍, 6.9%가 구리 결핍,

5%가 철 결핍이라고 한다.

 

또 산서(山西) 신록현(新綠縣) 조사에서 오래된 채소밭(4년 이상)은 76%가 유기질이 결핍되었고 58%는 인(?)이 지나치게 많았으며 30%는 칼륨이 결핍되었고 14%는 칼륨이 지나치게 많았으며 42%가 질소 해를 입었고 3%가 아미노산 해를 입어 재배에 실패하고 있다고 한다.

 

때문에 각지 모두 토양바탕, 영양비례, 시비표준에 따라 균형적으로

시비해야 한다. 
 

2. 영양작용에 따른 시비


  질소는 엽신(葉身) 생장에 중요하고 인은 화아(花芽)를 분화시키거나 근계(根系) 수를 결정하며 칼륨은 과실이 자라는데 중요하다.

 

칼슘은 고체(固體)를 더욱 단단하게 하며 마그네슘은 광합성 강도를 결정하고 유황은 당도 증가와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킨다.

 

망간은 항역성을 증가시키고 아연은 비타민을 촉성하며 붕산은 과일의 항생리병(抗生理病)을 강화시키고 백금(platinum)은 항한(抗旱)작용을 향상시킨다.

 

규소는 뿌리의 항열(抗熱)을 촉진하고 철과 구리는 억균(抑菌)을 촉성한다. 탄소는 과일을 팽창시키고 줄기를 튼튼하게 하며 산소는 흡수 능력, 영양 운전(運轉)을 향상시키고 수소는 뿌리를 양생한다.

 

16종의 주요 영양이 하나라도 결핍되면 잘 자라지 않는다.

그 외에 제 철에 맞는 유기질소비료의 이용률은 30~35%, 광물인비료의 이용률은  10~20%, 칼륨비료 이용률은 50~70%에 불과했다. 
 

3. 비료 특성에 따른 시비
  질소비료는 쉽게 휘발되기 때문에 골을 파서 시용하는 것이 좋다.

인비료는 쉽게 산성을 잃어 토양과 응결되면 효과를 잃게 되니 반드시 유기비료와 혼합하여 혈시(穴施: 구멍을 파 시비)하거나 근비(根肥: 뿌리에 시비)한다.

칼륨비료는 휘발하지 않기 때문에 기비(基肥)로 시용할 수 있다.

 

붕산은 뜨거운 물에 녹여 시용하거나 고온기(高溫期)나 저온기(低溫期)에 엽면에 분사한다. 아연은 찬물에 녹여 단일 시비하거나 다른 비료와 섞어 시비한다.

 

칼슘은 고온기나 저온기에 엽면에 분사한다. 또 보통 토양 속의 칼슘은 결핍되지 않는다. 구리는 물을 부어 묘기(苗期)에 시비하거나 구멍을 파고 시비하면 살균작용이 있으며 또 엽면에 분사해도 된다.

 

망간, 몰리브덴은 엽면에 분사하면 좋다. 규소비료는 물을 부어 시비하고 근외(根外)에 분사한다. 철은 생산량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지 질에 영향을 주며 분사해도 되고 뿌려주어도 된다. 
 

4. 작물필요에 따른 시비
  식물체에는 탄소 45%, 산소 45%, 수소 6%를 함유하고 있으며 채소생장에 필요한 탄소와 수소의 비는 30:1이다. 유기질 함량은 3.5%, 질소 ? 인 ? 칼륨 ? 칼슘 ? 마그네슘은 대체적으로 그 비가 3:1:3~7:2:0.5이다. 엽채류는 질소가 중요하고 인칼륨 비료를 보충한다.

 

과채류는 칼륨이 중요하고 인질소 비료를 보충한다. 잎이 얇을 때는 질소를 보충하고 어린잎이 뻣뻣해지면 아연을 보충한다.

 

진균병(眞菌病)에는 칼륨이나 붕산을 보충해주고 세균병에는 칼슘이나 구리를 보충해준다. 

 

출처 : 중국 농업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