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증처첩(戱贈妻妾) - 김병연(金炳淵)
不熱不寒二月天
부열부한이월천
一妻一妾最堪憐
일처일첩최감련
鴛鴦枕上三頭騈
원앙침상삼두병
翡翠衾中六臂連
비취금중육비련
開口笑時渾似品
개구소시혼사품
翩身臥妻變成川
편신와처변성천
東邊未了西邊事
동변미료서변사
更向東邊打玉拳
갱향동변타옥권
춥지도 덥지도 않은 이 월 달에
아내와 소실이 견디는 꼴이 가련하다
원앙금침엔 머리 셋이 나란히 있고
비취이불 속에는 여섯 팔이 나란하구나.
함께 웃을 때 입의 모습은 마치 품(品)자와 같고
몸 뒤집어 옆으로 누운 모습은 천(川)자와 같구나.
동쪽이 채 끝나기도 전에 다시 서쪽으로 돌아눕고
또다시 동쪽을 향해 옥 같은 손목을 쓰다듬네.
어느 날 산골을 지나다보니 날은 저물고 유숙할 곳을 찼다 보니 마침 한집 한방에서 처와 첩을 데리고 사는 사람을 만났는데. 장난기 많은 김삿갓이 그냥 지나칠 리가 없이 그들을 놀려주려고 익살스런 시를 써 놓고 크게 웃으며 떠났다는 얘기가 전해옵니다 .
김삿갓(1807∼1863)조선 후기의 방랑 시인. 본명은 김병연(金炳淵),호는 난고(蘭皐), 속칭은 김삿갓, 김립(金笠). 조선 말기(1807) 당대 명문 안동 김씨 가문에서진사(進士) 김안근(金安根)의 둘째 아들로 태어남. 5살(1811)때 황해도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洪景來) 반란군(叛亂軍)에게 투항한 후 처형당하고, 아버지마저 화병으로 돌아간 후 어머니를 따라 곡산, 광주, 가평 등지로 도망 다니다 강원도 영월 땅에서 숨어 살았다. 열살 전후에 사서삼경(四書三經)을 통달, 특히 글재주가 뛰어 났다.20세(1826)때 어머니의 간곡한 요청으로 영월 고을 향시(鄕試)에 장원 급제하였는데
論鄭嘉山忠節死 嘆金益淳罪通于天
정가산의 충성스런 죽음을 논하고,
김익순(金益淳 자기 할아버지)의 죄가 하늘에 이를 정도였음을 통탄하라는 시제에서
장원하였다.
급제한 후 가문의 내력을 알고 죄책감에 빠져 금강산 유람을 시작으로 각 지역의 서원을 주로 돌아다니며 가는 곳마다 풍자와 해학으로 퇴폐해가는 세상을 개탄, 조소하는 시를 쓰면서 세월을 보내다 1863년(56세) 3월 29일 전라도 동복에 있는 적벽강(赤壁江) 기슭에서 한 많은 생애를 마쳤다고 한다.
김삿갓이 당시 백일장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한 시제
論鄭嘉山忠節死 嘆金益淳罪通牛天
논정가산충절사 탄김익순죄통우천
정가산의 충성스러운 죽음을 논하고,
김익순의 죄가 하늘에 이를 정도였음을 통탄해보라
一爾世臣金益淳 鄭公不過卿大夫
일이세신김익순 정공불과경대부
將軍桃李농西落 烈士功名圖末高
장군도리농서락 열사공명도말고
詩人到此亦慷慨 撫劍悲歌秋水溪
시인도차역강개 무검비가추수계
宣川自古大將邑 比諸嘉山先守義
선천자고대장읍 비저가산선수의
淸朝共作一王臣 死地寧爲二心子
청조공작일왕신 사지영위이심자
升平日月歲辛未 風雨西關何變有
승평일월세신미 풍우서관하변유
尊周孰非魯仲連 輔漢人多諸葛亮
존주숙비노중련 보한인다제갈량
同朝舊臣鄭忠臣 抵掌風塵立節死
동조구신정충신 저장풍진입절사
嘉陵老吏揚名旌 生色秋天白日下
가릉노리양명정 생색추천백일하
魂歸南畝伴岳飛 骨埋西山傍伯夷
혼귀남무반악비 골매서산방백이
西來消息慨然多 問是誰家食錄臣
서래소식개연다 문시수가식록신
家聲壯洞甲族金 名字長安行列淳
가성장동갑족김 명자장안항렬순
家門如許聖恩重 百萬兵前義不下
가문여허성은중 백만병전의불하
淸川江水洗兵波 鐵甕山樹掛弓枝
청천강수세병파 철옹산수괘궁지
吾王庭下進退膝 背向西城凶賊脆
오왕정하진퇴슬 배향서성흉적취
魂飛莫向九泉去 地下猶存先大王
혼비막향구천거 지하유존선대왕
忘君是日又忘親 一死猶輕萬死宜
망군시일우망친 일사유경만사의
春秋筆法爾知否 此事流傳東國史
춘추필법이지부 차사유전동국사
대대로 임금을 섬겨온 김익순은 듣거라.
정공은 경대부에 불과했으나
농서의 장군 이능처럼 항복하지 않아
충신 열사들 가운데 공과 이름이 서열 중에 으뜸이로다.
시인도 이에 대하여 비분강개하노니 칼을 어루만지며
이 가을 날 강가에서 슬픈 노래를 부르노라.
선천은 예로부터 대장이 맡아보던 고을이라
가산 땅에 비하면 먼저 충의로써 지킬 땅이로되
청명한 조정에 모두 한 임금의 신하로서
죽을 때는 어찌 두 마음을 품는단 말인가.
태평세월이던 신미년에 관서 지방에
비바람 몰아치니 이 무슨 변고인가.
주(周)나라를 받드는 데는 노중련 같은 충신이 없었고
한(漢)나라를 보좌하는 데는 제갈량 같은 자 많았노라.
우리 조정에도 또한 정충신(鄭忠臣)이 있어서
맨손으로 병란 막아 절개 지키고 죽었도다.
늙은 관리로서 구국의 기치를 든 가산 군수의
명성은 맑은 가을 하늘에 빛나는 태양 같았노라.
혼은 남쪽 밭이랑으로 돌아가 악비와 벗하고
뼈는 서산에 묻혔어도 백이의 곁이라.
서쪽에서는 매우 슬픈 소식이 들려오니
묻노니 너는 누구의 녹을 먹는 신하이더냐?
가문은 으뜸가는 장동(壯洞) 김씨요 이름은
장안에서도 떨치는 순(淳)자 항렬이구나.
너희 가문이 이처럼 성은을 두터이 입었으니
백만 대군 앞이라도 의를 저버려선 안되리라.
청천강 맑은 물에 병마를 씻고
철옹산 나무로 만든 활을 메고서는,
임금의 어전에 나아가 무릎 꿇듯이
서쪽의 흉악한 도적에게 무릎 꿇었구나.
너의 혼은 죽어서 저승에도 못 갈 것이니
지하에도 선왕들께서 계시기 때문이라.
이제 임금의 은혜를 저버리고 육친을 버렸으니
한 번 죽음은 가볍고 만 번 죽어야 마땅하리.
춘추필법을 너는 아느냐?
너의 일은 역사에 기록하여 천추만대에 전하리라
*
'문학 & 예술 > 옛시조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昨夜江南雨(지난밤 강남에 내린 비) - 작자미상 (0) | 2009.09.11 |
---|---|
고봉(孤峯)과 퇴계(退溪) - 마지막 만남의 이별 (0) | 2009.09.11 |
竹枝詞 (十一之十一)劉禹錫 (唐) (0) | 2009.09.05 |
술에 관한 옛시조 모음 (0) | 2009.09.05 |
옛시조를 찾아서 (0) | 2009.09.03 |